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1억짜리를 150만원에 '뚝딱'…"중국이 해냈다" 업계 화들짝
11,325 38
2024.05.06 10:32
11,325 38

oRaRPg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 둥펑웨샹 본사 앞에 서 있는 자율주행 버스인 ‘셰어링 버스’. 2021년 4월 중국 국유 완성차 업체 둥펑웨샹이 개발한 이 버스는 지난해 우한에서 상업 운영을 시작했다. 

 

 

세계 최대 자율주행 도시로 떠오른 중국 중부의 교통 요충지 우한. 지난달 10일 찾은 우한 자율주행 시범지역에는 운전사가 없는 ‘완전 무인택시’(로보택시)가 여럿 돌아다녔다. 그 옆을 단돈 0.01위안(약 2원)만 주면 탈 수 있는 ‘무인 버스’가 달렸다. “완벽한 자율주행 도시를 가장 먼저 구현해 글로벌 ‘시티 브레인’(지능형 도시) 경쟁의 승자가 될 것”이란 중국의 야심 찬 목표는 서울의 14배 크기 도시를 거대한 미래 기술 실험실로 만들었다.

중국의 자율주행 상용화 속도는 ‘넘사벽’이다. 2013년 자율주행 사업을 시작한 바이두 등이 지난해 우한에서 거둔 로보택시 탑승 건수는 73만2000건. 2008년 출범한 구글의 무인 자동차 자회사 웨이모의 지난해 상업용 운행 기록(약 70만 건)을 넘어섰다. 중국에는 우한 같은 자율주행 시범지역이 베이징, 상하이, 선전 등 16곳이나 더 있다.

 

우한시가 바이두, 샤오미 등에 발급한 자율주행 테스트 차량 번호판은 약 2000개다. 이 중 바이두와 둥펑웨샹 등 2곳엔 상업용 자율주행 차량(로보택시, 무인버스) 면허도 내줬다. 연간 이용 승객은 90만 명에 육박한다. 중국의 자율주행 개방도로는 모두 2만2000㎞에 달하며, 이 중 우한에서만 3378㎞가 자율주행차에 열려 있다.

 

PefUiC

기자가 우한에서 탄 로보택시 내부 모습. 운전사 없이 자율 주행한다.

 

 

자율주행의 핵심 부품인 라이다 가격을 대당 8000위안(약 150만원)으로 낮췄어요. 모두 자체 기술로 만든 겁니다.”

지난달 말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 경제기술개발구에 있는 둥펑웨샹 본사에서 만난 추청 수석전략관이 전시관에 놓인 어른 주먹만 한 크기의 라이다를 가리키며 말했다. 그 옆엔 한눈에 봐도 크기가 3배쯤 돼 보이는 미국 벨로다인의 라이다가 있었다.

 

추 전략관은 “2015년 수입한 미국산 라이다는 대당 가격이 8만달러(약 1억1000만원)였다”며 “150만원짜리 라이다가 나왔다는 건 자율주행 보급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라이다는 전파 대신 직진성이 강한 레이저를 활용해 물체의 위치와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센서다. 정확도가 워낙 높아 ‘자율주행차의 눈’으로 불린다. 하지만 비싼 가격은 자율주행 상용화의 걸림돌 중 하나였다. 업계에선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해 라이다 가격이 2000달러 밑으로 떨어져야 한다고 보는데, 이 숙제를 중국이 해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둥펑웨샹은 중국 자율주행 기술을 세계 표준으로 만드는 데 ‘첨병’ 역할을 한다. 국유 자동차 기업으로 기술력 등이 모두 베일에 가려 있다. 둥펑자동차의 자회사이자 2013년 설립된 회사로,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를 축적하는 둥펑웨샹이 한국 언론에 등장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가성비’ 라이다를 공개한 것도 이례적이란 평가가 나온다.

둥펑은 2021년부터 기술 자립을 위해 연구개발(R&D)에 수조원을 투입하고 있다. 내년까지 예정된 R&D 누적 투자 금액만 1000억위안(약 19조원)에 달한다. 상당액은 정부 곳간에서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둥펑웨샹이 벨로다인 제품과 비교하며 자사 라이더를 한국 언론에 공개한 건 그만큼 기술이 축적됐다는 사실을 대외에 알리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

 

차석원 서울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창업자가 라이다를 쓰지 않고 오로지 카메라만으로 완전 자율주행에 성공하겠다고 말한 이면에는 라이다의 비싼 가격이란 장벽이 있다”고 말했다. 둥펑웨샹 주장대로 라이다 가격을 대폭 낮췄다면 최소한 센서 상용화 기술만큼은 미국을 앞섰다는 얘기가 된다. 벨로다인은 글로벌 1위 라이다 제조사다.
 

중국이 도시 전체를 자율주행 실험실로 만든 건 ‘시티 브레인’이라는 인공지능(AI)과 첨단 모빌리티로 무장된 지능화 도시라는 콘셉트를 수출 모델로 삼기 위해서다. 업계 관계자는 “자율주행이 사고 없이 실행되려면 센서 기술뿐만 아니라 차량용 정밀 지도와 내비게이션도 필수적”이라며 “각 도시 특성에 맞도록 교통 인프라 설계부터 안전 교육까지 토털 솔루션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우한에서 둥펑웨샹 등이 끊임없이 자율주행 상용 서비스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중국이 자율주행 상용화에 얼마나 ‘진심’인지는 단돈 0.01위안(약 2원)에 불과한 자율주행 버스 요금에 그대로 나타나 있다. 자율주행 시대가 왔다는 걸 시민이 체험하고 받아들이게 하기 위해서다. 우한에서는 어릴 때부터 유치원에서도 자율주행 관련 안전 교육을 하고 있다. 추 전략관은 “결국 새로운 기술이 성공할지는 수요 창출에 달렸다”며 “이를 위해선 생산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소비자 인식을 높이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국이 이처럼 자율주행 상용화에 힘쓰는 건 자율주행 기술이 이동 수단의 ‘게임 체인저’일 뿐 아니라 군사용으로도 활용될 수 있어서다. 미·중 기술 패권 전쟁의 핵심 기술이라는 얘기다. 특허청에 따르면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관련 특허(2013~2019년) 비중은 중국이 30.7%로 미국(27.6%)과 일본(20.8%)을 앞섰다.

자율주행 차량에 쓰이는 부품은 대부분 중국 자체 기술로 제작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차세대 통합 제어기가 대표적이다. 둥펑웨샹이 우한에서 운행 중인 자율주행 버스 ‘셰어링 버스’에 쓰인 AI 반도체 ‘A1000’은 중국의 자율주행 AI칩 공급사 헤이즈마즈넝(블랙세서미테크놀로지)이 공급한다. 둥펑웨샹 관계자는 “자율주행차를 움직이는 핵심 두뇌인 차세대 통합 제어기 ADU-100P도 자사가 중국 기술로 개발한 것”이라고 말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50578181

 

 

목록 스크랩 (0)
댓글 38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디어스킨 X 더쿠💛] 모!처럼 달!라진 일주일을 선사하는 <디어스킨 리얼모달> 체험 이벤트 162 06.21 45,990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480,747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5,274,964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731,529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금단어 사용 시 무통보 차단 주의] 16.05.21 22,967,411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47 21.08.23 3,906,200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24 20.09.29 2,806,533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382 20.05.17 3,490,400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65 20.04.30 4,062,213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스퀘어 저격판 사용 무통보 차단 주의] 1236 18.08.31 8,508,317
모든 공지 확인하기()
299672 기사/뉴스 "실적 부진 여파에"…삼성전자, 포브스 '글로벌 2000'서 20위권 밖 밀려 7 02:48 1,762
299671 기사/뉴스 [단독] "미식·명품 공간으로" 갤러리아도 리뉴얼 7 02:45 2,033
299670 기사/뉴스 박세리까지 소환한 '증여세·상속세' 뭐길래…개편 논의 9 00:57 1,951
299669 기사/뉴스 3년 전 욕설·몸싸움 영상에…김호중측 “허위사실 유포 강경 대응” 11 00:05 2,884
299668 기사/뉴스 위하준, 정려원 향한 자책감에 '오열'...'졸업' 최고 시청률 경신했다 4 06.24 2,746
299667 기사/뉴스 트럼프 "이민자 UFC 만들자" 논란...이번 주 TV 토론 21 06.24 1,139
299666 기사/뉴스 유진박, 떡갈비집서 사는 근황 공개 "너무 행복..돈도 잘 있다"[종합] 39 06.24 7,650
299665 기사/뉴스 탈북민단체, 쌀 담은 페트병 200개 북한에 방류 42 06.24 4,292
299664 기사/뉴스 박태환 “변우석 ‘선업튀’ 찍으며 친해져, 촬영 끝나고 먼저 연락” (동상이몽2) 7 06.24 2,611
299663 기사/뉴스 “불법행위 면죄부” 노란봉투법 폄훼한 이정식 노동장관 6 06.24 833
299662 기사/뉴스 음주운전 차량이 무단횡단하던 50세 치어 사망 19 06.24 3,873
299661 기사/뉴스 KBS 전현무? 그럼 우린 배성재...'파리올림픽 역도' 불꽃 튀는 시청률 경쟁 예고 7 06.24 1,402
299660 기사/뉴스 생애 첫 올스타전 명단에 이름 올린 날, 1군 엔트리 말소…롯데 손호영, 햄스트링 관리 차원에서 잠시 쉬어간다 3 06.24 992
299659 기사/뉴스 장군 출신, 훈련병 사망에 "유족들은 운명이라 생각해라" 30 06.24 2,451
299658 기사/뉴스 [단독]3억 실은 차량 눈앞에서 놓친 경찰…강남 한복판서 환전사기 22 06.24 2,697
299657 기사/뉴스 “군대 가면 못 써, 깔깔”…138만 유튜버, 군인 조롱 논란에 결국 23 06.24 5,920
299656 기사/뉴스 구독자 ‘급감’ 인식했나? ‘지역 비하’ 피식대학, “모든 영상 올스톱” 11 06.24 3,946
299655 기사/뉴스 "밴에서 내리면 한대씩"…뉴진스 칼부림 예고글 올라와 '비상' 222 06.24 30,942
299654 기사/뉴스 빌라서 부자 숨진 채 발견…20대 아들이 아버지 살해 추정 9 06.24 4,243
299653 기사/뉴스 전통시장 카드 소득공제율 40→80%…온누리상품권 사용처도 확대 2 06.24 1,8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