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홍수와 가뭄 피해를 줄이고, 미래 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최대 14개의 신규 댐을 건설하기로 했다. 문재인정부 때인 2018년 9월 ‘댐 신규 건설 백지화’를 6년 만에 뒤집은 것이다. 정부 주도의 다목적댐 건설 추진은 이명박정부 때인 2010년 착공된 보현산 다목적댐 건설 이후 14년 만이다.
환경부는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을 발표했다. 환경부는 “극한 가뭄이 발생하면 정상적인 생활용수 공급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국가 전략산업 지원에 필요한 미래 물 수요에 대응하려면 새로운 물그릇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신규 댐은 목적별로 홍수조절·수력발전·관개·상수·공업용수 공급 등의 용도로 쓰이는 다목적댐이 3곳, 집중호우 등의 상황에서 물을 가둬두는 용도로 쓰는 홍수조절댐 7곳, 생활용수 등 각종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용수전용댐이 4곳이다. 권역별로는 낙동강권역이 6곳으로 가장 많고, 한강권역 4곳, 영산강·섬진강권역 각 3곳, 금강권역 1곳이다.
다목적댐은 경기 연천 아미천·강원 양구 수입천·충남 청양 지천 등 3곳이 신규 건설 후보지다. 특히 수입천 다목적댐은 총저수용량이 1억㎥로 이번 댐 후보지 중 가장 큰 규모다. 용수전용댐은 강원 삼척의 산기천에 새로 건설할 예정이며, 충북 단양의 단양천·경북 청도의 운문천·전남 화순의 동복천 등은 기존 댐 저수구역 내 새롭게 들어서는 방안이 검토된다. 홍수조절댐은 경북 김천 감천·경북 예천 용두천에 신규 건설하는 방안이, 경남 거제 고현천·경남 의령 가례천·울산 울주 회야강·전남 순천 옥천·전남 강진 병영천 등은 기존 댐을 재개발하는 형태로 건설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환경부는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을 발표했다. 환경부는 “극한 가뭄이 발생하면 정상적인 생활용수 공급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국가 전략산업 지원에 필요한 미래 물 수요에 대응하려면 새로운 물그릇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신규 댐은 목적별로 홍수조절·수력발전·관개·상수·공업용수 공급 등의 용도로 쓰이는 다목적댐이 3곳, 집중호우 등의 상황에서 물을 가둬두는 용도로 쓰는 홍수조절댐 7곳, 생활용수 등 각종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용수전용댐이 4곳이다. 권역별로는 낙동강권역이 6곳으로 가장 많고, 한강권역 4곳, 영산강·섬진강권역 각 3곳, 금강권역 1곳이다.
다목적댐은 경기 연천 아미천·강원 양구 수입천·충남 청양 지천 등 3곳이 신규 건설 후보지다. 특히 수입천 다목적댐은 총저수용량이 1억㎥로 이번 댐 후보지 중 가장 큰 규모다. 용수전용댐은 강원 삼척의 산기천에 새로 건설할 예정이며, 충북 단양의 단양천·경북 청도의 운문천·전남 화순의 동복천 등은 기존 댐 저수구역 내 새롭게 들어서는 방안이 검토된다. 홍수조절댐은 경북 김천 감천·경북 예천 용두천에 신규 건설하는 방안이, 경남 거제 고현천·경남 의령 가례천·울산 울주 회야강·전남 순천 옥천·전남 강진 병영천 등은 기존 댐을 재개발하는 형태로 건설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955632?sid=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