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 비대해진 자아는 자신을 위험에 빠뜨린다 + 얀테의 법칙
4,743 70
2021.06.28 16:24
4,743 70

http://dongascience.donga.com/news/view/30474




미국에 살면서 왜 총기난사범들은 다수가 백인인지가 궁금했다. 오랜 시간 동안 수탈당해온 흑인들이 백인을 미워해서 혐오범죄를 저지르는 쪽이 더 자연스러울 거 같은데 왜 혐오 범죄를 저지르고 특히 불특정 다수를 살해하는 행위는 백인들이 더 많이 하는 걸까? 오랫동안 교육의 기회나 투표권도 갖지 못한 채 착취당해온 것은 흑인들이요 아직도 주류 사회의 요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백인이다. 

정작 억울해하고 피해의식을 느껴야할 사람들은 가만히 있는데 왜 상대적으로 특권을 누려온 사람들이 더 억울해하고 더 피해의식이 심한걸까?


 

비대한 자아의 해로움

 

혐오범죄나 폭력범죄를 일으키는 사람들은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일 것이라는 통념이 있지만, 실제 연구들에 의하면 정답은 그 반대다(Baumeister et al., 1996). 무시한다고 분노하는 건 자존감이 낮기보다 ‘근거 없이’ 높고 자의식이 심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특히 나는 남들과 달리 특별하며 따라서 좋은 대접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하는 나르시시즘의 자격의식과 공격성 사이에 깊은 관계가 있다(Reidy et al., 2008).

 

쉽게 말하면 그간 너무 우쭈쭈 받고 살아와서 현실감 없이 자기가 진짜 대단한 존재라고 생각할 때, 쉽게 무시당했다 느끼고 공격성을 표출한다. 내가 가진 특권이 특권인 게 아니라 진짜 내가 대단해서 누리는 것인 줄 알고, 그런 내가 계속해서 많이 누리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나는 남들보다 우월하니까 당연히 더 많은 걸 누려야해’ 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사회가 점점 평등해진다? 그러면 이들은 자신들이 부당하게 박해를 받는다고 느낀다. 높은 사회적 지위와 권력이 주어지지 않는 현실에 ‘내 것을 빼았겼다’고 느낀다(Bushman et al., 2003).

 

그 결과 마치 세상과 남들이 자신에게 빚이라도 진 것처럼 맡겨놓은 대접과 인정 내놓으라며 때를 쓴다. 그 과정에서 왜 대단한 나를 알아주지 않냐며 주변 사람들을 괴롭힌다. 이와 달리 비슷한 상황에서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분노의 종착지가 타인에 대한 공격이기보다 내가 그렇지 뭐 류의 자책과 자기비난이다.  

 

관련해서 권력이 없는 사람이 쉽게 분노할 것 같지만 연구에 따르면 의외로 권력감이 클수록 조금이라도 손해보는 것 같으면 참지 못하고 분노하는 경향을 보인다(Ding et al., 2017). 권력감이 낮은 사람들은 실제 억울한 일이 발생해도 이게 다 내가 못난 탓이라며 남을 비난하기보다 자기 탓을 하고 입을 다무는 편이다.

 

인간은 환경과 권위, ‘자기 처지’에 꽤나 잘 순응하는 동물이어서 많이 가지면 그건 다 내가 잘난 탓이어서 당연한 결과라고 받아들이고 적게 가지면 적은대로 그건 내가 못나서 그렇다고 순응하는 편이다. 힘이 없는 경우 내가 분노해봤자 사람들은 관심이 없을 거라는 걸 알기 때문이기도 하다. 분노 표출도 내가 분노하면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나를 다르게 대할 거라는 자신감이 있을 때 가능한 일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특히 각종 혐오범죄, 인종차별, 불링같이 타인에 대한 심각한 폭력을 동반하는 범죄들이나 백인우월주의, 남성우월주의 같은 것들은 자기비하가 심하고 자신의 가치에 대해 의심하는 사람들보다는 자신은 당연히 남들보다 우월하고 따라서 더 나은 대접을 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 의해 저질러진다.

 

이런 이유로 바우마이스터(Baumester), 부시먼(Bushman), 리어리(Leary) 등 많은 심리학자들이 목소리를 높여 낮은 자존감보다 근거없이 부풀려져있고 따라서 불안정한(inflated and unstable) 자존감이 더 위험하다고 이야기한다(Leary & MacDonald, 2003). 자존감이 낮을 때는 본인이 괴롭고 말지만 고평가된 자아는 주변 사람들을 괴롭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도 지금 직장에서 나를 가장 힘들게 하는 것도 스스로의 가치를 과대평가하는 사람들이다. 모르는 데 안다고 빡빡 우기고 아니라고 하면 "감히 나한테 아니라고 하냐"며 "한 수 가르쳐주겠다"고 부들거리는 사람이다.

 


우월감을 쫓다 타인을 해친다

 

점점 늘어나고 있는 총기난사 범죄자들에 대해서도 결국 지나치게 비대한 자아가 원인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의 심리학자 브레드 부시먼 교수는 30여년에 걸친 공격성 연구 끝에 내린 결론은 "자신이 남들보다 우월하다는 믿음(종교, 인종, 성별, 성적지향, 정치적 입장, 이데올로기, 학교, 국가 등)이 만악의 근원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심리전문 매체인 '사이포스트(PsyPost.org)'와의 인터뷰에서 나르시시스트들은 자신은 특별한 대접을 받아야 하는 특별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하며 따라서 본인에게 적합한 대우가 주어지지 않을 경우 주변 사람들을 응징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언급했다. 총기난사범들 역시 자신을 과소평가하는 행동은 잘 보이지 않고 다른 인간 위에 군림하는 신 같은 존재가 되고 싶다는 욕구를 보인다고 한다. 예컨대 1999년 일어난 미국 컬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의 범인의 경우 범행 전 “인간이 살고 죽는 것을 결정하는 최종 결정권자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총기난사범들은 자신을 '최상급의 젠틀맨', '우월한 자', '진정한 알파 메일(male)'로 소개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많은 경우 흑인은 백인을, 여성은 남성을 억압하고 있어 이를 제거하는 투사나 영웅으로 자신을 포지셔닝한다.  그러면서 자신을 진심으로 사랑한 나머지 거창한 성명서를 남긴다. 여러모로 작은 자아와는 거리가 먼 행동들이다.

 

부시먼은 일반적인 범죄자들은 자신의 범죄를 숨기고 싶어하지만 혐오범죄를 일으키는 사람들은 그 반대라고 언급했다. “그들은 나르시시스트들이 그러하듯 온 세상이 자신에게 주목하길 바란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너는 특별한 존재가 아니다

 

물론 건강하지 않은 자존감인건 맞지만 낮은 게 문제가 아니고 그 반대이기 때문에,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자의식 축소와 현실감각 챙기기가 필요하다. 너는 네가 생각하는 만큼 대단한 존재가 아니다.

 

예를 들어 네가 가진 것이 모두 너의 노력으로 인한 것도, 너에게 합당한 자격이 있는 것도 아니다. 

모두에게 대접받아야 하는 것도 아니며 타인을 땔감으로 네 기를 펴려고 하면 안 된다. 

네가 노력한다고 해서 모두가 알아주고 박수쳐줘야만 하는 것도 아니다. 

지구가 너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것도 당연히 아니다, 같은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반대로 자격의식이 넘치는 사람에게 너는 대단하고 멋지며 사랑받을 만한 사람이라고 하는 일반적인 자존감 높이기 교육을 하면, 역시 내가 나쁜게 아니라 날 몰라주고 대접하지 않는 세상이 나쁘다며 되려 더 오만방자해지고 더 억울해하고 더 공격적이어질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오랫동안 시행되어온 자존감 향상 처치들이(나는 사랑받을만한 사람. 나를 더 사랑하자!) 당초의 예상과 달리 공격성을 낮추는 효과가 없었다는 보고가 나온 바 있다(Baumeister et al., 2003). 이미 거품이 잔뜩 낀 자존감에 비행기를 태운 격이기 때문이다.  

 


자아 중독에서 벗어나자


배고프면 밥을 먹으면 되지 배터지게 먹는다고 좋은 게 아닌 것처럼, 나를 존중하면 되지 나를 대단한 존재로 포장하고 뻥튀기함으로써 자존감을 높이려고 하는 방법은 건강한 자존감 추구법이 아니다. 건강한 자존감은 그 높이나 세기보다 건강한 추구법에서 온다는 것을 명심하자.


건강한 자존감을 위해서는 나를 더더 좋아하려고 애쓰기보다 반대로 나에 대한 관심을 줄여야 한다. '내가' 뭘 어쨌고 사람들이 '나한테' 어떻게 했고, 저 사람이 ‘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등등 모든 걸 나 필터로 해석하지 않을 것. 또 다른 사람들과 달리 '나는' 특별해서 나는 절대 인생의 쓴 맛을 보아선 안 되고 항상 꽃길을 걸어야 한다는 자격의식적 사고방식을 버리는 게 더 중요할 때가 많다.

 

타인의 삶에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이 있는 게 자연스러운 것이라면 내 삶에도 내리막이 존재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한다. 내가 실패할 가능성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자아 또한 현실감 없이 부풀려진 자아인 것이다.

 

인간만큼 자아 중독인 동물이 없다. 나 혼자서 자꾸 내가 좋거나 나쁘다고 생각해서 뭐하겠는가? 나를 포장하겠다는 욕심과 나에 대한 평가를 관두고 어차피 힘든 인생을 살고 있는 나에게 친절한 행동을 하나 더 하는 게 훨씬 정신건강에 이로울 것이다.




 

참고자료

-Baumeister, R. F., Campbell, J. D., Krueger, J. I., & Vohs, K. D. (2003). Does high self-esteem cause better performance, interpersonal success, happiness, or healthier lifestyles,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4, 1-44.

-Baumeister, R. F., Smart, L., & Boden, J. M. (1996). Relation of threatened egotism to violence and aggression: The dark side of high self-esteem. Psychological Review, 103, 5-33.

-Bushman, B. J., Bonacci, A. M., Van Dijk, M., & Baumeister, R. F. (2003). Narcissism, sexual refusal, and aggression: Testing a narcissistic reactance model of sexual coercion. Personality Process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84, 1027-1040.

-Ding, Y., Wu, J., Ji, T., Chen, X., & Van Lange, P. A. (2017). The rich are easily offended by unfairness: Wealth triggers spiteful rejection of unfair offer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71, 138-144.

-Dolan, E. (2017, November 19). A significant number of mass shooters may be aggrieved narcissists. Retrieved from https://www.psypost.org/2017/11/significant-number-mass-shooters-may-aggrieved-narcissists-50227

-Leary, M. R., & MacDonald, G.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self-esteem: A review and theoretical integration. In M. R. Leary & J. P. Tangney (Eds.), Handbook of self and identity (pp. 401-418). New York: Guilford Press.

-Reidy, D. E., Zeichner, A., Foster, J. D., & Martinez, M. A. (2008). Effects of narcissistic entitlement and exploitativeness on human physical aggress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4, 865-875.

 




<얀테의 법칙>


노르딕 국가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아이슬란드, 핀란드)에서 흔히 알려진 교훈? 행동지침 같은 것


요약: 겸손해라



당신이 특별하다고 생각하지 마라.


당신이 남들만큼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마라.


당신이 남들보다 똑똑하다고 생각하지 마라. 


당신이 남들보다 낫다고 생각하지 마라. 


당신이 남들보다 많이 안다고 생각하지 마라.


당신이 남들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마라. 


당신이 모든 일을 잘한다고 생각하지 마라. 


남들을 비웃지 마라.


누군가 당신을 걱정하리라 생각하지 마라. 


남들에게 무엇이든 가르칠 수 있으리라 생각하지 마라.





---------------------------------------------------------------------------------------------------------------------------------------------------------------------------------------------------------------------------------------------


최근 더 많이 느끼지만 뭐든 중도를 지키는게 좋다는 생각이 든다.


너는 소중한 존재야 우쭈쭈쭈도 과하면 독이야..







목록 스크랩 (42)
댓글 70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에이지투웨니스×더쿠💜] 에이지투웨니스 더쿠에 첫인사드립니다🙌 글래스 스킨 에센스 팩트 2종 체험 이벤트 557 06.06 57,763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244,063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4,972,134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425,227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2,643,131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47 21.08.23 3,815,473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22 20.09.29 2,698,589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378 20.05.17 3,381,126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63 20.04.30 3,942,788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스퀘어 저격판 사용 무통보 차단 주의) 1236 18.08.31 8,353,130
모든 공지 확인하기()
2428765 유머 두산x망그러진곰 콜라보에 고통 받는 중인 타구단 야구팬들.twt 20:57 130
2428764 기사/뉴스 '빌드업 우승' 비디유, 26일 정식 데뷔..'최강 보컬돌' 탄생 20:56 42
2428763 기사/뉴스 “어머니 치매 갈수록 심해져” SUV 차량 바다 돌진…어머니·형 숨져 3 20:56 326
2428762 유머 엄마한테 온 카톡 1 20:53 875
2428761 이슈 네이버 클립 인기 탑4 영상을 알아보자 3 20:53 484
2428760 유머 네글자로 정리되는 하이브-민희진 논란 22 20:51 2,034
2428759 이슈 핫게간 YG디렉터가 소녀시대 15주년 앨범 발매 당시 썼던 글.jpg 21 20:51 1,856
2428758 정보 충청,남부 올 최고기온 갱신하고 작년보다 일주일보다 빠른 첫 폭염특보 내려진 오늘, 내일도 맑고 더울 내일 전국 날씨 & 기온.jpg 20:47 453
2428757 유머 복돼지(푸바오)는 내가 낳았어.jpg (역대급 주접ㅋㅋㅋㅋㅋ) 10 20:46 1,575
2428756 이슈 여덬들 난리난 광고.jpg 508 20:45 18,316
2428755 이슈 삼국지) 유비의 실패이자 완성인 사건 8 20:44 796
2428754 이슈 위키미키 Digital Single <CoinciDestiny> Concept Photo🗝 1 20:43 276
2428753 기사/뉴스 '서울의봄' 故 김오랑 유족, 45년 만에 국가에 책임 묻는다 20:43 427
2428752 이슈 [단독] 피겨 국가대표, 해외 전지훈련 중 '음주' 파문 43 20:42 4,941
2428751 유머 에스파 리얼리티 예고편 속 강렬한 5초의 카리나 윈터 7 20:42 964
2428750 이슈 빌리프랩이 저격했던 yg디렉터 실시간 스토리 528 20:37 22,606
2428749 유머 흔한 대학생활 후회 11 20:36 2,220
2428748 기사/뉴스 김주현 민정수석 딸, 20살 때 김앤장 인턴‥또 아빠 찬스 논란 19 20:35 1,891
2428747 유머 에스파 닝닝이 말합니다 10 20:33 1,729
2428746 기사/뉴스 해명 나선 산업부 "심해 유전은 처음이라‥" 7월에 첫 시추공 결정 47 20:31 1,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