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봄’의 영향은 받지 않았어요. (그 영화가) 나오기도 전에 완성했고, 달라진 편집도 없었으니까요. 사건보단 그 사이에 숨겨진, 희생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특정 인물이 아닌 시대의 야만성·시대성을 담고자했어요. 그게 차별점이죠. -추창민 감독”
여러모로 아쉽다. 담은 건 많은데 닿는건 적고, 진지한듯 얕으며, 다른 길이지만 다른 감흥을 안기진 못한다. 이야기부터 장르의 배합, 팩션의 조화, 메시지까지 다 따로 논다. 인물만 뜨겁고, 작품은 정작 (요즘 날씨처럼) 꿉꿉한, 조정석의 열연만 남은 ‘행복의 나라’(감독 추창민)다.
영화는 대통령 암살에 가담한 군인, 그의 변호인 이야기다. 1979년 10월 26일, 상관의 명령에 의해 대통령 암살 사건에 연루된 ‘박태주’와 그의 변호를 맡으며 대한민국 최악의 정치 재판에 뛰어든 변호사 ‘정인후’의 이야기를 그린 시대극. 한국 현대사의 격동기인 1979년을 시대적 배경으로, 핵심 소재는 10.26 대통령 암살 사건과 12.12사태, 그리고 이를 관통하는 재판이다.
사건 가담자들이 재판에 넘겨지고 변호인단이 꾸려지지만, 유일한 군인 신분으로 유일한 단심제가 적용된 박태주(이선균)의 변호를 맡겠다는 사람은 나타나질 않는다. 변호사 이만식(우현)이 이끄는 변호인단은 승소를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옳고 그름보단 이기는 게 장땡”이라는 가치관을 지닌 정인후(조정석)에게 맡긴다.
정인후는 전상두(유재명)의 지휘 아래 불공정하게 진행되는 재판에서 어떻게든 박태주를 살릴 방법을 강구하지만, 원칙주의자인 박태주의 꽉 막힌 태도로 답답함을 안긴다. 그런 그를 보다보니 비슷한 성정의, (애증의) 목사 아버지가 떠오른다.
고(故) 이선균은 상관의 지시로 대통령 암살 사건에 연루된 박태주(10.26 사태를 주도한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의 심복이자 거사에 참여한 육군 대령 박흥주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를, 조정석이 박태주를 살리기 위해 재판에 뛰어든 변호사 정인후(당시 재판에 참여한 서른 명이 넘는 변호사들을 하나로 응축해 창작된 인물)를 각각 연기했다.
이야기를 전면으로 이끄는 주인공은 허구의 인물인 정인후다. 이념 대립이나 거대 담론엔 관심이 없고, 직업적 소신도 없이, 자신의 신념 때문에 가족을 돌보지 않은 아버지에 분노해 속세적인 욕망을 안고 살아온 그는 아버지를 닮은 박태주를 변호하며 비정한 시대의 야만성에 분노하고, 충돌하며, 맞서 싸운다.
여기서 호불호는 갈린다. 정인호에 공감하고 몰입한 관객은 그의 성장과 투쟁에 카타르시스를 느끼며 함께 뜨거워질 것이고, 그의 급변에 명분이 부족하다고 느낀다면 (그의 판타지성 면모가) 올드하고도 진부하며 다소 과하게 느껴질 수 있다. 개인적으론 (조정석의 고군분투·진정성 있는 연기완 별개로) 후자의 경우요, 거대한 시대적 아픔 속 개인의 이야기를 어설프게 끼어넣고 초점을 흐린다. 오히려 주제의식은 모호해지고 작위적으로 느껴진다. 쉴 새 없이 울려퍼지느 웅장한 ost들은 오글거리고. 故이선균의 연기 역시 이런 저런 상황들과 오버랩되며 (반가움·그리움 등의 감정관 별개로) 극의 몰입을 방해한다.
재판 장면에 몰입하려고 하면, 정인후 박태주 가족의 관계· 두 사람의 브로맨스 등 휴먼 드라마가 튀어 나오고, 긴박한 정치 상황이 다시 펼쳐지다, 조정석의 눈물겨운 고군분투로 이어진다. 대형 사건, 상징적 인물들을 겉햝기식으로 훝으며 (픽션과 팩트를 섞어) 여러 톤을 다채롭게 사용하지만, (이를 ‘차별화’로 내세우지만) 그것이 썩 매력적으로 다가오진 못한다. 과한 미스매치요, 과잉 감정의 부자연스러운 모양새다.
여러모로 ‘서울의 봄’을 떠올리게 된다. 왜 이 영화가 천만 관객의 마음을 관통했는지, 그것이 이뤄낸 긍정적인 효과, 가르치거나 호소하지 않아도 관객이 스스로 행동하게 하는 동력이 무엇인지, 굵직한 뼈대 위에 모든 요소가 탄탄하고도 조화롭게 엮여 만든 ‘웰 메이드’의 아우라를 새삼 되짚게 한다. 모두가 아는 분노와 아픔의 감정, 역사는 오히려 비워내며 정공법으로 다뤘을 때 그 울림이 더 크더라. 픽션을 거들 뿐, ‘드라마적 미학’은 ‘낄끼빠빠’를 알 때 그 빛을 발휘한다. 다르게 좋길 바랬건만, 그저 다를 뿐이었다. 추신, 그냥 ‘서울의 봄’ 보시지...
오는 14일 개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