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수의마음치유] 시시한 새해 목표
팔굽혀펴기 5번… 10분 산책… 반복이 중요
작은 행동 꾸준히 쌓아갈 때 마음 단단해져
“새해 목표가 뭐예요?” 상담 말미에 환자에게 물었더니 “선생님은 어떤 걸 이루고 싶으세요?”라고 되물어왔다. 예전엔 거창한 계획을 세운 적도 있었는데 되돌아보면 크게 잡은 것일수록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올해엔 대단한 걸 이뤄야지”라고 마음먹진 않는다.
우선 꾸준히 할 일 하나를 정한다. 매일 하면 좋지만 그렇게 할 수 없더라도 최대한 거르지 않고 반복하고 싶은 목표를 세운다. 사소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기상하면 곧바로 팔 굽혀 펴기를 5번 한다든가 밥 먹기 전에 “감사합니다”라고 짧게 기도하는 것이면 충분하다. “반복하고 또 반복”하는 게 중요하다. 성취감은 목표를 달성해야만 느낄 수 있는 게 아니다. 자신과의 약속을 지켰을 때 따라오는 느낌이 성취감이다. 하루하루 쌓인 실천이 모였을 때 시나브로 변하는 게 사람이다.
낙담했다가도 시간이 흐르면서 마음이 단단해지는 이들을 지켜보면 그들은 작은 행동을 꾸준히 쌓아간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우울증을 잘 이겨내는 사람일수록 일어나자마자 좋아하는 책을 읽고, 날씨 탓하며 이불 속에 있지 않고 정해진 시간에 산책을 한다. 대단한 행동으로 나아지는 게 아니다. 생각을 고쳐먹고 마음을 다잡는 것만으로 마음은 성장하지 않는다.
두세 개씩 목표를 세우고, 그것도 짧은 시간에 이루려고 하면 백발백중 실패한다. 올해엔 담배도 끊고 살도 빼고 근육도 키우겠다고 한꺼번에 달려들면 금방 지친다. 스트레스 받으면 유혹을 이기는 힘이 약해진다. 얼마 안 가서 단 것이 당기고 담배 생각이 간절해질 거다.
지금이라도 새해 목표를 만들 요량이면 거창한 건 접어두고 시시한 계획을 세우라. “올해는 책 한 권을 쓰겠다”가 아니라 “매일 딱 한 문장만 쓰겠다”로 정해보라. “고작 한 문장은 너무 시시하잖아! 매일 A4용지 한 장쯤은 써야지!”라고 마음먹었다면 연말에 달성 못할 가능성이 매우 매우 높다. 물론 잘 지키는 사람도 있겠지만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은 그렇게 못한다. 다시 말하지만 새해 목표는 시시하게 잡아서 1월부터 12월까지 유지하는 게 훨씬 낫다.
수험생들에게 목표가 뭐냐, 라고 물으면 수능 성적을 몇 점까지 올리고, 명문 대학에 들어가고 싶다, 라는 식의 대답을 한다. 물론 이런 목표도 중요하다. 그런데 어떤 기준점에 도달하는 성취 목표가 아니라 인생의 지침이 되는 가치 목표도 생각해보면 좋겠다.
넓은 바다에서 배를 몰고 있다면 “내일은 제주도에 도착할 거야”라는 게 성취 목표다. “컴컴한 밤하늘에 보이는 북두칠성을 따라가겠다”처럼 영원히 도달할 수는 없지만 선택의 기로에서 길잡이가 되어주고 어떤 태도로 살아갈지를 알려주는 것이 가치 목표다. “친절한 사람이 되고 싶다”거나 “열정적으로 살고 싶다”일 수도 있고 “넓고 깊게 세상을 경험하고 싶다”도 괜찮다. “특별한 나만의 개성을 갖고 싶다”도 좋다.
그렇지 않아도 목표 과잉인 세상을 살아가느라 고달픈데 괜한 계획 세워서 자신을 들볶지 말고 올해는 무계획을 계획으로 삼아보라고 조언하는 이도 더러 있던데, 내 생각에는 그래도 목표는 없는 것보단 무엇이든 있는 게 나은 것 같다. 달성 여부와 상관없이 꿈을 가슴에 품고 있다는 그 자체가 소중하다. 미래에 달라진 자기 모습을 상상해보면 팍팍한 현실을 이겨낼 힘이 솟아나기 때문이다.
김병수 정신건강 전문의
출처 https://naver.me/GFeRphFW
팔굽혀펴기 5번… 10분 산책… 반복이 중요
작은 행동 꾸준히 쌓아갈 때 마음 단단해져
“새해 목표가 뭐예요?” 상담 말미에 환자에게 물었더니 “선생님은 어떤 걸 이루고 싶으세요?”라고 되물어왔다. 예전엔 거창한 계획을 세운 적도 있었는데 되돌아보면 크게 잡은 것일수록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올해엔 대단한 걸 이뤄야지”라고 마음먹진 않는다.
우선 꾸준히 할 일 하나를 정한다. 매일 하면 좋지만 그렇게 할 수 없더라도 최대한 거르지 않고 반복하고 싶은 목표를 세운다. 사소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기상하면 곧바로 팔 굽혀 펴기를 5번 한다든가 밥 먹기 전에 “감사합니다”라고 짧게 기도하는 것이면 충분하다. “반복하고 또 반복”하는 게 중요하다. 성취감은 목표를 달성해야만 느낄 수 있는 게 아니다. 자신과의 약속을 지켰을 때 따라오는 느낌이 성취감이다. 하루하루 쌓인 실천이 모였을 때 시나브로 변하는 게 사람이다.
낙담했다가도 시간이 흐르면서 마음이 단단해지는 이들을 지켜보면 그들은 작은 행동을 꾸준히 쌓아간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우울증을 잘 이겨내는 사람일수록 일어나자마자 좋아하는 책을 읽고, 날씨 탓하며 이불 속에 있지 않고 정해진 시간에 산책을 한다. 대단한 행동으로 나아지는 게 아니다. 생각을 고쳐먹고 마음을 다잡는 것만으로 마음은 성장하지 않는다.
두세 개씩 목표를 세우고, 그것도 짧은 시간에 이루려고 하면 백발백중 실패한다. 올해엔 담배도 끊고 살도 빼고 근육도 키우겠다고 한꺼번에 달려들면 금방 지친다. 스트레스 받으면 유혹을 이기는 힘이 약해진다. 얼마 안 가서 단 것이 당기고 담배 생각이 간절해질 거다.
지금이라도 새해 목표를 만들 요량이면 거창한 건 접어두고 시시한 계획을 세우라. “올해는 책 한 권을 쓰겠다”가 아니라 “매일 딱 한 문장만 쓰겠다”로 정해보라. “고작 한 문장은 너무 시시하잖아! 매일 A4용지 한 장쯤은 써야지!”라고 마음먹었다면 연말에 달성 못할 가능성이 매우 매우 높다. 물론 잘 지키는 사람도 있겠지만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은 그렇게 못한다. 다시 말하지만 새해 목표는 시시하게 잡아서 1월부터 12월까지 유지하는 게 훨씬 낫다.
수험생들에게 목표가 뭐냐, 라고 물으면 수능 성적을 몇 점까지 올리고, 명문 대학에 들어가고 싶다, 라는 식의 대답을 한다. 물론 이런 목표도 중요하다. 그런데 어떤 기준점에 도달하는 성취 목표가 아니라 인생의 지침이 되는 가치 목표도 생각해보면 좋겠다.
넓은 바다에서 배를 몰고 있다면 “내일은 제주도에 도착할 거야”라는 게 성취 목표다. “컴컴한 밤하늘에 보이는 북두칠성을 따라가겠다”처럼 영원히 도달할 수는 없지만 선택의 기로에서 길잡이가 되어주고 어떤 태도로 살아갈지를 알려주는 것이 가치 목표다. “친절한 사람이 되고 싶다”거나 “열정적으로 살고 싶다”일 수도 있고 “넓고 깊게 세상을 경험하고 싶다”도 괜찮다. “특별한 나만의 개성을 갖고 싶다”도 좋다.
그렇지 않아도 목표 과잉인 세상을 살아가느라 고달픈데 괜한 계획 세워서 자신을 들볶지 말고 올해는 무계획을 계획으로 삼아보라고 조언하는 이도 더러 있던데, 내 생각에는 그래도 목표는 없는 것보단 무엇이든 있는 게 나은 것 같다. 달성 여부와 상관없이 꿈을 가슴에 품고 있다는 그 자체가 소중하다. 미래에 달라진 자기 모습을 상상해보면 팍팍한 현실을 이겨낼 힘이 솟아나기 때문이다.
김병수 정신건강 전문의
출처 https://naver.me/GFeRphF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