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라서 스퀘어에 좀 올리게씀
티켓 번호, 기프티콘 바코드, 본명 등등 사진을 공유해야할때 민감한 정보가 포함되어있으면 보통 그림판으로 대충 쓱쓱 지우고는 하는데 여기서 진짜 조심해야할거 있음.
![OMEpb.png](https://img.theqoo.net/img/OMEpb.png)
윈도우 10 그림판 기준 총 9개의 브러쉬를 제공하는데 실험을 위해 각 브러쉬별로 글자 위에 칠해보았음.
![sZSMJ.png](https://img.theqoo.net/img/sZSMJ.png)
일단 인간의 눈으로 보기에는 다 가려진것 같아보임.
![obray.png](https://img.theqoo.net/img/obray.png)
그런데 프로그램을 이용해 밝기를 조정하니 맨 위의 4개의 브러쉬를 제외하고는 전부다 복구가 가능.
이는 아래 5개의 브러쉬가 투명도를 가진 브러쉬라서 아무리 많이 칠해놓아도 복구가 가능한 것.
(사용 프로그램: 포토 스케이프, 사진 편집 -> 밝기, 색상)
![vrtYE.png](https://img.theqoo.net/img/vrtYE.png)
다만, 파일 저장을 png가 아닌 jpg로 했을 경우에는 상당히 많이 깨져서 알아보기 어려웠음.
![MiItC.png](https://img.theqoo.net/img/MiItC.png)
사람 얼굴은 어디까지 복구 가능한지 테스트 해보기로 함. (저작권 무료 이미지 사용)
![nPhRW.png](https://img.theqoo.net/img/nPhRW.png)
![nPhRW.png](https://img.theqoo.net/img/nPhRW.png)
![GGpCb.png](https://img.theqoo.net/img/GGpCb.png)
식별 가능할 만큼 충분히 복구 가능
![IlIUQ.png](https://img.theqoo.net/img/IlIUQ.png)
jpg로 저장할 시 png 만큼은 아니더라도 어느정도는 식별 가능하게 복구 가능.
결론은 민감한 정보를 투명도가 유지되는 그림판 브러쉬로 대충 쓱쓱 하고 png 무손실 파일로 공유할 시 충분히 복구가 가능하다는 것.
이는 꼭 그림판 뿐만 아니라 사진 편집 어플이든 무슨 프로그램이 됐든 투명도가 존재하는 모든 브러쉬들이 대부분 해당될 가능성이 높음.
아예 선택 영역을 지정하고 삭제해서 완전히 없애버리는게 제일 안전함.
출처 : https://theqoo.net/1464750509
여기까진 여기서 퍼온글이야
메애기 닉네임 > 이런걸 누가 번거롭게 이딴짓을하냐 하는데 더 번거로운걸로도 찾은 사람이 있다는걸 오늘 알음ㅋㅋㅋㅋㅋㅋ
개인정보 > 이건 현생관련이니까 더 조심해야함
이 두개 가릴때는 그냥 그림판으로
![BRAxR.png](http://img.theqoo.net/img/BRAxR.png)
이렇게 지정해서 딜리트키 눌러서 삭제 후 올리던가
![ijfWA.png](http://img.theqoo.net/img/ijfWA.png)
직사각형(원하는모양)도구 클릭 후 색1은 사각형 선색, 색2는 사각형 내부 색 말하는거거든
색2가 흰색으로 되어있을텐데
왼쪽 채우기버튼 누르고 단색 선택한 후 색2를 지정하면
![JCQWF.png](http://img.theqoo.net/img/JCQWF.png)
이렇게 모자이크 가능 ㅇ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