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韓 뮤지컬 객석도 ‘격식’ 논쟁 사라지는 날 올까 [D:이슈]
4,959 31
2024.05.07 08:47
4,959 31
[데일리안 = 박정선 기자] “한국 관객들도 공연을 있는 그대로 즐겼으면 좋겠어요.”

지난 달 25일 미국 뉴욕 브로드웨이 씨어터에서 공식 개막한 뮤지컬 ‘위대한 개츠비’ 단독 리드 프로듀서로 나선 오디컴퍼니 신춘수 대표의 말이다. 이날 공식 오프닝 나잇 공연 이후, 이어진 뒤풀이에서 이 이야기가 여러 차례 화두에 올랐으니 적어도 신 대표만 느낀 감정은 아니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오프닝 나잇 공연이라는 특수한 상황의 영향도 적잖이 작용했을 테지만 이날 공연장은 한국의 여느 공연장 분위기와는 사뭇 달랐다. 공연이 시작하기 전 삼삼오오 모여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차치하더라도, 공연 중에도 자유롭게 음료를 마시고 무대 위 배우들의 연기를 보며 느끼는 감정을 표현하는 것에 있어서 주변 관객의 눈치를 살피지 않는다. 놀라면 놀라는 대로, 웃기면 웃긴 대로, 슬프면 슬픈 대로. 환호하고 박수를 보내는 것도 자유롭다.


국내에선 박수를 보내려다가 대세에 따라 슬쩍 손을 거둬야 하는 민망한 순간을 겪은 적이 있다. 커튼콜에선 그 공연을 어떻게 봤는지 여부와는 무관하게 누가 일어나는지 눈치를 살피며 엉덩이를 들썩이다가 일어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뿐만 아니라 국내 공연계에서는 공연을 관람하는 태도와 관련한 두 가지 ‘논란’까지 있을 정도다. 하나는 타인의 관람을 방해하는 ‘관크’(관객과 크리티컬의 합성어)라는 신조어, 그리고 이와 대척점에서 죽은 듯 공연을 봐야 하냐는 식의 비아냥을 담은 ‘시체관극’ 논란이다.


사실 이 관크, 시체관극 논란 등에 있어서는 초반 한국 공연장의 환경, 구조적인 문제점 때문이란 지적이 많았다. 조금만 허리를 숙여도 무대의 배우가 보이지 않는 기형적인 좌석의 구조, 객석과 객석 사이가 좁다 보니 앞좌석을 발로 차게 되는 현상 등 한정된 공간에 좌석을 욱여넣다 보니 발생하게 되는 것들이다. 사실상 대극장보다 중소극장의 관극 문화에서 관크가 많이 발생하고, 더 엄격한 문화가 형성됐던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언제부턴가는 단순히 이런 구조적, 환경적인 문제를 넘어서 사람들의 인식 문제가 더욱 커진 듯한 분위기를 지우긴 힘들다. 한 공연 관계자는 “‘공연장에선 이러면 안 돼’ ‘공연장에선 무조건 이렇게 해야해’라는 인식이 생긴 것 같다. 사실 공연장에서 ‘무조건’은 없다. 어떤 공연인지에 따라서 당연히 공연을 즐기는 방법이 다를 수밖에 없는데, 여전히 관크와 시체관극 사이에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실제로 불과 몇 달 전까지만 해도 한 온라인 매체에 뮤지컬 ‘리진’과 관련한 칼럼이 게재되면서 ‘시체관극’ 논란이 촉발되기도 했다. 이 논란에서 일부 뮤지컬 팬들의 지나친 예절 요구가 문제가 되면서도 제작사의 대응에도 비판이 쏟아졌다. 공연장 측이 제대로 된 대응 매뉴얼 없이 클레임 해결에만 몰두하면서 공연계의 엄숙주의를 부추겼다는 지적이었다.

이같은 논란이 계속되면서 대중의 피로감이 높아지자 최근에는 사진 촬영, 음식물 섭취 등 소위 ‘관크’ 논란을 사며 금기시되던 것들에 도전하는 작품이 잇따라 나오기도 했다. 국립극단의 연극 ‘스카팽’부터 지난달 공연한 연극 ‘타임스퀘어’, 두산아트센터 스페이스111에서 열린 다윈 예술 ‘메이크 홈, 스위트 홈’ 등이 대표적이다.

그렇다고 무조건 해외의 것이 완벽한 모범 사례라는 건 아니다. 신 대표의 말 역시 ‘있는 그대로’ 공연을 즐기자는 의도이지, 그것을 그대로 수입하자는 건 아니다. 단지 한국의 관극 문화가 조금은 더 부드러워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를 위해서는 쉽지 않겠지만 관람 환경의 개선과 관람 예절의 정도에 대한 업계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827159?sid=103

목록 스크랩 (0)
댓글 31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한율 X 더쿠💛] 8시간 만에 -45% 반쪽모공! 한율 <반쪽모공세럼> 체험 이벤트 ! 654 06.06 57,665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244,063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4,974,896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428,580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2,645,507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47 21.08.23 3,817,221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22 20.09.29 2,700,548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378 20.05.17 3,381,719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63 20.04.30 3,943,897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스퀘어 저격판 사용 무통보 차단 주의) 1236 18.08.31 8,353,130
모든 공지 확인하기()
298008 기사/뉴스 ‘역주행 신화’ VIVIZ(비비지), 대만 단독 콘서트 성료 00:06 69
298007 기사/뉴스 "당장 7월부터 적용? 애 낳기 겁나"‥만삭 임산부들 '부글부글' 00:06 199
298006 기사/뉴스 전직 학원장이 보는 드라마 ‘졸업’…대치동 1타 국어강사 현실 묘사에 사교육계 이해도 높여 06.10 458
298005 기사/뉴스 임성근 전 해병1사단장 "부하들 선처해 달라" 탄원…사고 책임은 부인 2 06.10 326
298004 기사/뉴스 우리은행서 100억 원 규모 대출금 횡령 사고 발생 224 06.10 23,647
298003 기사/뉴스 첸백시 측 “SM, 사건의 본질 왜곡…템퍼링 근거 명확히 밝혀라” 반박(전문)[공식입장] 248 06.10 12,747
298002 기사/뉴스 “소속사가 이런 영상을”…빌리프랩, 고소 진행 상황→민희진 대표의 아일릿-뉴진스 표절 주장 반박 [이슈종합] 12 06.10 1,097
298001 기사/뉴스 한혜진, 온가족 도쿄 여행! 에코백 들고 다니는 수수한 ‘엄마의 순간’..셔츠-숏팬츠룩 5 06.10 4,675
298000 기사/뉴스 정부, 임금체불 지원 예산 2800억 추가 투입 5 06.10 938
297999 기사/뉴스 [단독] RE100 "한국 매우 실망스럽다. 세계시장 잃는 실수 될 것" 49 06.10 8,715
297998 기사/뉴스 루브르 박물관에 유니클로 팝업 열렸다 8 06.10 3,283
297997 기사/뉴스 잘 퍼진 입소문, 열 톱스타 안 부럽네 12 06.10 6,689
297996 기사/뉴스 [단독] 유재석‧유연석 ‘틈만나면,’ 시즌 2 제작 확정…올 가을 첫방 41 06.10 2,670
297995 기사/뉴스 '빌드업 우승' 비디유, 26일 정식 데뷔..'최강 보컬돌' 탄생 1 06.10 835
297994 기사/뉴스 “어머니 치매 갈수록 심해져” SUV 차량 바다 돌진…어머니·형 숨져 228 06.10 36,912
297993 기사/뉴스 '서울의봄' 故 김오랑 유족, 45년 만에 국가에 책임 묻는다 4 06.10 1,473
297992 기사/뉴스 김주현 민정수석 딸, 20살 때 김앤장 인턴‥또 아빠 찬스 논란 32 06.10 4,040
297991 기사/뉴스 해명 나선 산업부 "심해 유전은 처음이라‥" 7월에 첫 시추공 결정 154 06.10 7,976
297990 기사/뉴스 [MBC 단독] 목적지 묻자 다짜고짜 택시기사에게 주먹질‥아찔했던 3분의 질주 7 06.10 993
297989 기사/뉴스 [SC이슈] "법정에서 만나자"..오래 참은 SM, 첸백시 템퍼링에 입 열었다(전문) 43 06.10 4,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