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한국형발사체(누리호) 발사를 성공시킨 주역들이 대거 민간 우주기업으로 이직할 조짐이다. 총 2조원 규모의 차세대발사체사업 체계종합기업 선정을 앞둔 민감한 시기에 항우연 발사체 인력이 특정 기업으로 대거 옮겨가는 데 대해 공정성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누리호에 이을 차세대발사체사업 체계종합기업 선정 입찰을 이르면 이달중 시작할 예정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최근 조광래 전 항우연 원장을 우주사업 기초연구를 담당하는 '미래우주기초기술연구원(가칭)'의 CTO(최고기술책임자) 겸 원장으로 영입한 데 이어 스무명 가까운 항우연 연구자들이 이직할 것으로 알려졌다.
조 전 원장은 국내 우주개발 1세대이자 우주발사체 전문가다. 우리나라 최초 고체연료 로켓(KSR-1) 개발과 우리나라 첫 우주발사체인 '나로호' 개발을 진두지휘했으며, 2014년부터 3년 간 항우연 원장을 역임했다. 누리호 개발에도 참여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측은 조 전 원장이 30년 간의 경험과 역량, 전문성을 바탕으로 민간 주도의 우주경제 시대를 이끌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 원장에 이어 한화 측은 항우연의 중견 리더급 발사체 인력들도 영입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항우연 내부에선 대략 20명 안팎이 퇴직하고 한화로 옮길 것으로 보고 있다. 항우연 관계자는 "조 전 원장 외에 발사체 연구자 중 사표를 낸 사람은 아직 한 명도 없다"면서 "다만, 한화 측과 이직을 위한 접촉은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12월 한국형발사체 체계종합기업으로 최종 선정됐다. 항우연이 축적한 누리호 기술과 노하우를 이전받아 4차 발사부터는 이 회사가 주도하게 된다. 한화는 지난 5월 누리호 3차 발사에도 참여해 발사체 1·2·3단을 결합하는 등 일부 역할을 했다. 2025년부터 2027년까지 세 차례에 걸친 누리호 발사는 한화가 주도하고, 이후 국내외 기관을 대상으로 발사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화는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열리는 우주시장을 미래 먹거리로 키우고 인공위성, UAM(도심항공교통) 사업과도 연계한다는 전략이다.
업계에 따르면 한화는 지난해 체계종합기업 선정 후 항우연 발사체 인력을 대상으로 물밑 영입 작업을 시작했다. 대상자들에게는 기존 연봉의 최소 2배를 조건으로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화 측 고위급 인사가 항우연 원장을 만나 영입 추진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문제는 다음달 예정된 차세대발사체개발사업 체계종합기업 선정을 앞둔 시점에서 항우연 인력의 이직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는 점이다. 한화가 체계종합기업 선정에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전략적 차원에서 항우연 인력을 집중적으로 빼 가는 게 아니냐는 논란이 있다. 한화로서는 한국형발사체 체계종합기업에 선정됐지만 그보다 한 단계 위인 차세대발사체 체계종합기업을 다른 회사에 내주면 입지가 크게 흔들릴 수밖에 없다. 이번 인력 대거 영입이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경쟁사에 확실하게 쐐기를 박기 위한 계산이 깔린 행보가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우주분야 한 관계자는 "민간 주도의 뉴 스페이스 시대를 맞아 출연연 연구자들이 산업현장으로 옮겨가는 것은 문제로 보기 힘들지만, 차세대발사체사업 체계종합기업 선정 입찰을 앞둔 시점이라는 점에서 공정성 논란 소지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최근 조광래 전 항우연 원장을 우주사업 기초연구를 담당하는 '미래우주기초기술연구원(가칭)'의 CTO(최고기술책임자) 겸 원장으로 영입한 데 이어 스무명 가까운 항우연 연구자들이 이직할 것으로 알려졌다.
조 전 원장은 국내 우주개발 1세대이자 우주발사체 전문가다. 우리나라 최초 고체연료 로켓(KSR-1) 개발과 우리나라 첫 우주발사체인 '나로호' 개발을 진두지휘했으며, 2014년부터 3년 간 항우연 원장을 역임했다. 누리호 개발에도 참여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측은 조 전 원장이 30년 간의 경험과 역량, 전문성을 바탕으로 민간 주도의 우주경제 시대를 이끌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 원장에 이어 한화 측은 항우연의 중견 리더급 발사체 인력들도 영입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항우연 내부에선 대략 20명 안팎이 퇴직하고 한화로 옮길 것으로 보고 있다. 항우연 관계자는 "조 전 원장 외에 발사체 연구자 중 사표를 낸 사람은 아직 한 명도 없다"면서 "다만, 한화 측과 이직을 위한 접촉은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12월 한국형발사체 체계종합기업으로 최종 선정됐다. 항우연이 축적한 누리호 기술과 노하우를 이전받아 4차 발사부터는 이 회사가 주도하게 된다. 한화는 지난 5월 누리호 3차 발사에도 참여해 발사체 1·2·3단을 결합하는 등 일부 역할을 했다. 2025년부터 2027년까지 세 차례에 걸친 누리호 발사는 한화가 주도하고, 이후 국내외 기관을 대상으로 발사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화는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열리는 우주시장을 미래 먹거리로 키우고 인공위성, UAM(도심항공교통) 사업과도 연계한다는 전략이다.
업계에 따르면 한화는 지난해 체계종합기업 선정 후 항우연 발사체 인력을 대상으로 물밑 영입 작업을 시작했다. 대상자들에게는 기존 연봉의 최소 2배를 조건으로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화 측 고위급 인사가 항우연 원장을 만나 영입 추진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문제는 다음달 예정된 차세대발사체개발사업 체계종합기업 선정을 앞둔 시점에서 항우연 인력의 이직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는 점이다. 한화가 체계종합기업 선정에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전략적 차원에서 항우연 인력을 집중적으로 빼 가는 게 아니냐는 논란이 있다. 한화로서는 한국형발사체 체계종합기업에 선정됐지만 그보다 한 단계 위인 차세대발사체 체계종합기업을 다른 회사에 내주면 입지가 크게 흔들릴 수밖에 없다. 이번 인력 대거 영입이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경쟁사에 확실하게 쐐기를 박기 위한 계산이 깔린 행보가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우주분야 한 관계자는 "민간 주도의 뉴 스페이스 시대를 맞아 출연연 연구자들이 산업현장으로 옮겨가는 것은 문제로 보기 힘들지만, 차세대발사체사업 체계종합기업 선정 입찰을 앞둔 시점이라는 점에서 공정성 논란 소지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후략
https://naver.me/xGmx61V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