2분기 자영업 폐업 1만5810개
팬데믹때 1만3193개보다 악화
“경기 침체로 작년부터 고객 크게 감소
포장 주문 많던 팬데믹 때보다 힘들어”
1분기 사업장당 매출 4317만원 불과
영업이익 915만원… 2023년대비 23.2%↓
“가게 내놓은 지 1년 됐지만 문의 없어”
은행권선 자영업자發 부실채권 증가
정부, 전기료 등 지원 확대에도 역부족
전문가 “대상자·금액 더 늘려야” 지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때보다도 손님이 없어 더 버틸 수 없었습니다. 결국 감염병보다 독한 불황에 항복했습니다.”
서울 도봉구에서 4년간 분식집을 운영했다는 홍모(74·여)씨는 지난달 폐업을 결정했다. 지난해부터 본격화한 경기침체가 지속하며 손님이 뚝 끊긴 탓에 더는 버티지 못한 것이다.
길어지는 ‘침체 터널’ 시민 2명이 1일 서울 서대문구 인근의 ‘철거 예정’이라는 안내문이 붙어있는 빈 상가 앞을 지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내수 부진으로 불황이 길어지면서 폐업하는 자영업자가 늘고 있다. 연합뉴스 |
코로나19 시절에도 이 정도 어려움은 없었다. 정부에서 손실보상금을 주고 포장 주문도 비교적 많아 가게를 유지할 만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손님이 급격히 줄며 적자가 2년여간 이어진 끝에 권리금도 못 건지고 가게를 정리한 것이다.
홍씨는 “가게를 내놓은 지 1년이 됐는데도 찾는 사람이 없었다”며 “오픈할 때 샀던 냉장고 등 집기들도 요새 사는 사람이 없어 구매처에 공짜로 넘겼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고령이지만 폐업 뒤 홍씨는 쉴 수도 없다. 최근 암 투병 끝에 사별한 남편 병원비에 가게 적자 등으로 쌓인 빚을 갚기 위해 홍씨는 요양보호사로 재취업하기로 했다.
코로나19에 이어 숨 돌릴 틈도 없이 몰아닥친 3고(高·고물가·고금리·고환율) 장기화에 생업을 포기하는 소상공인이 점차 늘고 있다.
정부 지원금이 나오고 포장 주문이 많던 팬데믹(감염병 세계적 대유행) 때보다 경기침체로 손님의 지갑이 얇아진 지금이 더 힘들다고 상인들은 하나같이 입을 모은다. 사태의 심각성을 느낀 정부도 각종 지원책을 내고 있지만 현 상황을 해결하기엔 충분하지 않다는 평가가 많다.
1일 서울시 상권 분석 서비스에 따르면 올해와 지난해 2분기 폐업한 서울 내 점포 수는 각각 1만5810개, 1만6547개다. 이는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진행된 2020년부터 2022년 사이 평균 폐업 점포 수인 1만3193개를 약 20% 상회하는 수치다. 최근 2년이 공장·회사·가게 셧다운이 속출했던 팬데믹 때보다 자영업자들에게는 더 힘들었음을 의미한다.
전국 단위로 확대해 봐도 자영업자 폐업 상황은 심각하다.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는 2019년 92만2000명에서 2022년 86만7000명으로 줄었다가 2023년에 98만6000명으로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06년 이후 가장 많았다.
이 중 ‘사업 부진’을 이유로 폐업한 사업자 수가 48만2183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 이유로 폐업한 사업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7년(48만8792명)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많았다.
아직 영업 중이라도 소상공인 상황이 심각하기는 마찬가지다. 한국신용데이터는 올해 1분기 사업장당 매출액이 4317만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7.7% 줄었고, 영업이익은 915만원으로 23.2%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서울 마포구에서 20년째 식당을 운영 중인 A(52)씨도 비슷한 처지라고 하소연했다. 그는 “우리 집은 맛과 저렴한 가격으로 이름이 알려져 손님은 줄지 않았지만 재료비, 공과금 등이 올라 예전만큼 팔아도 가져가는 게(수익) 확 줄었다”며 “코로나19 시기에도 버티며 주변에서 같이 장사하던 분들 중에는 지난해부터 손님이 급격히 줄어 빚으로 버티다 결국 두 손 들고 폐업하는 경우가 많아 수입이 줄었어도 망하지는 않은 내 처지가 어디 가서 불평할 바는 못 된다”고 말했다.
생략
https://naver.me/xCBBcg8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