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읽는 <월간팝송> 2탄... 84년 내한한 퀸의 존 디콘과 로저 테일러 인터뷰
3월 30일부터 2박 3일 체류... “가을에 한국공연 갖겠다”
글 김태완 월간조선 기자
https://img.theqoo.net/UhEEM
<월간팝송> 1984년 5월호에 실린 존과 로저의 인터뷰 모습이다.
퀸의 베이시스트 존 디콘과 드러머 로저 테일러가 1984년 3월 30일 김포공항을 통해 한국을 찾았다. 2박 3일간 머무르며 KBS 라디오 <김광한의 팝스다이얼>과 KBS TV <100분쇼>에 출연했다. 또 <월간팝송>과 인터뷰를 가졌다. 그리고 “가을에 한국공연을 갖겠다”며 서울 잠실체육관을 직접 둘러보았다. 당시 일정은 이랬다.
3월 30일 21:25 김포공항 도착. 숙소(신라호텔)행
3월 31일 11:00 <월간팝송> 단독 인터뷰
12:00 <김광한의 팝스다이얼> 방송 녹음
15:00 <이종환의 밤의 디스크쇼> 방송 녹음
18:30 공동 기자회견(KBS VIP룸)
19:00 KBS TV <100분쇼> 녹화
4월 1일 한국공연을 위한 장소 예정지 구경(잠실체육관)
17:30 김포공항 출국. 홍콩 경유 호주로 떠남.
3월 30일 밤 9시가 넘어 김포공항에 도착한 존 디콘과 로저 테일러는 공항출구에서 기다리던 팬들과 조우했다. 꽃다발과 선물을 주려는 이들로 출국장 주변이 아수라장이 되었다고 한다. 숙소인 신라호텔을 향해 출발한 차내에서 ‘한국에 온 기분이 어떠냐’는 기자의 질문에 로저는 “Very Fine!”이라고 말했다. 숙소로 이동하는 차 안에서 차창 밖 서울 밤거리를 유심히 살펴보는 로저의 얼굴이 ‘무척이나 호기심 어린 표정’이었다고 <월간팝송>은 전한다.
<월간팝송>과의 인터뷰는 3월 31일 오전 11시부터 시작됐다. 장소는 신라호텔 1430호.
<월간팝송> 84년 5월호에 실린 두 사람의 인터뷰 내용을 일부 발췌해 소개한다.
- 우선 한국을 방문한 것과 본지와의 단독인터뷰에 응해주신 일에 감사드립니다. 무엇보다 먼저, 82년도의 앨범 〈Hot Space〉이후로는 아무런 음악 활동을 하지 않은 이유를 알고 싶고 (덕분에 국내에선 퀸의 해산설도 떠돌았다.) 또 그간 어떻게 지냈는지 궁금합니다.
존: 사실 그 이전엔 너무 지속적으로 공연 및 레코딩을 해왔기 때문에 신선한 감각을 되찾기 위해 휴식이 필요했지요.
로저: 실은 2년 더 쉴 작정이었는데 쉬다 보니 할 일도 없고 (겸연쩍은 웃음) 너무 무료한 나머지 다시 모이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동안 다들 마음놓고 푹 쉬었죠.
https://img.theqoo.net/ZuOMF
1984년 <월간팝송> 5월호에 실린 퀸의 앨범 의 광고.
- 이번에 참 멋진 새 앨범〈The Works〉를 선사해 주셔서 고마운데요 (이에 로저는 질문자에게 지난번 앨범 〈Hot Space〉와 새 앨범 중 어느 것이 더 좋으냐고 질문해 왔다) 특히 이 앨범의 다양성에 대해 퍽 놀랐어요. 이 앨범의 주요 주제라면 어떤 것이라고 할 수 있나요?
로저 : 주제요? 글쎄, 주제라기보다는 우선 우리는 이 앨범에서 여러 가지 종류의 음악을 들려주겠다는 생각으로 출발했지요. 즉 우리가 지닌 다양한 스타일의 음악으로 사람들이 우리 퀸 그룹에게서 듣고 싶어하는 종류의 음악들을 모두 융합하고자 한 거지요. 예를 들어 로카빌리 스타일(〈Man On The Prowl〉)에서 헤비록 (〈Hammer To Fall〉), 그리고 뉴뮤직 취향의 (〈Radio Ga Ga〉)까지 여러 가지를 믹스하고 싶었어요. 사실 지난번 앨범 <Hot Space>는 댄스록에 보다 가까웠는데 이번 앨범은 그런 의미에서 다양성이 주가 된 앨범이지요.
- 로저에게 묻겠는데 당신이 작곡한 〈Radio Ga Ga〉는 현재 한국에서 매우 인기있는 싱글입니다. (그러자 “오, 땡큐”를 연발) 이 곡에 대한 착상은 어디서 얻은 것인가요?
로저: 아, 이 노래는 내 어린 아들 덕분에 얻은 곡이에요. 그 애가 라디오를 틀고는 즐거워하는 것을 보고 예전 TV도 없던 시절의 어린이들이나 사람들에게는 라디오가 얼마나 중요한 것이었는지를 회상하게 되었지요. 우리만 해도 자라면서는 그 무엇보다 라디오를 통해 Jimi Hendrix나 Beatles를 들으면서 자랐거든요. 요즘은 비디오 등 시각적인 면이 너무나 지나칠 정도로 중요성을 띠게 되어 라디오가 그만큼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되었지만, 그래도 음악을 듣는 데 라디오가 제일이죠.
https://img.theqoo.net/Udyug
<월간팝송>을 읽고 있는 존과 로저.
- 'Radio Ga Ga'에서 ‘Ga Ga’란 무슨 뜻인가요?
로저 : 아, 그것은 ‘little crazy’라는 뜻으로 어린애 같다는 의미를 지닌, 일종의 베이비 토크(baby talk 어린애의 웅얼거리는 소리)지요.
- 존, 당신이 쓴 곡 'I Want To Break Free' 역시 'Radio Ga Ga'에 이어 두 번째 싱글로 발매될 예정이라던데….
존: 네 그래요. 우선 영국에서는 5월에 발매 예정이지요. (그러면서 존은 ‘둥두기 둥둥’ 하고 'I Want To~'의 리듬을 흉내내 보였다.)
- 그 밖에 이 앨범 중 'Man On The Prowl' 'It's A Hard Life'는 모두 실연(失戀)에 관한 곡들인데 이 노래들은 당신들의 개인적인 경험에 관한 것인가요?
존: 그 노래는 둘다 프레디 머큐리가 쓴 것이므로 프레디에게 물어보아야 할 거예요.(로저와 존 둘 다 웃음)
로저: 내 생각에는 아마 그러한 개인적인 경험이 밑바닥에 깔려 있었을 거라고 봐요.
- 한국의 방송은 심의기준을 따르기 때문에 퀸의 인기곡 중에서도 금지곡이 많아요. 'Another One Bites The Dust' 'Body Language' 'Bohemian Rhapsody' 등. (이에 로저는 ‘오우’ 하고 안타까운 소리를 내며 ‘그 곡은 우리의 대표곡 중 하나’라고 놀란 표정을 풀지 않았다.) 이러한 금지곡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로저: 우리로선 이해할 수 없어요. 우린 결코 정치적인 그룹은 아닙니다. 물론 과거에도 그랬구요. 특히 나는 단지 음악을 만들고자 할 뿐이에요. 그러니 나로선 그러한 조치가 이해가 가지 않을뿐더러 앞으로도 이해가 가지 않을 것 같아요.
존: 그러면 그러한 금지곡들은 클럽에서도 들을 수 없나요?
- 물론이죠.
- 퀸의 음악에 있어 가장 영향을 주는 음악이라든지, 신념, 철학, 그리고 환경이라면 어떤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로저: 음악적 환경요? 아, 어려운 질문인데요.
존: 명확하게는 말할 수 없겠는데요.
로저: 환경, 우선 환경이라면 자신이 처한 곳, 자신이 느끼는 감정, 라디오에서 들려오는 음악 등을 우선 들을 수 있겠지요.
존: 그리고 자신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그 모든 것이 이러한 것들이라고 할 수 있고요.
로저: 또한 자신을 행복하게 해주는 것들이 모두가 음악을 만들게 해주는 요소지요.
- 과거 당신들에게 영향을 끼친 음악이나 아티스트, 그리고 현재 흥미를 갖고 있는 그룹이나 음악은 어떤 것인가요?
로저: 난 신진그룹들을 퍽 좋아해요. 예를 들어 U2, Simple Minds 등등...
존: 그리고 우리가 어렸을 땐 엘리브 프레슬리와 클리프 리처드, 비틀즈 등 록스타들의 음악을 좋아했지요.
로저: 비틀스 중에서도 특히 존 레논을 난 좋아했어요. 그리고 지미 헨드릭스도.
- 퀸 멤버들은 여가 시간에는 주로 무얼 하나요?
로저, 존: 아이쿠, 우린 여가 시간이 거의 없는 걸요.(웃음) 하지만 혹 여가가 있으면 스키를 타거나 일광욕 등으로 시간을 보내지요.
- 앞으로의 계획은?
존: 우선 7월에는 남아프리카 공연이 있고 8월엔 유럽 공연, 9월엔 미국 공연, 그리고 10월엔 극동지방에 오게 되는데 일본 공연과 더불어 가능한 한 한국 공연을 가지고 싶어요. 그리고 그후 홍콩, 방콕 등을 방문하게 되지요.
- 그렇다면 10월에 다시 볼 것을 기대해야 하겠군요. (웃음) 오랜 시간 동안의 인터뷰 감사드립니다. 그럼 10월에 만나게 되길 바랍니다.
로저: 우리도 꼭 다시 오고 싶어요.(그러면서 “See you again”하며 손을 내민다.)
--------------------------
그러나 존과 로저의 희망은 끝내 성사되지 못했다. 그해 10월 서울 공연이 없던 일이 된 것은 금지곡 때문이 아니었을까.
원문 링크
http://m.monthly.chosun.com/client/mdaily/daily_view.asp?Idx=5660&Newsnumb=2018125660#TOP
인터뷰 질문도 의외로? 알차고 좋고 로저, 디콘 둘다 참 성실하고 예의바르게 대답 잘한거 같아서 읽기 즐거운 인터뷰
결론은 전대갈 ㅂㄷㅂㄷ
3월 30일부터 2박 3일 체류... “가을에 한국공연 갖겠다”
글 김태완 월간조선 기자
https://img.theqoo.net/UhEEM
<월간팝송> 1984년 5월호에 실린 존과 로저의 인터뷰 모습이다.
퀸의 베이시스트 존 디콘과 드러머 로저 테일러가 1984년 3월 30일 김포공항을 통해 한국을 찾았다. 2박 3일간 머무르며 KBS 라디오 <김광한의 팝스다이얼>과 KBS TV <100분쇼>에 출연했다. 또 <월간팝송>과 인터뷰를 가졌다. 그리고 “가을에 한국공연을 갖겠다”며 서울 잠실체육관을 직접 둘러보았다. 당시 일정은 이랬다.
3월 30일 21:25 김포공항 도착. 숙소(신라호텔)행
3월 31일 11:00 <월간팝송> 단독 인터뷰
12:00 <김광한의 팝스다이얼> 방송 녹음
15:00 <이종환의 밤의 디스크쇼> 방송 녹음
18:30 공동 기자회견(KBS VIP룸)
19:00 KBS TV <100분쇼> 녹화
4월 1일 한국공연을 위한 장소 예정지 구경(잠실체육관)
17:30 김포공항 출국. 홍콩 경유 호주로 떠남.
3월 30일 밤 9시가 넘어 김포공항에 도착한 존 디콘과 로저 테일러는 공항출구에서 기다리던 팬들과 조우했다. 꽃다발과 선물을 주려는 이들로 출국장 주변이 아수라장이 되었다고 한다. 숙소인 신라호텔을 향해 출발한 차내에서 ‘한국에 온 기분이 어떠냐’는 기자의 질문에 로저는 “Very Fine!”이라고 말했다. 숙소로 이동하는 차 안에서 차창 밖 서울 밤거리를 유심히 살펴보는 로저의 얼굴이 ‘무척이나 호기심 어린 표정’이었다고 <월간팝송>은 전한다.
<월간팝송>과의 인터뷰는 3월 31일 오전 11시부터 시작됐다. 장소는 신라호텔 1430호.
<월간팝송> 84년 5월호에 실린 두 사람의 인터뷰 내용을 일부 발췌해 소개한다.
- 우선 한국을 방문한 것과 본지와의 단독인터뷰에 응해주신 일에 감사드립니다. 무엇보다 먼저, 82년도의 앨범 〈Hot Space〉이후로는 아무런 음악 활동을 하지 않은 이유를 알고 싶고 (덕분에 국내에선 퀸의 해산설도 떠돌았다.) 또 그간 어떻게 지냈는지 궁금합니다.
존: 사실 그 이전엔 너무 지속적으로 공연 및 레코딩을 해왔기 때문에 신선한 감각을 되찾기 위해 휴식이 필요했지요.
로저: 실은 2년 더 쉴 작정이었는데 쉬다 보니 할 일도 없고 (겸연쩍은 웃음) 너무 무료한 나머지 다시 모이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동안 다들 마음놓고 푹 쉬었죠.
https://img.theqoo.net/ZuOMF
1984년 <월간팝송> 5월호에 실린 퀸의 앨범 의 광고.
- 이번에 참 멋진 새 앨범〈The Works〉를 선사해 주셔서 고마운데요 (이에 로저는 질문자에게 지난번 앨범 〈Hot Space〉와 새 앨범 중 어느 것이 더 좋으냐고 질문해 왔다) 특히 이 앨범의 다양성에 대해 퍽 놀랐어요. 이 앨범의 주요 주제라면 어떤 것이라고 할 수 있나요?
로저 : 주제요? 글쎄, 주제라기보다는 우선 우리는 이 앨범에서 여러 가지 종류의 음악을 들려주겠다는 생각으로 출발했지요. 즉 우리가 지닌 다양한 스타일의 음악으로 사람들이 우리 퀸 그룹에게서 듣고 싶어하는 종류의 음악들을 모두 융합하고자 한 거지요. 예를 들어 로카빌리 스타일(〈Man On The Prowl〉)에서 헤비록 (〈Hammer To Fall〉), 그리고 뉴뮤직 취향의 (〈Radio Ga Ga〉)까지 여러 가지를 믹스하고 싶었어요. 사실 지난번 앨범 <Hot Space>는 댄스록에 보다 가까웠는데 이번 앨범은 그런 의미에서 다양성이 주가 된 앨범이지요.
- 로저에게 묻겠는데 당신이 작곡한 〈Radio Ga Ga〉는 현재 한국에서 매우 인기있는 싱글입니다. (그러자 “오, 땡큐”를 연발) 이 곡에 대한 착상은 어디서 얻은 것인가요?
로저: 아, 이 노래는 내 어린 아들 덕분에 얻은 곡이에요. 그 애가 라디오를 틀고는 즐거워하는 것을 보고 예전 TV도 없던 시절의 어린이들이나 사람들에게는 라디오가 얼마나 중요한 것이었는지를 회상하게 되었지요. 우리만 해도 자라면서는 그 무엇보다 라디오를 통해 Jimi Hendrix나 Beatles를 들으면서 자랐거든요. 요즘은 비디오 등 시각적인 면이 너무나 지나칠 정도로 중요성을 띠게 되어 라디오가 그만큼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되었지만, 그래도 음악을 듣는 데 라디오가 제일이죠.
https://img.theqoo.net/Udyug
<월간팝송>을 읽고 있는 존과 로저.
- 'Radio Ga Ga'에서 ‘Ga Ga’란 무슨 뜻인가요?
로저 : 아, 그것은 ‘little crazy’라는 뜻으로 어린애 같다는 의미를 지닌, 일종의 베이비 토크(baby talk 어린애의 웅얼거리는 소리)지요.
- 존, 당신이 쓴 곡 'I Want To Break Free' 역시 'Radio Ga Ga'에 이어 두 번째 싱글로 발매될 예정이라던데….
존: 네 그래요. 우선 영국에서는 5월에 발매 예정이지요. (그러면서 존은 ‘둥두기 둥둥’ 하고 'I Want To~'의 리듬을 흉내내 보였다.)
- 그 밖에 이 앨범 중 'Man On The Prowl' 'It's A Hard Life'는 모두 실연(失戀)에 관한 곡들인데 이 노래들은 당신들의 개인적인 경험에 관한 것인가요?
존: 그 노래는 둘다 프레디 머큐리가 쓴 것이므로 프레디에게 물어보아야 할 거예요.(로저와 존 둘 다 웃음)
로저: 내 생각에는 아마 그러한 개인적인 경험이 밑바닥에 깔려 있었을 거라고 봐요.
- 한국의 방송은 심의기준을 따르기 때문에 퀸의 인기곡 중에서도 금지곡이 많아요. 'Another One Bites The Dust' 'Body Language' 'Bohemian Rhapsody' 등. (이에 로저는 ‘오우’ 하고 안타까운 소리를 내며 ‘그 곡은 우리의 대표곡 중 하나’라고 놀란 표정을 풀지 않았다.) 이러한 금지곡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로저: 우리로선 이해할 수 없어요. 우린 결코 정치적인 그룹은 아닙니다. 물론 과거에도 그랬구요. 특히 나는 단지 음악을 만들고자 할 뿐이에요. 그러니 나로선 그러한 조치가 이해가 가지 않을뿐더러 앞으로도 이해가 가지 않을 것 같아요.
존: 그러면 그러한 금지곡들은 클럽에서도 들을 수 없나요?
- 물론이죠.
- 퀸의 음악에 있어 가장 영향을 주는 음악이라든지, 신념, 철학, 그리고 환경이라면 어떤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로저: 음악적 환경요? 아, 어려운 질문인데요.
존: 명확하게는 말할 수 없겠는데요.
로저: 환경, 우선 환경이라면 자신이 처한 곳, 자신이 느끼는 감정, 라디오에서 들려오는 음악 등을 우선 들을 수 있겠지요.
존: 그리고 자신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그 모든 것이 이러한 것들이라고 할 수 있고요.
로저: 또한 자신을 행복하게 해주는 것들이 모두가 음악을 만들게 해주는 요소지요.
- 과거 당신들에게 영향을 끼친 음악이나 아티스트, 그리고 현재 흥미를 갖고 있는 그룹이나 음악은 어떤 것인가요?
로저: 난 신진그룹들을 퍽 좋아해요. 예를 들어 U2, Simple Minds 등등...
존: 그리고 우리가 어렸을 땐 엘리브 프레슬리와 클리프 리처드, 비틀즈 등 록스타들의 음악을 좋아했지요.
로저: 비틀스 중에서도 특히 존 레논을 난 좋아했어요. 그리고 지미 헨드릭스도.
- 퀸 멤버들은 여가 시간에는 주로 무얼 하나요?
로저, 존: 아이쿠, 우린 여가 시간이 거의 없는 걸요.(웃음) 하지만 혹 여가가 있으면 스키를 타거나 일광욕 등으로 시간을 보내지요.
- 앞으로의 계획은?
존: 우선 7월에는 남아프리카 공연이 있고 8월엔 유럽 공연, 9월엔 미국 공연, 그리고 10월엔 극동지방에 오게 되는데 일본 공연과 더불어 가능한 한 한국 공연을 가지고 싶어요. 그리고 그후 홍콩, 방콕 등을 방문하게 되지요.
- 그렇다면 10월에 다시 볼 것을 기대해야 하겠군요. (웃음) 오랜 시간 동안의 인터뷰 감사드립니다. 그럼 10월에 만나게 되길 바랍니다.
로저: 우리도 꼭 다시 오고 싶어요.(그러면서 “See you again”하며 손을 내민다.)
--------------------------
그러나 존과 로저의 희망은 끝내 성사되지 못했다. 그해 10월 서울 공연이 없던 일이 된 것은 금지곡 때문이 아니었을까.
원문 링크
http://m.monthly.chosun.com/client/mdaily/daily_view.asp?Idx=5660&Newsnumb=2018125660#TOP
인터뷰 질문도 의외로? 알차고 좋고 로저, 디콘 둘다 참 성실하고 예의바르게 대답 잘한거 같아서 읽기 즐거운 인터뷰
결론은 전대갈 ㅂㄷㅂ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