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 취임 뒤 전화회담을 가장 먼저 제의한 나라가 한국이었는데, 일본 정부가 의도적으로 한국의 순서를 뒤로 미뤘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28일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익명의 일본 정보 고위 관료는 스가 총리가 각국 정상들과의 가진 전화회담에 대해 “최초에 전화 회담을 신청한 것은 한국이었지만 뒤로 미뤘다”고 말했다.
스가 총리는 취임 후 8일 만인 지난달 24일 문재인 대통령과 전화로 회담했다. 스가 총리는 문 대통령과 통화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 등 7명과 전화 회담을 했다.
이렇게 문 대통령과의 통화를 뒤로 미룬 데는 스가 총리의 의향도 작용했다고 산케이신문은 전했다.
스가 총리는 26일 취임 뒤 첫 국회 소신 표명 연설에서 “한국은 매우 중요한 이웃 나라”라며 “건전한 일·한 관계로 돌아가기 위해 우리나라의 일관된 입장에 토대를 두고 적절한 대응을 강하게 요구해 나가겠다”고 말한 바 있다.
한국의 중요성을 강조하긴 했지만,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배상 문제를 두고 한국 정부가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기본 일본 정부의 주장을 되풀이한 것이라 일본이 앞으로 한국을 상대로 거리 두기 외교를 할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스가 총리는 또 한국과 달리 북한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대화 의사를 표명하기도 했다.
한편, 스가 총리는 취임 뒤 각국 정상 및 국제기구 대표 등 17명과 전화로 회담했다. 이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가 2012년 12월 재집권 후 약 한 달 사이에 전화회담한 인원(10명)보다 많은 것이라고 산케이신문은 전했다.
산케이는 익명의 일본 정부 고위 관료를 인용해 스가 총리와 각국 정상의 전화 회담에 관해 “최초에 전화 회담을 신청한 것은 한국이었지만 뒤로 미뤘다”고 보도했다.
또 문 대통령과의 전화 회담 순서를 뒤로 미룬 것에는 스가 총리의 의향도 작용했다고 덧붙였다.
스가 총리는 취임 후 41일 동안 각국 정상 및 국제기구 대표 등 17명과 전화 회담을 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가 2012년 12월 재집권 후 약 한 달 동안 전화 회담한 인원 10명보다 더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