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초저출생: 미래가 없다
67,471 1008
2021.10.16 08:42
67,471 1008
편집자 주

작아지는 대한민국을 피할 순 없습니다. 하지만 덜 작아지도록, 더딘 속도로 오도록 대비할 수는 있습니다. 초저출생은 여성의 문제가 아닙니다. 남녀 모두의 일입니다. 국가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모든 개인, 모든 세대의 일입니다. CBS는 연중기획 '초저출생: 미래가 없다'를 통해 저출산 대책의 명암을 짚고, 대한민국의 미래와 공존을 모색합니다.


(이하 부분 발췌)


--
제도는 있는데…'못' 쓰는 육아휴직

[img=https://t1.daumcdn.net/news/202110/16/nocut/20211016060304884yany.gif]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은 출산 의향에 상당한 영향을 끼칩니다. 2018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출산 전후휴가 및 육아휴직 활용 가능성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결과를 보면, 혼인 당시를 기준으로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여성 임금 근로자의 출산 가능성은 각각 36.5%와 29.3%로, 그렇지 않은 여성 근로자에 비해 높았습니다.

그런데 현실은 어땠을까요? 제도적 틀도 갖췄겠다 그저 잘만 활용하면 될 텐데, 우리나라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사용률은 여전히 터무니없이 낮습니다.

2019년 고용노동부의 '일·가정 양립 실태조사'에 따르면 출산휴가를 '전혀 활용할 수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24.9%에 달했습니다. 특히 5~9인 사업체 근로자의 34.3%는 출산휴가를, 39.5%는 육아휴직을 전혀 활용할 수 없다고 응답했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아동가구 통계등록부'를 보더라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2019년 만 8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는 상용직 부모 중 육아휴직을 쓴 비율은 8.4%에 불과했죠. 여성이 육아휴직을 쓴 비율은 18.5%로, 남성(2.2%)보다 8배나 높았습니다.

소규모 회사일수록 육아휴직 사용률은 떨어졌는데요, 공공기관을 포함한 비영리기관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24.8%, 대기업 24.1%였던 반면 중소기업은 12.4%로 상대적으로 저조했습니다.

--
눈물 머금고 일터를 떠나는 여성들

[img=https://t1.daumcdn.net/news/202110/16/nocut/20211016060305359zcsl.gif]

여전히 현장에선 회사 눈치가 보인다는 이유 등으로 출산휴가나 육아휴직 권리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이에 감사원은 지난 8월 내놓은 보고서에서 "육아휴직 사용이 법적으로 보장되어 있는데도 실제 사용 과정에서는 여전히 진입장벽이 높고 불이익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으로 판단했습니다.

실제로 육아휴직을 쓴다는 이유로 불이익을 받은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가 내놓은 '모성보호 갑질 보고서'를 보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3년간 전체 육아휴직자 31만여명 중 36%가 퇴사를 했는데 자발적 퇴사보다는 권고사직일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육아휴직불이익일 가능성이 높지만 정작 당국에 접수된 신고 건수는 겨우 108건에 불과했습니다.

보고서는 "육아휴직 후 복직을 이기적인 일이라고 비난하고, 어렵게 복직했더니 일하던 자리를 없애고 권고사직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직장 내 괴롭힘으로 스스로 나가게 만든다"며 "약자인 직장인들은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눈물을 머금고 회사를 떠난다"고 지적했습니다.

고용현장에서 밀려난 여성들의 숫자는 통계에 고스란히 나타납니다. 2019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출산·양육기(35~39세) 남녀 고용 격차는 31.2%포인트로, 여성의 경력단절 현상은 심각한 수준입니다.

--
"아이는 자라서 온 마을이 된다"

[img=https://t1.daumcdn.net/news/202110/16/nocut/20211016060309426hmwd.gif]

아프리카 속담으로 유명한 말이 있죠. "아이 하나 키우는 데 온 마을이 필요하다."

역으로 생각하면 이런 추론도 가능합니다. "그 아이는 자라서 모두의 마을이 된다." 우리나라 경제 구조의 특성상 후속세대는 윗세대를 떠받치니 틀린 말은 아닐 겁니다.

한 아이의 출생이 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력을 어림잡아볼까요? 영유아 산업부터 시작해서 그 아이가 거쳐 갈 어린이집과 학교, 회사 등등 사회 전반에 뻗칠 영향력은 실로 어마어마합니다.

--
가정 내 성평등 이뤄지면 출산율도↑

[img=https://t1.daumcdn.net/news/202110/16/nocut/20211016060310527iowk.gif]

사회적 제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여성의 가정 내 지위입니다.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가 저서 '인구미래공존'에서 호주국립대 사회학과 피터 맥도널드 교수의 연구를 인용한 대목을 옮겨보겠습니다.

"가정에서의 지위가 높으면출산율 하락이 정지하고 오히려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결국 여성의 가정 내 지위가 중요한데, 사회적 지위는 제도적 장치를 만들어 올릴 수 있지만 가정 내 지위는 그러기가 쉽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를 살펴볼까요? 2019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맞벌이 부부의 주중 가사·육아시간은 아내가 181.7분, 남편이 32.2분이었습니다. 여성의 참여율이 5배 이상 압도적으로 높았죠.

더 황당한 지표도 있습니다. 2020년 통계청 사회조사에서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는 응답은 62.5%였지만, 정작 가사분담을 공평하게 하고 있는 남편은 20.7%에 불과했습니다. 인식과 현실이 따로 노는 겁니다.

'일·지향 보수주의.' 한국인구학회는 여성의 경제활동은 인정하면서 양육과 돌봄은 여성의 몫이라고 생각하는 규범이 여전히 강력하게 작동하고 있다고 분석한 바 있습니다.

"떨어지는 출산율을 막아줄 수 있는 것이 바로 가정 내 성평등 수준이다." 인구학 권위자 맥도널드 교수의 결론을 되새길 필요가 있습니다.

조 교수는 "지속적인 초저출산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현실에서 그것(가사분담)이 생각만큼 쉽지는 않은 것 같다"며 "이러한 현실은 여성, 특히 경제적 능력이 충분한 여성에게 비혼을 선택하게 하는 원인들 가운데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이라는 제도적 장치와 더불어 가정 내 성평등이 실현된다면 지금의 소수점 출생률에 아주 조금은 변화가 오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끝으로 김소영 에세이 '어린이라는 세계'에 나온 구절을 인용합니다. 현재 세대(어른)와 미래 세대(어린이)를 바라보는 기자의 가치관을 함의하는 문장입니다.

"지금 어린이를 기다려 주면, 어린이들은 나중에 다른 어른이 될 것이다. (중략) 어린이와 어른은 함께 자랄 수 있다."



(전체기사)

"지금 이 아이는 자라서 '당신의 마을'이 됩니다"
https://news.v.daum.net/v/20211016060301301
목록 스크랩 (0)
댓글 1008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프리메라 X 더쿠💛] 비타민C + 레티놀의 혁신적인 결합! #투명모공세럼 <비타티놀 세럼> 체험 이벤트 476 06.03 28,673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169,674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4,879,256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335,269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2,516,990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46 21.08.23 3,775,350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21 20.09.29 2,640,042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377 20.05.17 3,345,868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62 20.04.30 3,911,160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스퀘어 저격판 사용 무통보 차단 주의) 1236 18.08.31 8,291,572
모든 공지 확인하기()
2426335 기사/뉴스 유행 중인 크록스, 스타일리시하게 신는 법 1 11:06 133
2426334 기사/뉴스 ‘편의점 숏컷 폭행’ 피해자 “판사만 보는 가해자 반성문, 누구를 위한 반성인가” 11:06 32
2426333 기사/뉴스 "역시 이효리" 모녀 예능 '엄마, 단둘이' 2주 만에 화제성 1위 11:05 32
2426332 이슈 대박터진 드라마 2개 이상 필모로 가진 남자배우들.gif 3 11:05 258
2426331 유머 성형수술을 마친 딸이 본 아빠의 카톡 프사 4 11:04 892
2426330 이슈 오퀴즈 11시 정답 4 11:02 142
2426329 이슈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범규 인스타그램 (New York 🌃) 2 11:02 90
2426328 이슈 [KBO] KBO리그 2024시즌 시청률 TOP 53(~6/4) 11:02 111
2426327 이슈 수지 인스타 업뎃 (원더랜드 개봉 기념 태주x정인 🍀) 8 10:59 542
2426326 팁/유용/추천 치킨 혼먹하고 싶은데 15000원 이내로 딱 좋은 치킨 추천.jpg 36 10:56 2,764
2426325 이슈 연해주에서 촬영된 호랑이 76 10:55 4,136
2426324 이슈 [KBO] 2024 KBO 리그 5월 ‘쉘힐릭스플레이어' 수상자 확정 17 10:51 1,057
2426323 유머 영통팬싸에서 팬이 반말하자 아이돌반응 2 10:50 1,344
2426322 유머 태연 등장한 승헌쓰 라방 풀버전 3 10:49 809
2426321 이슈 [MLB]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지역 신문인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의 담당 기자 사이나 루빈 기자는 "이정후의 어깨 수술이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전했습니다. 6 10:49 322
2426320 이슈 국내 OTT점유율 엄청 낮은 디즈니플러스 46 10:48 2,549
2426319 이슈 제 2의 머지포인트 사건 의심되는 위잇딜라이트 서비스종료 13 10:46 2,288
2426318 이슈 한국은 모르지만 손흥민은 아는 알바니아 꼬마 14 10:45 2,038
2426317 유머 멜론 일간순위 100위안에 있는 에스파곡들 14 10:43 895
2426316 유머 일단 맛을 좀 봐봐 1 10:43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