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오후 8시 26분 중대본이 전남 장수군에서 지진이 발생했다고 보낸 문자와 20분 뒤 수정해 보낸 문자.
29일 오후 전북 장수군에서 발생한 지진에 기상청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침착하게 대응하지 못해 국민들에게 불안감을 가중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기상청은 지진 규모가 수정된 결과를 국민들에게 직접 알려주지 않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전북’과 ‘전남’ 조차 구분하지 못하고 허둥대는 문자를 발송했기 때문이다.
30일 전북도 등에 따르면 기상청은 29일 오후 7시 7분쯤 장수군 북쪽 18km 지역에서 규모 4.1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한반도에서 규모 4.0 이상 지진 발생은 이례적이어서 전국민에게 긴급 재난문자가 발송됐다. 문자 발송 시간은 오후 7시 8분으로 매우 신속하게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가롭던 휴일 저녁 시간 ‘낙하물로부터 몸 보호, 진동 멈춘 후 야외 대피하며 여진주의’라는 긴급 재난문자를 받은 국민들은 크게 긴장하며 불안에 떨었다. 그러나 기상청은 5분 뒤인 7시 13분 7월 29일 19시 08분에 발표한 지진속보를 수동으로 분석, 지진 규모를 3.5로 수정했다. 지진파 중 속도가 빠른 P파 자동분석 시 규모 4.1로 판단돼 전국에 긴급재난문자 발송했다가 추후 분석을 통해 3.5로 조정했다.
하지만 기상청은 이런 사실을 긴급재난문자를 통해 국민들에게 직접 알리지 않고 관계 기관에만 전달했다. 전국민에게 대형 지진이 발생한 것처럼 재난문자를 보내고 이후 수정된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것이다. 전주기상지청은 “규모 4.0 이하의 지진은 전국민에게 긴급재난문자를 보내는 사항이 아니어서 유관 기관에게만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후 전북도는 기상청 정보를 토대로 오후 7시 25분 규모 3.5의 지진이 발생했다는 문자를 도민들에게 발송하고 주의를 당부했다. 그러나 이미 지진 규모를 4.1로 인식하고 있는 주민들은 3.5 규모의 지진이 다시 발생한 것으로 착각해 더욱 불안감에 휩싸였다.
우리나라 자연재해대책 업무를 총괄하는 중대본의 대처는 더욱 가관이다. 행안부는 지진이 발생하자 신속한 피해 상황 파악과 필요시 긴급조치를 위해 오후 7시 10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단계 가동했다. 8시 26분에는 ‘전남 장수군에서 발생한 지진(규모3.5)으로 현재까지 피해 미발생, 추가 지진 시 지진행동요령(국민재난안전포털)에 따라 침착하게 대응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문자를 발송했다.
그러나 ‘전북 장수군’을 ‘전남 장수군’으로 잘못 표기한 사실을 뒤늦게 파악한 중대본은 20분 뒤인 8시 46분 수정 문자를 발송했다. 지진 발생후 1시간 19분 뒤에 보낸 문자에 지역 표기를 착각했고 이를 수정하는데 20분이나 소요된 것이다.
이때문에 기상청은 지진규모가 하향 조정된 사실을 국민들에게 직접 알리지 않았고, 중대본은 자신들의 실수를 해명하기 위해 안전문자를 두 번 보내 불안감을 가중시켰다는 비난을 면치 못하게 됐다.
전주 임송학 기자
https://naver.me/5QGSm9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