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진단 대상자가 확대됐다. 더 넓은 방역망으로 감염자를 걸러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자칫 한꺼번에 선별 진료소에 몰릴 경우 감염이 확산될 우려도 배제할 순 없다. ‘과잉 공포’나 ‘선정 보도’를 자제하고 침착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감염병 전문가들의 호소가 절절하다.
6일 밤 대한감염학회가 마련한 기자간담회는 국민 불안이 큰 시점에서 시의적절한 것이었다고 본다. 2015년 메르스 사태를 결정적으로 키웠던 병원 내 감염 사태를 막는 게 가장 중요하고, 확산이 커질 경우 보건소와 국공립·공공병원, 민간병원의 역할을 단계적으로 구분해야 한다는 전문가들 지적엔 정부가 귀 기울여야 한다. 특히 한 전문가가 “언론이 불필요한 공포를 만들지 않는가. 아 다르고 어 다른데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사회는 공포스러울 수 있고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호소한 것은 언론계가 아프게 느껴야 할 부분이다.
사태 초기부터 적잖은 언론이 ‘강남·일산·평택 활보’ ‘방역 뚫렸다’ ‘컨트롤타워가 대체 어딥니까’ 같은 제목들로 도배했고, 우한 교민들의 임시 생활시설이 확정되기 전에 다른 곳을 보도해 혼선을 부추기는 단독 기사도 나왔다. 중국 내 감염자가 9만명이 넘는다거나 환자 한 사람이 최대 14명까지 감염시킨다는 근거가 미약한 주장, 우한의 병원균 연구시설과 감염병을 연관시킨 영국 매체의 추측성 기사를 인용한 보도는 “현재 시점까지 사실로 밝혀진 정보를 제공하고 신뢰할 만한 근거가 있어야 한다”는 감염병 보도준칙의 제1 원칙에도 어긋나는 것이다. 교민들의 사생활을 침해하는 임시 생활시설 클로즈업 사진이나 내부 생활에 대한 일부 오보는 시청자와 독자들의 항의로 내려지기도 했다. 정부 방침과 상관없이 세계 유수의 언론사들이 거의 모두 지키는 상식인데, 여전히 국내 일부 언론이 차별과 혐오를 부추길 수 있는 지역명이 들어간 병명을 사용하는 점도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다.
정부 발표에 혼선이 있고 방침이 뒤집힌 사례는 그동안 몇차례 있었다. 확진자의 동선 공개가 늦어지면 시민의 불안감이 큰 것도 사실이다. 언론의 정당한 비판과 감시에 정부가 과잉 반발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하지만 언론계 또한 클릭 수만 바라며 선정적인 표현을 앞세워 불신을 조장하는 일은 없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보건·방역당국이 언론을 의식해 자칫 보여주기식 정책으로 흐르거나 반박·대응에 급급한다면 그 손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갈 뿐이다.
https://news.v.daum.net/v/20200207185805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