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서울대 전공의 "정부 석달 소통 없어 갈등…환자와 더 소통할 것"
4,399 26
2024.05.20 12:21
4,399 26


“저희가 좋아하고 잘하는 일은 환자를 보는 것입니다. 많은 전공의들이 환자 곁으로 돌아갈 수 있는 그런 상황이 오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우병준 서울대병원 전공의 공동대표(신경외과 4년 차)는 지난 16일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정부가 (의료계에) 진정성 있는 자세를 빨리 보여주면 의료계도 발맞춰 건설적인 논의를 시작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전공의들이 의대 증원에 반대하며 병원을 떠난 지 19일로 석 달째를 맞았다. 그간 이들의 대응 전략은 침묵을 유지하는 ‘탕핑(躺平·아무것도 하지 않고 누워있음) 모드’로 요약된다. 그러나 석 달이 지난 지금, 이들은 “정부와 소통하고 싶다”며 변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공동대표들은 “국민 입장을 헤아렸어야 했다”고 입을 모았다. 서울대병원 전공의는 738명으로, ‘빅5’ 병원 중 숫자가 가장 많다. 다음은 우 공동대표, 박재일 공동대표(내과 3년 차)와 일문일답. 

“석 달 돌아보니 국민 생각했어야” 

우병준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 비대위 공동대표가 16일 서울 중구 서소문 네오스테이션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 하고 있다. 김종호 기자원본보기

우병준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 비대위 공동대표가 16일 서울 중구 서소문 네오스테이션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 하고 있다. 김종호 기자 


Q : ‘전공의 사태’가 3개월이 됐다. 어찌 지냈나.

A : 우: 마음 편한 날은 사실 없었다. 전공의 때 시간적 여유가 없어 막연하게 생각하던 의료 현장의 문제를 공부하고, 어떻게 해결할지 동료들과 고민하던 시간이었다.



Q : 고민의 결과가 있나. 

A : 박: 의료 현장은 병원 안에서 직접 경험하지 않으면 모르는 문제가 적지 않다. 전공의는 수련생·노동자이기도 하지만 전문가라는 정체성이 있다. 젊은 의료 전문가로서 이제는 적극적으로 (의료 정책에 대해) 좀 더 제언하고자 한다. 



Q : 의료정책을 정부가 의사와 상의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A : 박: 의료는 전 국민이 연관된 문제다. 치료 때 환자가 의사를 믿고 의지하듯 의료정책 또한 의사가 더 잘 판단할 부분이 있다. 국민을 위해 전문가로서 강한 제언을 하겠다는 취지다. 


Q : 지난 석 달간 정부도 의료계도 반성할 게 없을까.

A : 우: 국민 입장을 헤아리면서 나아가야 했다. 사태가 악화하면서 날 선 발언이 나오기도 했지만 (국민을 위한다는) 궁극적인 지향점은 같지 않나. 방법론에서 차이가 있다면 충분한 소통을 해야 하지 않을까.


우 대표는 “사태 시작은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 강행”이라면서도 “정부든 의료계든 전향적인 자세로 논의해야 한다. 정부와 충실하게 논의하는 방향을 진심으로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박재일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 비대위 공동대표가 16일 서울 중구 서소문 네오스테이션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 하고 있다. 김종호 기자원본보기

박재일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 비대위 공동대표가 16일 서울 중구 서소문 네오스테이션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 하고 있다. 김종호 기자 


Q : 정부 손을 들어준 서울고법의 결정을 어떻게 보나.

A : 박: 의대 증원의 객관적인 근거 제출을 요구해 국민 알 권리를 생각한 판사님께 감사하다. 의료계는 정책 추진 과정에서 불투명성 등을 우려하는 것인데, 재판 과정에서 의대 증원의 근거가 없음이 더욱 명확해졌다. 



Q : 의대 증원의 절차적 정당성을 문제 삼는 것인가.

A : 우: 정책이 만들어질 때는 문제 인식부터 해결책 도출까지 모든 부분이 투명해야 한다. 재판 과정에서 정부는 말을 여러 번 바꿨고, (정원 배정을 담당한) 의대 정원 배정위원회 회의록 등 상당수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국민을 위해 하는 일이라면 국민이 알아야 하지 않나. 



Q : 의정 갈등 장기화의 원인이 정부라는 뜻인가.

A : 박: 정부는 (‘원점 재검토’라는) 의료계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만 한다. 소통 측면에서 나아지는 게 없으니 장기화로 이어졌다.



Q : 그렇다고 사직이 최선이었나.

A : 우: 사직을 이용하는 게 아니다. 전공의가 기피 과를 지원하지 않는 건 개인 결정이지만 들여다보면 체계에 문제점이 있지 않나. 그런 이치다. 전공의들은 긍지와 자부심이 깨져 남은 수련 기간을 포기한 것이다.



Q : 이 사태에서 가장 큰 피해자는 누구였을까.

A : 우: 당연히 국민이다. 모든 국민은 현재 환자거나 이전에 환자였거나 미래에 필연적으로 환자가 된다. 의사도 사태 해결을 위해 심포지엄 개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문제 해결의 열쇠는 정부에게 있다. 



Q : 지난 4월 30일 서울대 의대·병원 긴급 심포지엄에서 ‘전공의가 전 국민의 공공의 적이 됐다’며 눈물을 흘렸다. 

A : 박: 지난 석 달간 정부는 의사를 문제 해결을 위한 동료로 보는 게 아니라 정책 추진을 막는 장애물로 규정했다. 코로나19 등 국가 보건 위기 때마다 자긍심으로 일해왔던 의료인에게 상처가 됐다. 하지만 정부와 의료계는 힘을 합쳐 문제를 해결해오지 않았나. 의사를 적으로 보지 말고 대화 주체로 봐달라.


박 대표는 “전공의들이 긍지를 가지고 일할 수 있도록 (정부가) 최소한의 존중을 보여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정책을 만드는데 독단으로 처리하지 말고, 전문가 집단과의 치열한 토론을 피하지 말아달라”며 “힘든 순간일수록 (정부와 의료계가) 힘을 합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361292

목록 스크랩 (0)
댓글 26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아이깨끗해 x 더쿠🩵] 휴가 필수품 어프어프 디자인 보냉백&비치백 굿즈 구성! <아이깨끗해x어프어프 썸머 에디션> 체험 이벤트 509 06.10 30,880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266,371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5,013,166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453,081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2,681,937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47 21.08.23 3,828,634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22 20.09.29 2,720,545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380 20.05.17 3,394,803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63 20.04.30 3,964,969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스퀘어 저격판 사용 무통보 차단 주의) 1236 18.08.31 8,367,953
모든 공지 확인하기()
2430169 이슈 30대 중반부터 시작된다는 싸움.jpg 14:59 497
2430168 기사/뉴스 크래비티·시네마 임윤성·카디 김예지, ‘플레이어2’ OST 라인업 공개 2 14:55 93
2430167 이슈 생각보다 나이 들으면 놀라는 사람 많은 여배우 46 14:53 2,194
2430166 정보 진짜 발사믹식초에는 식초가 없다! 6 14:52 835
2430165 이슈 라이즈 'boom boom bass' 스포일러 18 14:52 495
2430164 이슈 오늘자 꽃💐과 푸바오🐼 17 14:52 1,264
2430163 이슈 지진때매 소들 자다가 깨는거봐 13 14:51 1,967
2430162 이슈 친구한테 카톡으로 같이 저녁 먹자고 했더니 이렇게 답장 오면 어떻게 대답할거야? 192 14:49 5,587
2430161 이슈 촬영종료 1년반만에 방송사 편성확정된 거같은 드라마 17 14:49 3,582
2430160 이슈 한이닝에 12점이나 낸 야구의 매력jpg 36 14:47 1,418
2430159 이슈 란마 볼 때 여주보다 이 캐릭터 좋아한 사람 은근 많음 28 14:47 1,385
2430158 이슈 아이브, 넘나 귀여운 유진이 리즈 변신 릴스 6 14:45 363
2430157 이슈 진짜 진짜 진짜 진짜 진짜 맵기로 유명한 냉면...jpg 12 14:44 2,535
2430156 기사/뉴스 '사상 최고가' 한미반도체 9% 급등, LG전자 시총 제쳤다 4 14:44 921
2430155 기사/뉴스 부천판타스틱영화제, AI를 덮어쓰다… 2024년의 개막ㆍ폐막작은? [두기봉 감독 내한] 14:40 255
2430154 기사/뉴스 서울시, '서부선' 이달 실시협약안 마련 목표…내년 착공 예상 1 14:38 351
2430153 기사/뉴스 '아주 사적인 여행' 박미선 "변우석 나오면 업고 다닐 것" [N현장] 1 14:38 312
2430152 이슈 보고 나면 많은 생각이 들게 만드는 트레일러 영상 2 14:37 611
2430151 유머 수준급의 그림 실력을 가졌다고 자부하는 연생.jpg 14:36 1,397
2430150 이슈 꽉찬 얼굴맛집이라는 스위트홈 배우라인업 11 14:36 1,7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