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라이브러리'는 왜 '도서관'이 됐을까
4,202 33
2019.09.08 23:34
4,202 33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취운정과 삼청공원숲속도서관 ①


'도서관'(圖書館)이라는 말은 언제부터 쓰였을까? 동양에서는 1877년 도쿄대학 법리문학부에서 도서관을 사용하고, 1880년 7월 '도쿄부 서적관'을 '국립 도쿄도서관'으로 개칭하면서 '도서관' 명칭이 쓰이기 시작했다. 동양에서 일본이 가장 빨리 근대화를 이루면서 근대 문물에 대한 '작명권'을 일본이 행사했다는 것은 사서 명칭 편에서 언급한 바 있다(관련 기사 : <봄밤> 한지민의 직업, 알고 계신가요?). 

박상균 교수는 '도쿄대학 법리문학부 도서관'을 동양에서 '도서관' 명칭을 사용한 첫 사례로 추정하고 있다. 1877년 이전만 해도 일본은 문고, 서적관, 서적실, 집서원, 종람장, 종람소 같은 용어를 다양하게 사용했다.

일본에서 '도서관'으로 명칭이 통일되기 시작한 건 1897년 '제국도서관' 관제와 1899년 11월 11일 도서관령을 공포하면서부터다. 일본이 도서관을 법률에 명시한 건 1879년 교육령이 처음인데, 이때는 '도서관'이 아닌 '서적관'(書籍館)으로 표기했다.

'라이브러리'는 왜 '도서관'이 됐을까
 

도쿄대학교 종합도서관 도쿄대학교는 ‘도쿄대학’, ‘도쿄제국대학’을 거쳐 태평양전쟁 패전 후 연합국 사령부(GHQ)에 의해 ‘국립 도쿄대학교’로 바뀌었다. 제국대학 출범 전인 도쿄대학 시절(1877년) ‘법리문학부 도서관’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는데, 동양에서 처음으로 ‘도서관’ 명칭을 사용한 사례로 추정되고 있다.
▲ 도쿄대학교 종합도서관 도쿄대학교는 ‘도쿄대학’, ‘도쿄제국대학’을 거쳐 태평양전쟁 패전 후 연합국 사령부(GHQ)에 의해 ‘국립 도쿄대학교’로 바뀌었다. 제국대학 출범 전인 도쿄대학 시절(1877년) ‘법리문학부 도서관’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는데, 동양에서 처음으로 ‘도서관’ 명칭을 사용한 사례로 추정되고 있다.
ⓒ Wikimedia Commons

관련사진보기

 
책을 중심에 놓고 보면 '서적관'이라는 말이 라이브러리(library)에 더 어울릴 것 같은데, 그림(圖)과 책(書)을 아우르는 '도서관'으로 명칭을 통일한 이유는 뭘까? 당시 일본에서는 '도서관'보다 '서적관'이라는 명칭이 더 많이 쓰였다.

일본에서 '문고' 또는 '서적관'으로 번역하던 '라이브러리'(library)를 '도서관'이라는 명칭으로 통일한 계기가 있을 텐데, 일본 도서관계와 학계에서도 여러 가지 설이 있을 뿐 명확한 정설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도서관으로 명칭을 바꾼 것이 '일본 도서관사 최대의 의문'이라고 얘기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다. 

<일본국어대사전> 제2판은 1877년 이후 '서적관'이 쓰이다가 1887년 이후부터는 '도서관'이라는 용어를 쓰기 시작했다고 기술하고 있다. '책'뿐 아니라 미술 작품과 지도 같은 '그림'을 소장하기 때문에 '도서관'으로 명칭이 바뀌었을 거라는 주장이 있고, '하도낙서'(河圖洛書)로부터 도서관이 나왔을 거라고 유추하는 주장도 있다. 

'도서'(圖書)라는 말은 '하도낙서'로부터 유래했는데, '하도'(河圖)는 복희(伏羲)가 황하에서 얻은 그림이다. 복희는 하도로부터 팔괘(八卦)를 만들었다. '낙서'(洛書)는 하우(夏禹)가 낙수에서 얻은 글로, 이로부터 천하를 다스리는 법인 홍범구주(洪範九疇)를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결국 '하도낙서', 즉 '도서'는 자연의 법칙과 세계의 질서가 담겨 있는 텍스트라는 뜻인데, 이런 의미에서 서적관, 문헌관, 문고를 제치고 '도서관'이 라이브러리의 번역어로 정착했다는 것이다. 어쨌거나 '도서'라는 말은 중국에서 유래해 한국과 일본에서 쓰였지만 '도서관'은 일본에서 쓰이면서 역으로 중국과 한국으로 퍼진 말이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도서관'이라는 표현이 쓰이면서 '도서'라는 말도 널리 쓰이게 됐다고 한다. 우리가 흔히 책의 의미로 쓰는 '도서', 출판사 이름 앞에 붙이는 '도서출판'도 도서관 도입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셈이다. 

메이지대학의 미우라 타로(三浦太郞) 교수는 '서적관'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이 1860년 막부의 미국 사절단으로 애스터 도서관을 방문한 모리타 오카타로(森田岡太郎)라고 밝혔다. 일본에서 라이브러리를 '문고'로 처음 번역한 사람은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서적관'으로 옮긴 사람은 모리타 오카타로인 셈인데, 정작 최종 명칭인 '도서관'의 명명자나 유래는 명확하지 않다. 말 그대로 '도서관'의 수수께끼 아닐까. 

유래를 알 수 없는 '도서관'의 수수께끼
 

‘일본문고협회’로부터 출발한 ‘일본도서관협회’ 일본도서관협회(JLA : Japan Library Association) 회관은 도쿄 주오구 신카와에 자리하고 있다. 일본도서관협회는 1876년 설립된 미국도서관협회(ALA)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설립(1892년)된 도서관 단체로 알려져 있다.
▲ ‘일본문고협회’로부터 출발한 ‘일본도서관협회’ 일본도서관협회(JLA : Japan Library Association) 회관은 도쿄 주오구 신카와에 자리하고 있다. 일본도서관협회는 1876년 설립된 미국도서관협회(ALA)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설립(1892년)된 도서관 단체로 알려져 있다.
ⓒ Wikipedia

관련사진보기

 
일본 문부성은 1880년 7월 '도쿄부 서적관' 명칭을 '국립 도쿄도서관'으로 바꾸는데, 이때 '서적관'보다 '도서관'이라는 명칭이 더 적합하다는 논의가 문부성 안에서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도서관' 명칭 사용에 영향을 미친 사람은 누구일까? 

일본 최초의 도서관 유학생이자 제국도서관 초대 관장, 일본문고협회(일본도서관협회의 전신) 초대 회장을 역임한 다나카 이나기(田中稻城)가 영향을 미친 건 아닐까. 1886년부터 문부성에서 일하기 시작한 다나카는 1888년 해외로 도서관 유학을 떠나 1890년 3월 귀국했다. 1880년 도쿄부 서적관을 국립 도쿄도서관으로 바꿀 때 다나카는 문부성에서 일하지 않았다. 1890년 이후 문부성 도서관 행정에 다나카가 영향을 미쳤을 수 있지만 그 이전은 그의 영향이라고 보기 어렵다. 

1892년 일본 문부성 연보는 통계표에서 서적관을 '도서관'으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이후 문부성에서 주도한 '제국도서관' 관제(1897년)와 도서관령 공포(1899년) 과정에서 '도서관'이라는 용어가 지속적으로 쓰였다. 

일본 문부성에서 '도서관'이라는 말을 쓰면서 이 명칭이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1892년 출범한 '일본문고협회'는 1908년 '일본도서관협회'(JLA)로 명칭을 바꾸는데, 이 시점부터 '도서관'이라는 용어로 정리되지 않았나 싶다. 

중국에서는 1897년 장원제가 베이징에 설립한 '통예학도서관' 때부터 도서관이라는 명칭을 사용했고, 한국은 1906년 황성신문에 보도된 '대한도서관'부터 도서관이라는 명칭을 쓰기 시작했다.

서구의 '라이브러리'를 일본은 '도서관'으로 번역했고, 우리는 일본의 '도서관'을 우리만의 개념으로 번역하지 않고 수용했다. 일본이 번역한 도서관을 그대로 '이식'한 것이다. 일본이 고심해서 번역한 것을 같은 한자문화권인 우리가 손쉽게 이식했으니 수월하고 효율적이었을 것이다. 문제는 이식 과정에서 서구의 '라이브러리'는 무엇이고 어떤 곳이어야 하는가라는 우리만의 고민과 사유가 사라졌다는 점이다. 

이 과정의 생략이 이후 우리 도서관의 특징 중 하나를 형성하지 않았나 싶다. 지금도 우리 도서관은 다른 나라의 다양한 사례를 추종하고 이식하기 바쁘다. 이 과정에서 우리 도서관은 근대 이전의 '전근대'(前近代)와 일본으로부터 이식한 '식민지 근대', 그리고 해방 이후 서구에서 수입한 '서구식 근대'가 섞이고 뒤엉켜 있는 상황이다. 

우리는 왜 우리의 대안을 '우리 안'이 아닌 '우리 바깥'에서만 찾을까. 우리는 뒤쳐져 있고 우리 바깥의 것은 우리보다 늘 나은 것이라는 생각이야말로 '식민지적 관점' 아닐까. 우리에게 필요한 건 이제 '추종'이 아닌 '사유' 아닐까. 

'도서관'을 이 땅에 처음 소개한 사람은? 

유길준 1856년 10월 서울 북촌에서 태어난 유길준은 과거시험을 포기하고 신학문에 매진했다. 최초의 일본 유학생이자 최초의 미국 유학생으로, 박영효와 함께 최초의 근대신문인 <한성순보 /> 발간 작업을 주도했다. <서유견문> 통해 ‘서적고’라는 이름으로 도서관을 처음 소개해서 ‘도서관 인물’로도 조명받고 있다.
▲ 유길준 1856년 10월 서울 북촌에서 태어난 유길준은 과거시험을 포기하고 신학문에 매진했다. 최초의 일본 유학생이자 최초의 미국 유학생으로, 박영효와 함께 최초의 근대신문인 <한성순보> 발간 작업을 주도했다. <서유견문> 통해 ‘서적고’라는 이름으로 도서관을 처음 소개해서 ‘도서관 인물’로도 조명받고 있다.
ⓒ 국사편찬위원회

관련사진보기

 
우리나라에 근대 도서관 제도를 처음 소개한 사람은 누구일까? 유길준이다. 유길준은 국한문 혼용으로 서양 문물을 정리한 <서유견문>(西遊見聞)에서 '서적고'(書籍庫)라는 이름으로 근대 도서관을 처음 소개했다.
 

"도서관은 정부에서 설치한 곳도 있고, 정부와 국민이 힘을 합하여 세운 곳도 있다. 경서(經書)와 역사책과 각종 학문의 서적과 고금의 명화 및 소설로부터 각국의 신문 종류에 이르기까지 갖춰지지 않은 것이 없다. 외국에서 새로 출판된 책은 사들이고, 본국에서 나온 책은 출판한 자가 각지의 도서관에 한 질씩 보내므로, 책의 권수는 해마다 늘어난다. 이와 같이 책을 보관하는 까닭은 세상에 무식한 사람을 없애려는 데 주된 뜻이 있다. 그러므로 서양 여러 나라에는 대도시마다 도서관 없는 곳이 없다.

어떤 사람이든지 책을 열람하려고 하면 도서관에 가서 마음대로 아무 책이나 펴볼 수 있지만, 다른 곳으로 가지고 가는 것은 허락하지 않는다. 다만 독서하려는 학생이 책이 없어서 공부할 수 없을 때에는 세를 내고 빌려 주기도 한다. 그러나 그 책을 훼손시키면 책값을 물어내야 한다. 각국 도서관 가운데 가장 유명한 곳은 영국 런던에 있는 것,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레닌그라드)에 있는 것, 프랑스 파리에 있는 것이다. 그 가운데 파리의 도서관이 가장 큰데, 소장한 책이 200만 권을 넘으므로 프랑스 사람들이 그 굉장한 규모를 항상 자랑한다."


유길준은 '서적고' 항목을 통해 도서관의 종류(국립 또는 사립), 도서관이 갖춘 자료의 종류(책과 예술작품, 신문), 출판업자로부터 책을 제출받는 납본제도, 지식을 공유하고 확산하려는 도서관의 존재 목적, 관내 열람과 관외 유료 대출, 훼손한 책에 대한 변상, 런던과 상트페테르부르크, 파리의 도서관을 두루 소개하고 있다.

유길준의 <서유견문>은 후쿠자와 유키치의 <서양사정>(西洋事情)을 참조한 걸로 알려져 있다. '서적고'로 소개한 도서관 항목도 마찬가지다.

후쿠자와 유키치의 <서양사정>
 

후쿠자와 유키치 상 1835년 1월 10일 오사카 도지마(堂島)에서 태어난 후쿠자와 유키치는 사절단으로 미국과 유럽을 여러 차례 다녀왔다. <서양사정 />을 통해 일본에 서구 근대 도서관을 처음 소개했다. 계몽사상가로 일본에 큰 영향을 미친 그의 ‘탈아론’은 일본의 제국주의 침략을 정당화하는 바탕이 되었다.
▲ 후쿠자와 유키치 상 1835년 1월 10일 오사카 도지마(堂島)에서 태어난 후쿠자와 유키치는 사절단으로 미국과 유럽을 여러 차례 다녀왔다. <서양사정>을 통해 일본에 서구 근대 도서관을 처음 소개했다. 계몽사상가로 일본에 큰 영향을 미친 그의 ‘탈아론’은 일본의 제국주의 침략을 정당화하는 바탕이 되었다.
ⓒ Wikimedia Commons

관련사진보기

 
후쿠자와 유키치는 <서양사정>을 발간해서 일본 근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일본이 1만 엔권에 그의 초상을 새긴 건 이 때문이다. <서양사정>은 1866년 1권 발간을 시작으로 4년 동안 10권으로 완간됐다. 후쿠자와 유키치는 제1권에서 서구 근대 도서관을 '문고'(文庫)라는 이름으로 일본에 처음 소개했다. 
 

"서양 여러 나라의 수도에는 문고가 있으니 '도서관'이라 한다. 날마다 이용하는 서적, 그림 등에서부터 고서, 진귀한 책에 이르기까지 세계 여러 나라의 서적을 모두 갖추어 사람들이 와서 자기가 생각나는 대로 이것을 읽는다. 단 매일 도서관 안에서 읽을 수 있을 뿐 집에는 가져갈 수 없다.

런던의 도서관에는 서적 80만 권이 있고 페테르스부르크의 도서관에는 90만 권, 파리의 도서관에는 150만 권이 있으니 프랑스 사람이 말하기를 파리 도서관의 책을 일렬로 늘어놓으면 칠십리는 된다고. 도서관에는 정부에 속하는 것과 일반에 속하는 것이 있다. 외국의 서적은 구입하고 자기 나라의 서적은 새로이 출판하는 자가 일부를 도서관에 납본하게 된다."


후쿠자와 유키치가 <서양사정>에서 소개한 '문고'와 유길준이 <서유견문>에서 쓴 '서적고'를 비교하면 내용이 꽤 비슷하다. 유길준이 <서유견문>을 쓸 때 <서양사정>을 참고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유길준은 1881년 6월 후쿠자와가 세운 게이오의숙(慶應義塾)에 입학해서 1년 남짓 공부하는데, 이때 <서양사정>을 비롯한 여러 개화 서적을 접했다. 1881년 말 갑신정변의 주역 김옥균이 일본을 처음 방문해서 후쿠자와 유키치를 만났을 때 통역을 한 사람도 유길준이다. 

후쿠자와 유키치의 <서양사정>(1870)과 <학문의 권유>(1876)는 당대의 베스트셀러였는데, 위판본(僞版本)이 대량으로 찍혀 유통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후쿠자와는 위판본을 막기 위해 카피라이트(copyright)에 해당하는 '판권'(版權)이라는 단어를 처음 고안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1873년 후쿠자와는 친구에게 '생계는 책 인세를 받아 걱정이 없다'는 편지를 보낸 적 있는데, 그의 책이 얼마나 많이 팔렸는지 알 수 있다. 

후쿠자와 유키치는 1858년 10월 에도에 새롭게 개설된 '란가쿠주쿠'(蘭学塾)의 교사로 초빙된다. 란가쿠주쿠가 게이오의숙의 모태가 되는데, 일본 사립대학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게이오대학은 이때를 개교 시점으로 삼고 있다. 후쿠자와는 1868년 시바(芝)의 신센자(新錢座)에 150평 건물을 새롭게 지어 '게이오의숙'으로 이름 지었다. '게이오'(慶應)는 당시 연호다.

후쿠자와 유키치는 해외 순방을 통해 수집한 책 500권을 게이오의숙 도서관에 이관했다. 이 과정에서 도서관 장서가 부족하자 1874년부터 1876년까지 자신의 문하생 하야시 유데키(早矢仕有的)에게 양서 수입을 맡겼다.

하야시 유데키는 150년이 넘은 서점 '마루젠'(丸善)의 창립자다. 1869년 마루젠을 설립한 하야시는 세습이 일반적이던 당시 상관례를 따르지 않고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는 모델을 도입했다. 마루젠이 일본 최초의 현대적 회사로 꼽히는 이유다. 

하야시는 '하이라이스'를 만든 사람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지인이 찾아오면 고기와 채소를 끓여 밥에 얹어 대접했다. '하야시 라이스'로부터 하이라이스가 탄생했다고 전한다.

근대 도서관의 산실, 취운정
 

감사원 앞에 있는 ‘취운정’ 표석 감사원 앞에 있는 취운정 표석. 표석 설명글에 ‘정자’라는 내용이 있지만 취운정은 이 일대를 가리키는 ‘지명’이다.
▲ 감사원 앞에 있는 ‘취운정’ 표석 감사원 앞에 있는 취운정 표석. 표석 설명글에 ‘정자’라는 내용이 있지만 취운정은 이 일대를 가리키는 ‘지명’이다.
ⓒ 백창민

관련사진보기

 
유길준은 도서관뿐 아니라 서구 문물을 체계적으로 소개한 <서유견문>을 어디서 썼을까? 그가 <서유견문>을 집필한 곳은 '취운정'(翠雲亭)으로 알려져 있다.

유길준은 1885년 미국에서 귀국한 직후 갑신정변 주역과 가깝다는 이유로 체포됐다. 이후 유길준은 우포장 한규설의 집에 1년 반 동안 연금되었다. 연금이라는 명목으로 유길준을 보호한 한규설은 1905년 을사늑약 체결 과정에서 참정대신으로 유일하게 반대 의사를 표명한 사람이다. 한규설의 집에 머물던 유길준은 민영익의 별원이 있던 취운정으로 거처를 옮기는데, 1892년까지 7년간 연금 생활이 이어졌다. 

감사원 앞에 있는 취운정 표석을 보면 '정자'라는 설명이 남아 있어 취운정을 정자로 생각하기 쉽다. 유길준은 1887년 가을부터 1889년 봄까지 취운정에 머물며 <서유견문>을 집필했는데, 규모가 크더라도 일 년 반 동안 '정자'에 머물며 책을 쓰는 게 가능했을까?

하남시사편찬위원회 김세민 상임연구위원은 취운정이 일개 '정자'가 아닌 '지명'(地名)임을 밝힌 바 있다. 그에 따르면 취운정은 백록동과 청린동을 포함한 이 일대의 지명이다. 1920년대 <동아일보> 기사에 실린 취운정 정자 사진을 보면 규모가 그리 크지 않다. 유길준은 이 정자에 머문 게 아니라 정자 아래 살림집으로 쓰던 기와집에 머물며 <서유견문>을 썼다.

취운정의 위치는 어디였을까? '청린동천'(靑麟洞天) 각자가 남아있는 가회동 북촌힐스(옛 경남빌라)부터 감사원, 중앙중고등학교 후문 일대가 취운정 영역으로 추정된다. 지금의 행정동으로는 가회동 북쪽과 삼청동 일부 지역이다. 

1928년 8월 5일 자 <동아일보>는 일본인에게 매각되는 조선귀족회 소유의 취운정 면적이 1만 3879평이라는 기사를 낸 바 있다. 1만 4000평에 이르렀다는 취운정은 지금의 정독도서관보다 넓고 덕수궁보다는 적은 면적이다.

취운정은 유길준이 <서유견문>을 집필한 장소일 뿐 아니라 1920년 윤익선이 '경성도서관'을 개관한 곳이기도 하다. 민태호 일가의 별원이었던 취운정은 백락동 마마로 불린 대원군 첩의 거처, 의친왕의 사저, 한성구락원, 조선총독부 점유를 거쳐 조선귀족회 소유가 되었다.

1920년 11월 5일 윤익선은 조선귀족회가 소유했던 취운정 일대 건물을 빌려 경성도서관을 개관했다. 취운정에 문을 연 경성도서관 개관식에 수천 명의 인파가 몰렸고, 문을 연 후에도 이용자로 북적였다는 기사가 남아 있다. 

목록 스크랩 (0)
댓글 33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클리오 X 더쿠🤎] 더 뉴트럴하게 돌아왔다!! 가장 나다운 퍼스널 브로우 <클리오 킬 브로우 오토 하드 브로우 펜슬(UPGRADE)> 체험 이벤트 1519 04.16 75,098
공지 ▀▄▀▄▀【필독】 비밀번호 변경 권장 공지 ▀▄▀▄▀ 04.09 303,220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2,780,914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3,567,491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0,096,811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1,050,179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43 21.08.23 3,332,982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14 20.09.29 2,155,922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336 20.05.17 2,882,224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53 20.04.30 3,440,984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글쓰기 권한 포인트 상향 조정) 1236 18.08.31 7,818,893
모든 공지 확인하기()
2386384 이슈 @: 흰색 강아지가 회색이 될 만큼 떠돌아 다녔는데 생후 60일 미만 .............. 13:04 57
2386383 유머 어떤 한국 가수가 생각난다는 파리 올림픽 심볼 5 13:03 446
2386382 유머 ??? : 좋아하시는 차 있으세요? 6 13:02 290
2386381 기사/뉴스 12년째 공전 '소녀상 말뚝 테러' 재판…방청석서 "기소 취소해야" 1 13:01 92
2386380 정보 중국에서 일본식 메이드 카페 금지 조치 법원은 '여성의 인간 존엄성을 얕보고 훼손한다'는 검찰의 소송을 받아들여 이러한 서비스가 중단되거나 폐쇄될 예정임 6 13:01 223
2386379 기사/뉴스 "좋은 건 다 일본으로 가네".. 미중대립에 반사이익 '톡톡' 오라클, 향후 2년간 1.2조엔 투자 도쿄·오사카의 데이터센터 증설 MS와 아마존도 대규모 투자 추진 2 13:01 132
2386378 기사/뉴스 “호구 되느니 차라리 일본 간다”…벚꽃 시즌 日 가장 많이 찾은 외국인은 한국 사람 11 13:00 254
2386377 기사/뉴스 대낮 카페로 돌진한 차, 손님 7명 덮쳐... 운전자 급발진 주장 3 12:58 640
2386376 이슈 애들 영화로 보러갔다가 의외로 찐무협이었던 영화 6 12:57 823
2386375 이슈 이십 년에 걸쳐서 어떤 밴드의 음악과 내 인생이 나란히 진행한다는 것. 그런 밴드를 가진다는 건 정말 행운이다. 4 12:55 808
2386374 기사/뉴스 “엄마·아빠 죽여줘” 살인청부한 10대 딸…돈만 챙긴 사기범 23 12:54 1,608
2386373 이슈 임영웅 모델 발탁 축하 이벤트카페 여는 정관장 6 12:54 749
2386372 이슈 [KBO] 11년 전 삼성이 두산에게 스윕승 할 때 있었던 일.gif 5 12:54 714
2386371 이슈 카피바라가 등장하는 블랙핑크 제니 × 젠틀몬스터 콜라보 티저 3 12:53 833
2386370 이슈 미미미누 처음 이슈되었던 영상 2 12:53 820
2386369 이슈 실시간 더현대 보넥도 팝업에 등장한 방시혁 .....???.X 14 12:52 1,645
2386368 기사/뉴스 G7 초청 무산 173 12:50 9,390
2386367 기사/뉴스 이정후, 韓 타자 역대 3번째 MLB 데뷔 시즌 10G 연속 안타 3 12:49 597
2386366 유머 케톡의 자랑 6세대 원탑 그룹 바오걸즈의 루이바오🐼 10 12:49 988
2386365 기사/뉴스 박명수 "뉴진스, 대학축제 섭외 1위...디제잉 때 'ETA' 꼭 써" ('라디오쇼') 6 12:47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