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머 주린이가 돌아본 4년의 주식 투자 3
4,280 70
2021.04.02 12:58
4,280 70


 주린이가 돌아본 4년의 주식 투자 1  :https://theqoo.net/square/1914795316

 주린이가 돌아본 4년의 주식 투자 2  :https://theqoo.net/square/1914958352







 검은 10월은 매서운 바람과 함께 등장했다. 칼바람이 뺨을 사정없이 내리쳤다. 장기투자를 추구할 때 장점은 주가의 오르내림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점이다. 단기 투자는 작은 파동 마다 승리의 기쁨과 그보다 더한 심장 쫄리는 아픔을 준다. 튼튼 멘탈 자부했던 나도 10월은 어려웠다. 보유한 모든 기업의 가치가 일제히 번지점프했다. 하나가 오르면 하나가 내리고, 하나가 내리면 하나가 오른다. 위로는 상처와 동행해 힘들 때 버틸 힘을 준다. 다만 10월은 위로 없는 온전한 상처의 달이었다.



자산에 큰 변화가 생기면 돌아볼 시간을 얻는다. 문고리가 고장나야지만 문고리의 고마움과 쓸모를 인식하는 것처럼 말이다. 한동안 신경 끄고 살았던 주식 공부를 시작했다. 경제 방송를 듣고, 투자 철학서를 읽었다. 그렇게 읽은 책 중 하나가 투자 방식에 큰 변화를 불러왔다. 조엘 그린블라트의 '주식 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이다. 제목만 보고 전업 저자가 날림으로 쓰고 출판사가 팔리는 제목 붙인 그저그런 트렌트 책일 거라 오해했다. 팟 캐스트 신과함께의 '정채진 전업 투자자'의 추천이 없었다면 읽지 않았을 책이다.



검은 10월이 오기 직전, 경제 팟캐스트 '신과 함께'에서 주식 투자 특집 코너를 선보였다. 성공한 전업 투자자 정채진이 나와 본인의 투자담을 공유했다. 나는 좋아하는 인간상이 확실하다. 상식적이고 합리적이고 책 많이 읽는 사람이다. 책은 새로운 관점을 끊임없이 제시한다. 독서는 정반합 기회를 준다. 원래 갖고 있던 생각과 책에서 발견한 새로운 생각을 비교한다. 더 나은 관점으로 갱신하다보면 세상과 타인과 다른 존재를 더 잘 이해하게 된다. 선택지를 받아들었을 때 오답을 고를 확률도 줄어든다. 간접 경험을 통해 시행착오를 겪었기 때문이다. 정채진은 다독하는 상식적이고, 합리적인 사람이었다. 그가 힘줘서 추천한 책이 '주식 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이었다.



책은 환상적이었다. 저자는 단순한 주식 시장의 진리를 쉽고 흥미로운 어조로 풀어냈다. 투자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아는 것과 이해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 책을 몇 번씩 반복해서 읽었다. 그 과정에서 '아는 것'은 '이해하는 것'으로 카테고리를 옮겼다. 이후에도 많은 투자 명저를 읽었다. 피터 린치, 코스톨라니, 버핏(의 말을 옮겨적은 로버트 해그스트롬), 그레이엄, 필 타운, 국내 회계사 사경인 등이 인사이트를 줬지만, 작은 책만큼 감동을 주진 못했다.


검은 10월을 대대적인 투자 원칙 갱신으로 마주했다. 종목 고르는 방식의 대원칙을 그린 블라트의 조언에서 차용했다. 토대를 거기에 두고 작은 디테일을 내 상황에 맞게 수정했다. 후에 매수 매도 기업을 보면 알겠지만, 위기가 기회로 바뀐 셈이다. 2018년 10월 17일 이와 관련해 쓴 글이 아래다.



갱신된 방법 (마법 공식)

1단계: 1년 동안 투자할 금액을 설정한다.

2단계: 마법공식에 의해 순위가 매겨진 기업의 리스트를 얻는다.

3단계: 설정자금의 20~33%로 최상위 등수의 5~7개 기업의 주식을 구매한다.

4단계: 설정자금이 소진될 때까지 2~3개월마다 2,3단계를 반복한다.

(9~10개월 후면 20~30개 기업으로 구성된 마법공식 포트폴리오가 완성될 것이다)

5단계: 각각의 개별주식은 1년 동안 보유한 후에 매도한다.

6단계: 매도한 자금으로 다시 같은 수의 새로운 기업을 구매한다.

7단계: 이 과정을 수년 동안 반복한다.



마법 공식은 퀀트 투자다. 수치만 보고 투자하는 방식이다. ROE로 우량주를 선별하고, PER로 저평가주를 선별한다. 그 두 지표를 합산해서 가장 우수한 종목을 구매한다. 그렇게 되면 시장과 그 외 상황과 떨어져서 투자할 수 있다. 정해진 시점에 사서 정해진 시점에 판다. 기존에도 가뜩이나 신경쓸 게 없었는데, 더욱 할 게 없다. 내 의견이 들어갈 곳이 없다. 할 일은 수치 최상위 몇 종목 중에서 사업 계획서 등을 참고해 호재나 장기 전망이 괜찮은 종목을 고르는 정도다. 분산 투자가 핵심이다. 매 분기별로 5 종목 골라 15종목을 만들면 된다. 흥미로운 점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종목 두 개가 퀀트 지수에서도 최상위를 기록했다는 사실이다. 그 전까지 작동했던 원칙도 나쁘지 않았음을 증명해주는 듯했다. 그때 편입한 종목과 분석이 아래다.



+ 오늘 구매한 마법 공식에 따른 5개의 회사

DB하이텍 (구매가: 13,577 원)

대한항공 (구매가: 25,882 원)

서한 (구매가: 2,003 원)

테스 (구매가: 15,180 원)

HB테크놀러지 (구매가: 2,521 원)

*네이버와 하이닉스는 이미 마법 공식 순위에서도 최상위권에 있는 초우량, 꼭 사야하는 기업이므로 잡고 간다. 결국 오른다.



결국 주식 선별 방식을 바꾸고도 최초로 구매한 종목들을 유지했다.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는 주식투자 시작부터 방식이 변한 이후로도 쭉 함께 했다. 그리고 3개월 후에 추가로 원칙에 부합하는 기업 5개를 선별해 편입했다. 2019년 1월 17일 쓴 글이다. 돈을 정확히 5등분 하지 않았다. 매력적인 종목을 모아놓은 와중에도 유난히 빛나는 기업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유니테스트란 기업이다. 매도 시점이 왔을 때 유니테스트가 내게 준 수익률은 140%였다. 11500원 주고 산 기업을 27700원에 팔았다. 2019년 1월에 편입한 5개 기업을 가져온다.



*유니테스트 - 반도체 고점 논란으로 하이닉스와 더불어 저평가 받는 주. 너무 매력적이라 1/5로 분산하지 않고 대량 구매 할 필요가 있음.

총 금액을 1/5 분할하기 보다 매력적인 주식인 유니테스트에 절반 가까운 3/7을 투자하기로 결정

1. 유니테스트 (구매가 11,550 원) 3/7 투자

2. HDC (구매가 16,050 원) 1/7 투자

3. 진에어 (구매가 18,500 원) 1/7 투자

4. 코엘패션 (구매가 4,440 원) 1/7 투자

5. CJ제일제당 (구매가 340,500 원) 1/7 투자


기존에 갖고 있던 주식 원칙과 맞지 않는 기업 3개를 처분했고, 그 돈으로 위 종목을 구매했다. 다행히 수익을 보고 판매했다. 이때 판매한 3 종목 모두 매도 후에 큰폭으로 하락한다. 갱신한 원칙 덕에 손실을 면했다.


매도

에스원 102,000 원에 매도. (10프로 수익)

대명코퍼레이션 2,775 원에 매도 (38프로 수익)

마이크로텍 1,775 원에 매도 (20프로 수익)


마지막으로 2019년 4월이 돼서 최종적으로 갱신된 원칙에 맞는 15개 기업 포트폴리오가 완성된다. 투자의 기준이 흔들린 주식을 처분하고 남은 자리를 선별한 3개의 기업으로 채웠다. 투자 기준 미달 기업이 판매 시점에 다행히 수익을 내줬다. 마지막 조각은 이렇다. 2019년 4월 15일에 쓴 글을 발췌했다.


2.판매할 주식 정리

1.대한항공 (구매가: 25,882 원) -> 판매가 38,100 원 (수익)

처분 이유: 조 씨 일가의 경영권 승계를 위한 사재기로 일시적 거품이 낀 상태. 회사의 온전한 가치가 아니므로 처분

2. 진에어 (구매가 18,500 원) 1/7 투자 -> 판매가 30,100 원 (수익)

처분 이유: 위와 동일하다. 진에어는 대항항공 계열사이므로.


구매할 주식 정리

우선 포트폴리오 총 회사 수를 15~20개 사이로 정리해야 한다. 이미 1월 정리로 14 회사를 만들었다. 오늘 2개 회사를 처분했으므로 12개가 남았다. 금일 3~5개 회사를 추가하면서 정리한다. 회사의 비전을 보고 몇 개 담을지 정한다. 마땅한 회사가 많이 없으므로 3개 구매 후 15개 맞춘다.

1. 동원개발 (구매가: 4,490 원) 1000주 구매

이유: 꾸준히 성장하면서 주가를 떨어졌다. 수주 지속적으로 받고 있으며, 튼튼하다.

2. 서플러스글로벌 (구매가 : 3,155 원) 1000 주 구매

이유: 꾸준히 성장하면서 주가를 떨어졌다.

3. 영풍제지-> 한솔제지 (구매가: :15,500 원) 300 주 구매

이유: 오래 유지한 기업이며, 택배 수요 증가로 점점 골판지 판매량이 늘 것으로 추정. 원가는 감소해서 호재. 아세아제지, 신대양제지는 지난 일 년 엄청난 성장을 거둔데 반해 영풍제지의 성장률을 비약함. 그러나 영업이익 실적 향상은 괄목할 정도이다. / 그러나 한솔제지가 같은 기준으로 성장률이 더 좋은 것을 발견했다.

반 년에 걸쳐 새로운 원칙에 맞춰 밥상을 다시 차렸다. 초기에 구매한 하이닉스, 삼성전자, 네이버는 갱신 시점에도 매력적인 종목이어서 판매하지 않았다. 특히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는 주식을 시작부터, 주식을 전부 처분한 2021년이 1월까지 한 번도 팔지 않고 보유했다.



주식 투자를 시작하고 2년이 지났다. 2019년 4월까지 총 50% 수익을 얻었다. 한 해 수익률만 계산하면 2018년 3월~ 2019년 4월까지 1년 동안 20%의 수익을 얻었다. 계좌를 열었을 때 넣은 돈이 100원에서 125원, 150원으로 성장했다.



마법 공식을 토대로 만든 포트폴리오는 기계적 매수와 매도를 요구한다. 조엘 그린 블라트는 종목당 1년 보유하고 처분하길 반복하라 조언했다. 나는 애초 구매할 때 가졌던 매력도가 희석되지 않는 한 굳이 판매해야 하나 의문을 가졌다. 내가 산 기업이 충분히 좋은 기업이라면, 가격이 가치를 따라온 이후에도 꾸준히 성장을 할 것이었다. 물론 15개 기업 중에 기대 이하의 실적, 그러니까 적자를 내는 기업이 생길 수 있다. 다만 대비책이 있었다. 최초 구매할 때 이보다 저렴하게 살 수 없다는 가격으로 구매했다. 바닥에서 떨어질 공간은 많지 않다. 반대로 올라갈 곳은 제한없다. 절반 손해보고 절반 수익 낸다 해도 결국엔 수익이 될 터였다. 이렇게 생각하니 관심을 줄 필요가 없어졌다.



내 무던한 성격에 맞게 3년 보유를 결심했다. 2018년도에 매입한 마법 공식 주식의 판매 시점은 2019년이 아닌 2021년이 된다. 시장 흐름과 금리, 기업의 악재와 호재와도 완전 결별을 고했다. 기업이 망하든 말든 3년 갖기로 했다. 이유가 있다. 시장을 예측하는 게 어리석게 느껴졌다. 애널리스트들도 다 틀리는 게 시장 전망이라면, 내가 맞출리가 없다. 또한 3년 투자라면 업종별 시즌을 찾을 필요도 없다. 3년은 비교적 긴 기간이라 그 '시즌'이라는 게 돌아올 가능성이 높다. 내가 볼 것은 가격과 가치다. 가치에 비해 저렴한 기업을 구매해 3년이란 시간동안 가격이 따라오길 바라며 기다리는 투자다. 몹시 수동적이다. 게으른 나와 더할나위 없이 잘 어울렸다.



극한의 수동성을 취하고 주식에 손을 대지 않았다. 주식 앱을 확인하는 시간은 일주일에 2분 정도였다. 가끔 궁금하면 켜서 가격을 보고 바로 껐다. 기업 분석을 하지 않고, 경제 뉴스를 보지 않았다. 무책임하게 방치하고 일상을 살았다. 우량주를 저렴한 가격에 사서 수면제를 먹고 긴 잠에 빠졌다. 2020년 1월 11일날 쓴 전적표가 여기 있다.



1. 유니테스트 (구매가 11,550 원) 3/7 투자 -> (2019년 4월 주가) 16,050 원 -> (2020년 1월 11일 주가) 14,750 원 (2019년 4월 차트 대비: 손해)

2. HDC (구매가 16,050 원) 1/7 투자 -> 18,900 원 -> 10,450 (손해)

3. 서플러스글로벌 (구매가 : 3,155 원) -> 2,470 원 (손해)

4. 코엘패션 (구매가 4,440 원) 1/7 투자 -> 7,060 원 -> 5,760 원 (손해)

5. CJ제일제당 (구매가 340,500 원) 1/7 투자 -> 326,000 원 -> 227,500 (손해)

6.한양이엔지 (구매가 13,150 원) -> 15,600 원 -> 11,450 원 (손해)

7.하이닉스 (구매가: 47,435 원) -> 79,800원 -> 98,900 (수익)

8.삼성전자 (구매가: 40,760 원) -> 47,200 원 -> 59,500 (수익)

9.네이버 (구매가: 149,418 원) -> 120,000 원 -> 188,000 (수익)

10. DB하이텍 (구매가: 13,577 원) -> 13,550 원 -> 28,150 원 (수익)

11. 한솔제지 (구매가: :15,500 원) -> 14,150 원 (손해)

12. 서한 (구매가: 2,003 원) -> 1,900 원 -> 1,165 (손해)

13. 테스 (구매가: 15,180 원) -> 19,150 원 -> 25,300 (수익)

14. HB테크놀러지 (구매가: 2,521 원) -> 3,505 원 -> 2,985 (손해)

15. 동원개발 (구매가: 4,490 원) -> 3,960 (손해)



15개 종목 중, 5개가 올랐고 10개가 내렸다. 절반 이기고 절반 져도 이기는 게임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1/3 이기고 2/3 질 줄은 상상하지 못 했다. 마법 공식은 1년차엔 대부분 수익을 줬는데, 2년으로 넘어가며 떨어졌다. 조엘 그린블라트가 괜히 1년 보유하고 팔라던 게 아니었다. 하지만 동정하긴 이르다. 손해 본 것처럼 보이지만 그렇지 않다. 수동적 투자는 수익을 냈다. 그것도 역대 최고로 높은 수익을 제공했다. 위 전적표 아래 남긴 글이 그 이유를 설명한다.



15개 종목 중에서 5개 종목이 오르고 10개 종목이 떨어졌다. 5승 10패다. 실패한 투자 같지만 아니다. 작년 수익률은 40% 이상이다. 왜? 2가지 이유다. 1. 큰 성장. 장기적으로 저평가 받던 네이버의 주가가 폭등했고, 주춤했던 삼성전자, 하이닉스 주가도 크게 올랐다. 15개 종목이지만 자산을 1/15로 나눠 넣지 않았다. 네이버와 하이닉스가 자산 비율 절반을 차지한다. 2. 적은 손실. 손익 구분에 2019년도 4월 포트폴리오가 기준이 됐다. 손해본 주식은 4월 직전에 급격히 올랐으며, 다소 거품이 끼었다. 실제 주식 가치가 반영돼 그간 반락했다. 구매가 기준으로 볼 때 큰 손해는 아니다. 이미 떨어질만큼 떨어진 주식을 산 것이다. 벤저민 그레이엄이 말하는 안전마진을 고려했다. 많이 먹고 적게 잃어서 수익이 생겼다.



주식 투자 3년차 중간 점검 시간이 됐다. 2019년 4월에서 2020년 1월까지 9개월 동안 27%의 추가 수익이 생겼다. 위에서 언급한대로 15종목 중 10종목이 떨어졌지만 높은 수익을 얻었다. 3년만에 원금은 2배 이상이 됐다. 최초 투자금 100원은 207원이 됐다. 수면제 투자법은 나쁘지 않았다.


2020년 3월까지 꿀잠은 이어졌다. 잠만 자는데 돈이 들어왔다. 마법공식을 추종한 종목들은 1년이 지나고 2년이 되도 정상적으로 가동됐다. 진정한 의미의 불노소득이 됐다. 치열한 투자 고민, 마켓 리서치, 종목 분석, 포트폴리오 개정 등의 작업은 불필요했다. 나는 세워놓은 원칙을 따라 최선을 다해 주식 신경쓰지 않고 모바일 게임하고, 책 읽으며 시간을 보냈다. 그리고 전염병이 긴 잠을 깨웠다.



수면제 먹고 장기 수면 중인 나를 누가 날 흔들어깨웠다.



'야 일어나봐. 나 코로나인데, 너가 주식으로 수익 본 거 좀 가져갈게'

'응? 그게 무슨 소리야. 네가 내 돈을 왜 가져가?'

'몰라 아무튼 가져갈게'


아닌 밤중에 홍두깨같은 소리다. 갑자기 왕관처럼 생긴 바이러스가 증권 계좌에서 돈을 빼갔다. 며칠 만에 내 재산의 40%가 사라졌다. 207원이 125원이 됐다. 125원은 투자를 시작하고 1년이 지났을 때 계좌에 있던 평가 금액이다. 2년동안 수면제 투자로 번 돈이 공중분해된 셈이다. 기분은 달랐다. 125원이 2년동안 횡보한 것과, 207원에서 떨어진 것은 차이가 있다. 후자가 더 충격이다.


비몽사몽한 상태로 강도를 만났다. 나는 두 가지 선택지를 받아들게 됐다. 1. 이 영원히 끝나지 않을 바이러스에 무릎 꿇는다(추가 손실을 피하기 위해 손절매). 2. 다시 수면제를 먹는다.



나는 다시 수면제를 삼켰다.








코로나 이후 이야기도 곧 올릴게

Drop here!
목록 스크랩 (54)
댓글 70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쿠우쿠우 블루레일X더쿠❤️] 🍣초밥 더쿠들을 위한 프리미엄 회전 초밥 식사권 증정 이벤트🍣 1461 06.27 38,479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618,089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5,461,411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848,830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금단어 사용 시 무통보 차단 주의] 16.05.21 23,103,933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47 21.08.23 3,940,197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25 20.09.29 2,852,189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383 20.05.17 3,532,435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65 20.04.30 4,088,632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스퀘어 저격판 사용 무통보 차단 주의] 1236 18.08.31 8,548,004
모든 공지 확인하기()
2445613 이슈 미국 : 내가 신발 벗고 생활하는 집에 신발을 신고 들어가는 이유 17:14 87
2445612 이슈 남의 행복을 마음대로 비난하고 조롱하는 부류 17:14 72
2445611 유머 애니에 냅다 성우 나와버림.twt ㅋㅋㅋㅋ 1 17:13 140
2445610 이슈 최강야구) 니퍼트 애기를 감독님한테 인사시켜 17:12 286
2445609 이슈 전작 뛰어넘은 인사이드아웃2…"18일만에 500만 돌파" 3 17:11 101
2445608 기사/뉴스 [1보] 이란 대선 개혁파 후보 '깜짝' 1위…내달 5일 결선투표 17:11 73
2445607 이슈 좋아요 380만개 받았다는 웨딩 촬영 13 17:10 1,793
2445606 유머 연예인 주민등록증 레전드ㅋㅋㅋㅋㅋㅋㅋㅋ.jpg 1 17:09 1,436
2445605 이슈 미국의 한 국립공원의 눈 내리는 겨울 풍경 3 17:09 343
2445604 이슈 직장덬이라면 공감할 직장생활 관계도......jpg 5 17:08 933
2445603 유머 144hz 모니터 쓰는 놈들이 멍청한 이유 5 17:08 617
2445602 기사/뉴스 30대 남성·어린 두 딸, 자택서 숨진 채 발견 27 17:06 2,678
2445601 유머 호주 국립공원에서 낮잠자다 눈을 뜨면 7 17:06 946
2445600 이슈 분식집 근본jpg 5 17:05 1,366
2445599 이슈 요즘 국내 행사 퍼포먼스 무대로 인기 많은 공연,퍼포먼스 무대.jpg 8 17:03 1,212
2445598 이슈 ‘매일이 한계죠, 근데 전 …’ 한계를 마주하는 지드래곤의 방식 #Gdragon | ELLE KOREA 2 17:01 288
2445597 이슈 배우 심은경 뉴진스 도쿄돔 후기 26 16:59 3,097
2445596 이슈 My name is 가브리엘 2화 시청률 13 16:58 1,553
2445595 유머 열린결말이 싫은 이유 37 16:58 2,247
2445594 이슈 서로의 10대 20대 30대를 같이 지냈다는 레드벨벳 아이린 슬기 5 16:58 1,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