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너무 사랑하는데 영화가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면? 재능과 욕망이 불일치 할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 1970년 영화촬영현장 한 가운데로 뛰어들어 외친다. 그럼에도 우리는 왜 계속 영화를 만들 수 밖에 없는가.
김기영 감독을 모티브로 했다지만 영화 속 영화인 <거미집>의 톤을 <화녀> <충녀> 등에서 빌려왔을 뿐, 신상옥 감독 비롯해 사실상 6,70년대 한국영화 전반 코드를 코믹한 터치로 변주한다. 뼈대는 <조용한 가족>, <반칙왕> 같은 초기 코미디를 연상시키는 소동극.
"걸작이 될 것 같아!" 역량보다 큰 것을 감당해야 하는 정신없는 하루. 넘치는 열정과 불안, 약간의 흥분상태가 뒤섞인 혼돈의 도가니. 빠르고 정신없고 즐겁다. <카메라를 멈추면 안돼><웰컴 미스터 맥도날드> 등이 생각나는, 오랜만에 보는 제대로 된 앙상블의 영화.
김지운 감독은 송강호의 톤을 제일 잘 살릴 수 있는 무대를 만들어두고, 연기 괴물을 풀어놓는다. 놀라운 건 이 많은 배우 중에 구멍 하나가 없다는 거. 설사 있다해도 정신없는 에너지에 쓸려가 안 보인다. 물론 완벽과는 거리가 멀다. 영화 속 영화로 증명하듯 그런 건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거니까 굳이 꼽자면 내러티브 구멍은 꽤 많다. 중요해보였던 인물이 어느 순간 사라지기도 하고. 영화 속 영화를 찍는 장면과 완성된 장면이 불일치 하는 것도 몰입을 방해하고. 그럼에도 충분히 재밌고, 위로받았다. 매일 매순간 초라한 몰골을 마주하더라고 꿈꾸고 버둥거리며 버티기.
김기영 감독을 모티브로 했다지만 영화 속 영화인 <거미집>의 톤을 <화녀> <충녀> 등에서 빌려왔을 뿐, 신상옥 감독 비롯해 사실상 6,70년대 한국영화 전반 코드를 코믹한 터치로 변주한다. 뼈대는 <조용한 가족>, <반칙왕> 같은 초기 코미디를 연상시키는 소동극.
"걸작이 될 것 같아!" 역량보다 큰 것을 감당해야 하는 정신없는 하루. 넘치는 열정과 불안, 약간의 흥분상태가 뒤섞인 혼돈의 도가니. 빠르고 정신없고 즐겁다. <카메라를 멈추면 안돼><웰컴 미스터 맥도날드> 등이 생각나는, 오랜만에 보는 제대로 된 앙상블의 영화.
김지운 감독은 송강호의 톤을 제일 잘 살릴 수 있는 무대를 만들어두고, 연기 괴물을 풀어놓는다. 놀라운 건 이 많은 배우 중에 구멍 하나가 없다는 거. 설사 있다해도 정신없는 에너지에 쓸려가 안 보인다. 물론 완벽과는 거리가 멀다. 영화 속 영화로 증명하듯 그런 건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거니까 굳이 꼽자면 내러티브 구멍은 꽤 많다. 중요해보였던 인물이 어느 순간 사라지기도 하고. 영화 속 영화를 찍는 장면과 완성된 장면이 불일치 하는 것도 몰입을 방해하고. 그럼에도 충분히 재밌고, 위로받았다. 매일 매순간 초라한 몰골을 마주하더라고 꿈꾸고 버둥거리며 버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