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슈 그러니까, 백수로 잘 놀고 잘 사는 7가지 방법
54,874 953
2020.01.08 05:08
54,874 953
http://m.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042

- [가난한 청춘, 사소한 주말]백수에게 꼭 필요한 다이어리

https://img.theqoo.net/sXntK
글이 나간 뒤에 만나는 사람마다 물어봤다. 특히 주변의 20대에게 질문을 던졌다. “만약에 너희한테 조언해준다면 어떤 이야기를 듣고 싶어.” 긴 머리 여대생의 대답은 이랬다. “아무래도 취업이 안 되니깐요, 어떤 곳에 취업을 하면 좋을까요. 제가 무슨 일을 해야하는지 그걸 어떻게 알고 싶을까. 그런거요.” 곱슬머리 청년은 이렇게 말했다. “무슨 책을 읽으면 좋을까요, 글 잘 쓰는 법이요. ” 해사한 아이는 “시간을 어떻게 하면 낭비하지 않는 방법이요. 백수로 잘 지내는 법이요.”

여러가지 질문들이 뒤섞이면서 고민이 커졌다. 이 글은 취업을 앞둔 청년들에게 해주는 조언 같은 것인가, 아니면 고민 해결 상담소인가. 생각해보니 나 역시 놀고 있는 터라 취업에 큰 도움은 안되겠다. 그리고 누군가의 고민이라니 내 인생의 고민도 해결하지 못한 마당에 누가 누구한테 조언을 할까. 살아보더니 이렇더라. 내가 그때 이런 걸 알았더라면 한결 쉬울 수 있겠다. 그게 적합하다 싶겠다.

내가 얼마나 놀았나 되새겨 보니 어학연수 1년을 다녀왔고, 4학년 1학기 때 3월 한 달 다니다가 바로 다시 휴학하고, 언론고시를 준비하면서 2007년 8월 졸업과 동시에 백수신분으로 2010년 7월에 합격했으니 무려 3년 걸렸다.

기자준비는 2006년 12월에 입반했으니 실로 따지면 3년 6개월 + 1년 6개월, 5년이 걸렸다. 소설반 창작 수업에서 권여선 선생님이 32살에 장편 내고 40세 두번째 단편집 낼때까지 노셨다고 했는데. 생각해보니 나도 만만치 않게 놀았다. 권여선 선생님이야 자기가 소설가로 등단했지만. 나는 무려 내가 뭘 하고 싶은지 모른 1년 6개월에. 하고 싶어도 번번이 낙방하는 3년 6개월은 지옥 같았다.



각설하고 백수로 잘 노는 법 잘 사는 법에 대해서 알려주겠다.


일단, 백수는 다이어리부터 마련하자. 먼저 2개의 다이어리를 사라. 하나는 좀 큰 거로 하나는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작은 거로. 큰 거에는 일주일 동안 무엇을 할지 적자. 오늘 해야할 일을 중요도 순서대로 적자.

예를 들어 방 청소하기, 은행 다녀오기, 아르바이트 하기. 친구와 점심, 자소서 마감. 이렇게 하루 계획을 세우면 자연스레 일주일 계획에 세워진다. 그러면 뒤늦게 달력을 보면서, “앗 자소서 마감 놓쳤는데.” 이런 일은 없어진다.

다이어리를 통해 일주일 계획을 세우기를 네 번 한다면 한 달 계획이 세워진다. 작은 다이어리에 일주일 계획을 다시 옮겨 적고, 목표만큼 이뤄졌는지를 다시 한번 점검하면 된다. 물론 핸드폰 앱도 좋고, 구글 앱도 좋지만. 앱은 연필을 쥐고 쓰는 시간 동안 생각이 정리되는 시간을 가질 수는 없다. 다이어리를 두 개 쓰는 이유도 그래서다.



두 번째, 즐거운 일들로 스케줄을 채워넣자. 스스로 스케줄을 만들면 된다. 자소서나 면접 등 주요 일정을 빼면 백수는 그야말로 시간부자다. 책상 앞 취업뽀개기 스터디에만 집착하지 말자. 인터넷이 있어서 세상은 넓고 공짜는 많다.

백수가 언제라도 볼 수 있는 조조 영화는 6천원이다. 청년을 대상으로 한 무료 강연도 많다. 도서관에서 하는 인문학 강좌가 대표적이다. 가볼만 한 카페도 있다. 동네 도서관이 지겨우면 저멀리 정독도서관을 아니면 여행하는 느낌으로 인천 차이나타운의 도서관을 가면 된다.

그런 의미에서 미술관은 최고다. 조용하고 사람이 없는데 심지어 이쁘기까지 하다. 밥도 커피도 맛있다. 늘 그렇듯이 손가락마저 마른 미술 평론가들은 미식가다.

국회도 알짜배기다. 각종 주제로 토론회를 연다. ‘강살리기, 원전의 미래, 전통주의 미래’ 등등 당신이 관심갖고 일하고 싶은 모든 분야의 최고 전문가가 온다. 국회 강연을 듣고 가서 전문가의 명함도 받고, 그러면 1석 2조다. 아울러 국회 도서관과 의원회관의 밥은 싸고 맛있다. 국회도서관에서 신간은 빌릴 수 없지만 온갖 책신문 다 있다. 심지어 컴퓨터, 복사도 출력 다할 수 있다. 국회 도서관이 장수생에게 강추받는 이유는 그래서다.



셋째로 백수로서 잘 버티려면 체력이 있어야 한다. 무조건 하루에 운동 1시간은 해야한다. 한국 축구가 유럽 강호를 꺽을 때 마다 언론에서 정신력의 승리를 운운하는데 그때마다 코웃음이 나온다. 축구 게임 전반 45분 후반 45분, 총 90분을 쉬지 않고 뛸 체력이 있어야 승리를 할 수 있다.

백수로서 오래 버틸려면 운동해야 한다. 일상 생활 속 운동을 추천한다. 걷기도 좋고 자전거도 좋다. 아니면 동네 스포츠센터에 등록해서 수영이나 헬스도 좋다. 괜히 헬스클럽 다닌다면서 엄마아빠한테 손벌리지 말고.



네 번째로 백수라도 늦게 일어나지는 말자. 하고 싶은 일에 나의 사이클을 맞춰야한다. 김대중 대통령의 자서전을 보면 가택연금 기간을 당하는 동안 매일 아침 의관 정제를 하고 집무실에 가서 공부를 하셨다고 한다. 그런 것처럼 아침에 일어나면 바로 샤워하고 나갈 채비를 갖춰야 한다.

그리고 생활 리듬을 만들자.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일들은 예외적이지 않으면 9시에 시작한다. 시험 준비중인 백수나 회사에 취직하기 위한 백수라면, 일단 9시에는 집중하는 라이프 스타일을 만들자. 시험이 시작하는 시간에 최장의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들자.

어른들이 장기 취업 준비생들을 꺼려하는 이유는 적이 없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게을러져있을 것이라는 편견 때문이다. 일리 있는 말이다. 실제로 매일 9시에 일어나던 나는 새벽 6시까지 출근하는 석간신문에 취직해 한 두 달을 내리 아팠다. 몸이 갑자기 적응하려니 무리가 갔다.

그리고 늘 놀다가 갑자기 새벽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회사에서 꼼짝 안 하려니 좀이 쑤셨다. 오후 3시쯤이면 곰 세마리가 양 어깨에 앉고 집에 가자고 나를 꼬셨다. 대학생의 12시간과 직장인의 12시간이 다르다. 물론 백수의 12시간에도.



다섯 번째 신문을 읽자. 신문을 읽자. 경제 신문 1개, 보수 신문 1개, 진보 신문 1개 정도. 물론 기자 지망생이라면 아침에 꼼꼼히 신문은 5-6개는 다 읽으면서 같은 사인에 대한 논조 분석을 해야겠지만. 취업준비생이면 적어도 세상 돌아가는 건 알아야 시사 면접에 대비할 수 있다. 물론 공연 소식, 전시회 소식도 신문에서 얻을 수 있다.



여섯 번째, 뭐든지 기록하자. 당신이 회사원이 되든 연구원이 되든 록커가 되든 결국 글은 써야한다. 제안서든 보고서든 가사든 그건 결국 당신의 일상에서 아이디어를 얻게 될 것이다. 평상시 기록하는 습관이 당신의 미래를 어떻게 바꿀지 모른다. 대부분 드라마작가나 예능 피디, 감독들도 잡지나, 신문에서 아이디어를 얻는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일곱 번째로 책상에서만 공부한다는 마음을 버리자. 고등학교 시절까지 그렇게 살아왔지만 그런 공부방법은 버려도 된다. 어른들을 만나서 좋은 이야기를 듣고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를 듣는 것 또한 공부다. 조선시대 유생들을 생각해봐라. 매일 같이 깜지쓰듯이 한자 외우고 상식을 외우지 않았다. 스승과 대화를 하며, 같이 책을 읽으며 모르는 구절에 대해 묻고 답했다.

논어와 같은 고전을 봐도 ‘공자에게 물었다’ 라고 글이 시작된다. 물론 글쟁이가 되고 싶은 이들은 글을 써야한다. 아직 뭘 하고 싶은지 모르는 학생이라면 뭐가 되고 싶고 왜 되고 싶은지만을 생각하자. 잘 모르겠다면 현업에 활동하는 전문가들에게 메일을 보내보자. 

세상은 넓고 인터넷이 우리를 연결해주니. 모르면 메일이나 카톡 보내고 물어보자. 물론 다짜고짜 저 아무것도 하고 싶은 게 없어요. 혹은 ‘오늘 뭐하고 놀아야 돼요?’라고 물어보지 말자. 그건 ‘아무생각 없는 바보’라는 것을 스스로 증명하는 길이다.


그러니깐. 아직까지 누군가 밥상을 차려주고 떠먹여 줘야하는 어린아이라고 생각하면 당신을 도와주지는않는다. 설령 도와주는 사람이 있다면 그게 극성맞은 엄마나 아빠라면, 그건 당신을 망치는 길이다.

그러니 스스로의 힘으로 잘 놀고 잘 살자. 행복하게. 이 시간들이 당신의 자양분이 될 테니. 무작정 즐겁게 놀아서 그래서 나중에도 죽을 때까지 즐겁게 살고 싶다고 생각이 드는 일들이 당신의 삶을 구원할 테니. 어디 회사를 취업하겠다는 목표를 세우면, 그것이 만약 이뤄지지 않는다면 당신이 불행해진다. 하지만 좋아하는 일을 내 직업으로 삼겠다는 마음이 당신을 행복하게 만들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좋아하는 일, 즐거운 일을 찾는 것이 바로 백수생활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 

놀아보자. 노는 게 어디 쇼핑하고 클럽에만 가는 거냐. 음악도 듣고 영화도 보고 미드도 보고 만화책도 보고 팬질도 게임도 하고 그러는 것이다. 그러니 두려워 말고, 놀아요. 신나게. 내일이 오지 않을 것처럼. 내일이 세상의 종말일 것처럼. 그런 일들이 당신의 다이어리에 가득차 있기를 기원한다.
목록 스크랩 (799)
댓글 953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에이지투웨니스×더쿠💜] 에이지투웨니스 더쿠에 첫인사드립니다🙌 글래스 스킨 에센스 팩트 2종 체험 이벤트 448 06.06 24,016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201,497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4,925,768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381,545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2,576,702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47 21.08.23 3,789,816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21 20.09.29 2,667,785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377 20.05.17 3,363,752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62 20.04.30 3,923,025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스퀘어 저격판 사용 무통보 차단 주의) 1236 18.08.31 8,321,953
모든 공지 확인하기()
2426806 이슈 나락보관소 없어짐 2 21:31 266
2426805 정보 먹어본 사람만 아는 숨어있는 맛있는 라면 21:31 166
2426804 이슈 정예인 너내봄 챌린지 🌸 with 카드 전소민 21:31 21
2426803 기사/뉴스 '편스토랑' 김재중 "한 달에 비행기 16번...짐 싸줄 사람 생기면 평생 밥해줄 것" 21:31 92
2426802 유머 원조 반전 게이 엔딩 1 21:29 403
2426801 유머 에헤이 조졌네 이거 원본 8 21:29 507
2426800 유머 [KBO] 폭탄공 제조하시는 회장님.gif 3 21:28 697
2426799 유머 점을 골랐는데 미키임 ㅋㅋㅋㅋㅋㅋ 4 21:28 405
2426798 이슈 포토이즘 x 트리플에스 프레임 오픈 3 21:28 198
2426797 이슈 디자인 잘뽑아서 반응 좋은 충청북도 새 로고 12 21:27 1,001
2426796 유머 동글동글 동그라미 후이바오🩷🐼 11 21:25 572
2426795 유머 아이유가 박명수에게 유일하게 배운 한가지 ㅋㅋㅋㅋ 1 21:25 614
2426794 이슈 오늘자 글포티 순위 2 21:24 364
2426793 이슈 일본 활동에 대해 라떼는 얘기하는 시아준수와 대성 11 21:24 683
2426792 이슈 초심을 잃은 라면들 5 21:21 957
2426791 유머 펭수가 쓰는 7XL크기 물건들 14 21:20 1,507
2426790 이슈 이젠 거의 사라진 아파트 문화..jpg 46 21:20 3,623
2426789 이슈 매일유업 특수분유사업 근황 52 21:19 2,770
2426788 정보 유독 SM 2세대 아이돌 노래 커버할 때마다 반응 좋은 정동원(JD1) 3 21:18 566
2426787 유머 참지 않는 에스파 닝닝 1 21:18 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