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조합 기반 플레이란 무엇인가?
조합 기반 플레이라는 개념은 간단히 뽑은 조합에 맞게 플레이하는 것을 뜻한다. 쉽게 예시를 들자면, 내가 중후반 한타에 강점이 있는 조합을 뽑았을 때 좋은 조합 기반 플레이는 초중반은 안정적으로 버티면서 손해를 최소화하면서 적 침입을 막은 후 이후 오브젝트 앞에서 5대5 한타를 설계하는 식이다.
말로 들으면 너무나도 간단명료한 개념이지만, 리그오브레전드의 복잡함 덕분에 조합이 저정도로 일차원적인 경우는 드물다. 또한 밴픽창에서 짠 조합이 아무리 이해하고 수행하기 쉬워보일지라도 실제 협곡에서 구상한 조합의 의도에 맞게 플레이하기는 아주 어렵다. 개인적으로 강팀이 강한 이유는 맵에서 치고박는 두 조합 - 본인과 적 - 의 강점과 시너지를 이해하고 자기 조합의 강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적 조합이 강한 타이밍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섬세하게 구상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개념의 수행을 비교관찰하기 위해 저번 주말 LCK, LEC, LCS에서 진행된 플옵 다전제를 분석하고자 한다.
원글
https://www.reddit.com/r/leagueoflegends/comments/pa6med/compositional_play_a_look_at_one_of_the_aspects/
번역
1) 담원기아 vs 농심 https://m.fmkorea.com/3858770573
2) 매드라이온즈 vs 로그, 팀리퀴드 vs 100도둑 https://m.fmkorea.com/3858926004
레딧에 올라온 분석 번역한 글인데 흥미로운 부분이 많아서 링크 가져옴 경기 없어서 심심한 덬들 읽으라고 ㅋㅋㅋㅋ 이후는 링크 들어가서 보면 됨 너무 길어서 다는 못 가져왔어.. 이번 플옵 보면서 담원 매드 둘 다 팀적인 플레이가 잘되는 팀이라고 느껴서 난 공감하면서 잘 읽었음
조합 기반 플레이라는 개념은 간단히 뽑은 조합에 맞게 플레이하는 것을 뜻한다. 쉽게 예시를 들자면, 내가 중후반 한타에 강점이 있는 조합을 뽑았을 때 좋은 조합 기반 플레이는 초중반은 안정적으로 버티면서 손해를 최소화하면서 적 침입을 막은 후 이후 오브젝트 앞에서 5대5 한타를 설계하는 식이다.
말로 들으면 너무나도 간단명료한 개념이지만, 리그오브레전드의 복잡함 덕분에 조합이 저정도로 일차원적인 경우는 드물다. 또한 밴픽창에서 짠 조합이 아무리 이해하고 수행하기 쉬워보일지라도 실제 협곡에서 구상한 조합의 의도에 맞게 플레이하기는 아주 어렵다. 개인적으로 강팀이 강한 이유는 맵에서 치고박는 두 조합 - 본인과 적 - 의 강점과 시너지를 이해하고 자기 조합의 강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적 조합이 강한 타이밍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섬세하게 구상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개념의 수행을 비교관찰하기 위해 저번 주말 LCK, LEC, LCS에서 진행된 플옵 다전제를 분석하고자 한다.
원글
https://www.reddit.com/r/leagueoflegends/comments/pa6med/compositional_play_a_look_at_one_of_the_aspects/
번역
1) 담원기아 vs 농심 https://m.fmkorea.com/3858770573
2) 매드라이온즈 vs 로그, 팀리퀴드 vs 100도둑 https://m.fmkorea.com/3858926004
레딧에 올라온 분석 번역한 글인데 흥미로운 부분이 많아서 링크 가져옴 경기 없어서 심심한 덬들 읽으라고 ㅋㅋㅋㅋ 이후는 링크 들어가서 보면 됨 너무 길어서 다는 못 가져왔어.. 이번 플옵 보면서 담원 매드 둘 다 팀적인 플레이가 잘되는 팀이라고 느껴서 난 공감하면서 잘 읽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