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theqoo.net/DLhEA
(서울=연합뉴스) 강종훈 기자 = 최근 5년간 해외에서 가장 많이 팔린 한국문학 작품은 조남주 작가의 '82년생 김지영'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문학번역원이 2016~2020년 해외에서 출간된 한국문학 판매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82년생 김지영'은 이 기간 10개 언어권에서 30만부 이상 판매됐다. 특히 일본에서는 2018년 출간 이후 20만부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았다.
한강의 '채식주의자'는 13개 언어권에서 16만부 이상 판매됐다. 손원평의 '아몬드'는 일본에서 9만부 이상, 정유정의 '종의 기원'은 브라질에서 2만부 이상 판매됐다.
이는 번역원 지원으로 해외 출간된 한국문학 총 658종(37개 언어권) 가운데 약 75%에 해당하는 492종(30개 언어권)의 판매량을 파악한 결과다.
조사 결과 5년간 누적 5천부 이상 팔린 책은 34종이었다. 2020년 출간돼 한 해 동안 5천부 이상 판매된 작품도 16종에 달했다. 독일어로 출간된 김영하의 '살인자의 기억법'은 2020년 독일 독립출판사 문학상과 독일 추리문학상 국제부문을 수상하며 1만부 이상 판매됐다.
한국문학 해외 출간과 판매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번역원 지원으로 해외에서 출간된 한국문학은 2017년 127종에서 지난해 186종까지 늘었다. 민간 재단인 대산문화재단 지원분까지 더하면 한 해 200종 이상이 해외에서 출간되는 셈이다.
'82년생 김지영'이나 '아몬드'처럼 특정 국가에서 베스트셀러나 스테디셀러가 된 작품이 여러 언어권에서 출간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한국문학이 세계 시장에서 독자적 경쟁력을 증명하며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번역원은 설명했다.
최근 번역원의 전체 지원 건수 가운데 해외 출판사가 한국문학 작품 출간을 확정하고 번역을 신청하는 비중도 80%에 달한다.
한국문학번역원은 "이는 한국문학을 출간하고자 하는 자생적 수요가 확연히 증가했음을 나타낸다"며 "이제 한국문학이 '문학 한류'의 초입에 서 있다고도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double@yna.co.kr
https://www.yna.co.kr/view/AKR20220118041700005
(서울=연합뉴스) 강종훈 기자 = 최근 5년간 해외에서 가장 많이 팔린 한국문학 작품은 조남주 작가의 '82년생 김지영'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문학번역원이 2016~2020년 해외에서 출간된 한국문학 판매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82년생 김지영'은 이 기간 10개 언어권에서 30만부 이상 판매됐다. 특히 일본에서는 2018년 출간 이후 20만부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았다.
한강의 '채식주의자'는 13개 언어권에서 16만부 이상 판매됐다. 손원평의 '아몬드'는 일본에서 9만부 이상, 정유정의 '종의 기원'은 브라질에서 2만부 이상 판매됐다.
이는 번역원 지원으로 해외 출간된 한국문학 총 658종(37개 언어권) 가운데 약 75%에 해당하는 492종(30개 언어권)의 판매량을 파악한 결과다.
조사 결과 5년간 누적 5천부 이상 팔린 책은 34종이었다. 2020년 출간돼 한 해 동안 5천부 이상 판매된 작품도 16종에 달했다. 독일어로 출간된 김영하의 '살인자의 기억법'은 2020년 독일 독립출판사 문학상과 독일 추리문학상 국제부문을 수상하며 1만부 이상 판매됐다.
한국문학 해외 출간과 판매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번역원 지원으로 해외에서 출간된 한국문학은 2017년 127종에서 지난해 186종까지 늘었다. 민간 재단인 대산문화재단 지원분까지 더하면 한 해 200종 이상이 해외에서 출간되는 셈이다.
'82년생 김지영'이나 '아몬드'처럼 특정 국가에서 베스트셀러나 스테디셀러가 된 작품이 여러 언어권에서 출간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한국문학이 세계 시장에서 독자적 경쟁력을 증명하며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번역원은 설명했다.
최근 번역원의 전체 지원 건수 가운데 해외 출판사가 한국문학 작품 출간을 확정하고 번역을 신청하는 비중도 80%에 달한다.
한국문학번역원은 "이는 한국문학을 출간하고자 하는 자생적 수요가 확연히 증가했음을 나타낸다"며 "이제 한국문학이 '문학 한류'의 초입에 서 있다고도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double@yna.co.kr
https://www.yna.co.kr/view/AKR2022011804170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