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크리스마스 이브에는 대형마트들이 문을 닫아 소비자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서울을 비롯한 대부분의 지역이 둘째주, 넷째주 일요일을 의무휴업일로 정했는데, 올해는 이브가 넷째주 일요일에 걸렸기 때문이다. 마트들은 "연말 매출에 타격이 있을 것"이라면서도 의무휴업일 변경 요청에는 몸을 사리고 있다. 이달 코리아세일페스타(코세페)에도 정부가 서울시에 의무휴업일을 한시 변경하도록 협조를 요청했지만, 이에 응한 구청은 7곳에 불과해서다.
2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올해 크리스마스 이브는 12월 넷째주 일요일로, 의무휴업일에 해당한다. 의무휴업일에는 매장 운영은 물론 온라인 배송도 중단된다. 월요일인 크리스마스까지 3일간 이어지는 연휴 대목이지만 연말 소비 촉진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 특히 완구 등 어린이 선물이나 마트에서 판매하는 1만원 안팎의 크리스마스 케이크 등 '가성비' 제품을 구매하려는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홈파티 수요를 기대했던 식품 제조업체들도 낙심하기는 마찬가지다. 냉동식품 등 유통기한이 긴 가공업체들은 큰 영향이 없지만, 냉장 밀키트, 농·축·수산 납품업체 등은 불경기에 더해 뜻하지 않은 매출 타격을 입게 됐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기존 계약한 물량이 있는데 마트에서 다 팔릴 지 걱정"이라며 "가능하면 의무휴업일이 조정되길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중략-
대형마트들은 그러나 정부에 의무휴업일 변경을 요청하기는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이달 코세페에도 의무휴업일 한시 변경을 둘러싸고 잡음이 일었다. 산자부는 지난 9월 서울시에 코세페 행사를 위해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변경해줄 것을 요청했다. 의무휴업일 변경 권한은 지자체에 있어 구청의 승인이 필요하다. 서울 25개구 중 이에 응해 둘째주 일요일(12일)에서 첫째주 일요일(5일)로 바꾼 곳은 단 7곳이었다. 이 마저도 10월 말까지 논의에 진통을 겪어 성동구의 경우 참여 의사를 밝혔다가 철회하기도 했다.
늑장 행정은 소비자 불편과 마트 운영 파행으로 고스란히 이어졌다. 의무휴업일 변경 여부가 일주일 전에야 확정돼 소비자들에게 충분히 고지할 시간이 없었기 때문이다. 한 마트 관계자는 "전국에 해당되는 사항이 아니다보니 온라인으로 고지할 수 없었다"며 "오프라인 매장에 안내문을 걸었는데 이를 미처 알지 못한 소비자들이 첫째주 일요일에 방문해 불만을 제기했다"고 말했다. 또 마트 노동자, 납품업체 등 모두가 혼란을 겪었다는 후문이다.
업계에서는 의무휴업일을 평일로 변경되지 않는 이상 의미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 다른 마트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휴일이 아니면 장 볼 시간이 없는데, 마트가 문을 닫으면 소비자들은 기다렸다 다음주에 사는게 아니라 온라인으로 주문하고 만다"며 "한시 변경은 결국 또 다른 일요일 매출을 희생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후략-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965591?sid=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