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한국 망했다”던 미국 교수 “노동·교육·돌봄 모두 초저출생 원인” [뉴스+]
4,127 37
2024.05.25 20:31
4,127 37
“한국 노인의 67%가 가족에 의존한다는 통계를 봤습니다. 딸, 며느리들이 노인을 돌본다고요. 이런 상황에서 여성은 결혼으로 더 많은 책임을 안고 싶지 않겠죠.”
 
조앤 윌리엄스 미국 캘리포니아대 법대 명예교수는 한국의 초저출생 배경으로 근로 문화뿐 아니라 돌봄과 교육이 모두 엮어있다고 봤다. 윌리엄스 교수는 여성과 노동 분야로 11권의 저서와 100편 이상의 학술 논물을 발간한 세계적 석학이다. 지난해 EBS 다큐멘터리에 출연해 “와 한국 완전히 망했네요(Wow, Korea is so screwed)“라 말하며 머리를 부여잡아 국내에서도 유명해졌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24일 일·가정 양립과 유연 근무정책을 연구해온 윌리엄스 교수와 세미나를 열고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를 가졌다.
 



◆“비혼·비출산, 물질적 행복의 조건 됐다”
 
윌리엄스 교수는 2021년  미국 여론조사기관인 퓨 리서치센터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7개국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인용하며 한국인이 의미 있게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짚었다. 해당 조사에서 17개국 중 14개국이 삶의 의미 1순위로 ‘가족’을 꼽았다. 14개국에 들지 않은 한국은 1순위로 ‘물질적 풍요’를 꼽았다. ‘가족 ‘은 ‘건강’에 밀려 3위를 기록했다.


윌리엄스 교수는 “이는 나머지 국가와 큰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라며 “한국은 OECD 국가 중 육아나 자녀 돌봄 지원 규모에서 상위권이지만 그에 대한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윌리엄스 교수는 첫째로 한국의 노동 문화를 지적했다. 그는 “한국의 노동 시간은 전설적”이라며 “더 설명할 필요도 없이 유명한 이야기”라고 했다. OECD 기준 2022년 기준 임금 근로자들의 근로시간은 회원국 평균 연 1719시간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임금 근로자 평균은 1874시간으로 평균보다 155시간, 한 달 기준으로는 13시간 더 많다.
 

그는 교육과 돌봄 정책도 초저출생의 주요한 배경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의 사교육이 과열된 점을 근거로 “좋은 과외 선생님을 구하고, 학원에 태워다주고, 이런 일을 모두 다 엄마들이 하고 있고 홀벌이로는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의 말처럼 지난해 한국경제인협회는 보고서에서 합계 출산율 하락의 26.0%가 ‘사교육비 증가’ 때문이라고 했다. 사교육비가 1만원 오르면 출산율이 0.012명 감소한다는 분석이다.
 
돌봄 정책도 마찬가지다. 윌리엄스 교수는 한국의 노인 돌봄이 가족에 기대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여성은 더 많은 책임을 안는 것을 피하기 위해 결혼을 배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OECD에 따르면 한국 남성의 가사 참여도는 일본과 튀르키예 다음으로 낮게 나타났다. 여성 대비 남성의 육아·가사노동시간 비율은 23%에 불과하다. 
 



◆“결혼, 가장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리스크”
 
윌리엄스 교수는 이 같은 상황에서 한국인이 1순위로 꼽은 ‘물질적 풍요’에 이르는 길은 ‘비혼’, ‘비출산’이라고 했다. 
 
그의 진단에 국내 전문가들도 공감을 표했다. 김원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별영향평가센터장은 결혼과 출산이 여성이 큰 리스크라고 분석했다. 그는 “여성들이 ‘경력에 대한 투자’와 ‘자녀에 대한 투자’를 힘들게 병행할 동인을 못 찾고 있는 것 같다”며 “부모로서의 삶에 대한 가치가 낮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출산율이 근본적으로 반등할 수 있을지에 관 회의감이 든다”고 했다.
 
김 센터장은 2000년대 중반부터 저출생이 국정 과제로 부상하고, 일·가정 양립 정책이 화두가 됐지만 들인 노력에 비해 실효성은 여전히 낮다고 지적했다. 예컨대 육아휴직 정책의 경우 기업의 노동 관행은 그대로인데 유자녀 여성들을 대상으로 “잠깐 육아를 한 뒤 돌아오게 하는”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 센터장은 “기업의 노동 관행을 그대로인 상태에서 실효성에 의문이 든다”고 했다. 
 
김 센터장은 정부가 최근 ‘저출생대응기획부’(가칭)를 설립하겠다고 한 점도 언급하며 “정부가 특단의 조치를 고민하며 인구 위기를 준비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20년간 시행된 정책들이 왜 실패했는지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936026?sid=104

목록 스크랩 (0)
댓글 37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영화이벤트] 아시아 최고 판타스틱 장르 영화제! <제28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예매권 이벤트 173 06.21 30,116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442,763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5,216,997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694,541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금단어 사용 시 무통보 차단 주의] 16.05.21 22,918,632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47 21.08.23 3,899,174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24 20.09.29 2,787,172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382 20.05.17 3,472,715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65 20.04.30 4,056,654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스퀘어 저격판 사용 무통보 차단 주의] 1236 18.08.31 8,496,065
모든 공지 확인하기()
2440296 이슈 김계란 퇴원 14:49 22
2440295 이슈 여름에 콘서트장도착해서 거울보면 몰골이이럼.twt 1 14:49 240
2440294 이슈 최근 영국 유로 경기 후에 손흥민 찾는 레전드들 14:48 250
2440293 이슈 문프 반려묘 찡찡이 오늘 무지개다리 건넜다고 함 32 14:46 1,313
2440292 이슈 20대 때의 기억이 없다는 베이비복스 간미연 19 14:39 1,904
2440291 이슈 컴포즈커피 제로슈거 시즌신메뉴 3가지 영양성분(복숭아아이스티,청포도그린티,캐모마일 리프레시) 16 14:38 1,140
2440290 이슈 [KBO] 핫게간 카리나 시구 시청률 부분 오보로 삭제 39 14:38 2,603
2440289 이슈 끝난 줄 알았는데 끝나지 않은 룩앳미 챌린지.X 14:38 294
2440288 이슈 2024년 상반기 한국 유튜브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케이팝 남녀아이돌그룹 멤버 TOP50 14:38 547
2440287 이슈 엄마한테 배운 거 아빠한테 써먹는 딸래미 15 14:34 2,485
2440286 기사/뉴스 119구조견 '고고', 원주서 실종된 70대 치매 노인 구조 '기특' 10 14:31 1,010
2440285 이슈 낙오된 펭귄의 머나먼 여정.gif 90 14:26 4,298
2440284 이슈 다른 사람을 괴롭히면 안 된다는 걸 가르쳐주는 독일 경찰...insta 5 14:26 1,703
2440283 이슈 영화 챌린저스로 눈도장 좀 찍은 것 같은 아트역 25 14:25 2,158
2440282 기사/뉴스 열애설, 사생 피해, 팬미팅 사기..변우석이 한 달 사이 겪은 일들 [Oh!쎈 초점] 18 14:23 2,018
2440281 이슈 [kbo] 방금 또 나온 체크스윙 오심... 83 14:22 5,742
2440280 이슈 이 노래가 벌써 24년 전 팝송이라니.. ㄴㅇㄱ 11 14:22 2,162
2440279 이슈 이게 되네 싶은 오프로드카의 운행능력.X 1 14:21 465
2440278 이슈 1년 전 오늘 첫방송한 SBS 드라마 악귀.jpgif 11 14:21 1,057
2440277 이슈 실시간 백합덬들 난리나게 만든 애니.twt 18 14:21 2,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