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에서 결혼할 경우 일반 예식장보다 축의금을 더 내야 하는지 묻는 누리꾼 글이 온라인 공간에서 화제를 모았다.
최근 인터넷 커뮤니티에 <축의금 문제 누가 잘못한 건가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 작성자 A씨는 ‘코로나 한창 심할 때 그냥 일반 예식장에서 결혼한 친구’ B씨와 ‘코로나 상황 풀리고 1년 전 호텔에서 결혼한 친구’ C씨의 사연을 전했다.
일반 예식장에서 결혼한 친구 B씨는 당시 뷔페가 금지돼 답례품으로 대신했고, 호텔 예식을 한 C씨는 하객들에게 코스 요리를 대접했다고 한다.
문제는 ‘축의금’이었다.
B씨는 자신이 결혼할 때 친구 C로부터 10만원을 받았기에 그 역시 C 결혼식에 가서 10만원을 냈다고 했다. B씨는 ‘결혼식장 선택은 본인들이 하는 것이고 받은 만큼 주는 게 맞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단, B씨는 C씨의 호텔 결혼식에 혼자 참석했다.
그러나 C씨의 생각은 전혀 달랐다. 그는 자신이 친구 B 결혼할 때 10만원을 낸 것은 맞지만 호텔과 일반 예식장은 엄연히 다르고 식대(물가)도 많이 오른 만큼 B가 더 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제3자인 친구에게 ‘결혼식에 오지 못한 친구도 축의금 20만원을 했다’라며 B씨에게 서운한 마음을 드러냈다고 한다.
사연을 읽은 많은 누리꾼들이 B씨의 판단과 입장이 옳다는 반응을 보였다. 예식장은 엄연히 결혼 당사자의 ‘선택’ 문제이지, 그로 인해 하객들의 축의금까지 더 내라고 할 수는 없다는 주장이 대부분이었다.
해당 글에는 “호텔에서 결혼하는 것도 네 맘, 축의금 똑같이 주는 것도 내 맘”, “C 같은 사람은 주변에 두고 싶지 않다”, “축의금만 내고 빈손으로 갔다고 하면 몰라도 답례품도 예식장에서 1인 뷔페 금액만큼 받는다”, “저 정도면 호텔 결혼식이 분수에 안 맞는 거 아닌지”, “돈이 없으면 그냥 호텔에서 하지 말아라” 등 B씨를 옹호하는 댓글이 다수 달렸다.
최근 인터넷 커뮤니티에 <축의금 문제 누가 잘못한 건가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 작성자 A씨는 ‘코로나 한창 심할 때 그냥 일반 예식장에서 결혼한 친구’ B씨와 ‘코로나 상황 풀리고 1년 전 호텔에서 결혼한 친구’ C씨의 사연을 전했다.
문제는 ‘축의금’이었다.
B씨는 자신이 결혼할 때 친구 C로부터 10만원을 받았기에 그 역시 C 결혼식에 가서 10만원을 냈다고 했다. B씨는 ‘결혼식장 선택은 본인들이 하는 것이고 받은 만큼 주는 게 맞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단, B씨는 C씨의 호텔 결혼식에 혼자 참석했다.
그러나 C씨의 생각은 전혀 달랐다. 그는 자신이 친구 B 결혼할 때 10만원을 낸 것은 맞지만 호텔과 일반 예식장은 엄연히 다르고 식대(물가)도 많이 오른 만큼 B가 더 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제3자인 친구에게 ‘결혼식에 오지 못한 친구도 축의금 20만원을 했다’라며 B씨에게 서운한 마음을 드러냈다고 한다.
사연을 읽은 많은 누리꾼들이 B씨의 판단과 입장이 옳다는 반응을 보였다. 예식장은 엄연히 결혼 당사자의 ‘선택’ 문제이지, 그로 인해 하객들의 축의금까지 더 내라고 할 수는 없다는 주장이 대부분이었다.
해당 글에는 “호텔에서 결혼하는 것도 네 맘, 축의금 똑같이 주는 것도 내 맘”, “C 같은 사람은 주변에 두고 싶지 않다”, “축의금만 내고 빈손으로 갔다고 하면 몰라도 답례품도 예식장에서 1인 뷔페 금액만큼 받는다”, “저 정도면 호텔 결혼식이 분수에 안 맞는 거 아닌지”, “돈이 없으면 그냥 호텔에서 하지 말아라” 등 B씨를 옹호하는 댓글이 다수 달렸다.
현화영 기자 hhy@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