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스퀘어 [피겨지식] 프로토콜 읽는 법을 알아보자
7,237 14
2019.05.13 01:10
7,237 14
그럼 일단 프로토콜이 어떻게 생겼는지부터 보고,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해줄게.


https://img.theqoo.net/ZFghi
(키건 메싱에게 아무런 유감 없음 ㅠㅠ 모아놓은 프로토콜 중에 제일 뭐가 많이 적힌 걸 찾다보니까...)


우선 프로토콜의 구성요소를 번호별로 설명을 해줄게
번호 없는 부분은 다들 알거라고 생각해서 넘김. 현재까지의 순위, 선수 이름, 국적, 스타팅오더가 적혀있어.
그 옆으로

① Total Segment Score : 말 그대로 해당 프로그램의 합계 총점
② Total Element Score (줄여서 TES) : 기술점 총점
③ Total Program Component Score (줄여서 PCS) : 프로그램 구성점 총점.
④ Total Deduction : 총 감점


1~4번까지가 가장 개괄적인 해당 선수의 점수에 대한 정보임. 바쁘다면 여기만 눈으로 훑어서 점수를 확인할 수 있어.
그 아래로 각 요소에 대한 채점이 쭉 나열되어 있어.


⑤Executed Elements: 선수가 수행한 요소들의 이름과 레벨이 수행한 순서대로 적혀있어. 알파벳 덩어리를 읽는 법은 밑에서 설명할게. 여기서 설명할 것은 수행요소 이름 옆에 표시된 기호들? 특기사항을 보는 방법이야.

-6번 요소를 보면 4T<<+REP라고 되어 있지? (아이고 키건아....) 여기서 4T는 기술의 이름이고, <<와 +REP는 기술 특기사항이야. <<는 아래 ⑥번에서 설명할 거고 여기서는 +REP를 설명하려고 해.





[+REP, +COMBO, +SEQ, 그리고 *]
각각 반복, 콤보, 시퀀스, 무효라고 읽어. 피겨 점프 규정 중에 가장 헷갈리는 요소 (개인적으로 진입장벽 넘버원이라고 생각함) 중에 하나야.

ⓐ +REP는 '프리 스케이팅'에만 등장하는 규정이야. 프리스케이팅에서는 똑같은 단독 점프를 두 번 시도할 경우, 두 번째 점프의 기초점이 70%만 주어져. 이 때 두번째 점프에 붙는 기호가 +REP야.
보통은 이렇게 기초점에서 손해보지 않기 위해 같은 점프를 넣을 때 어느 한쪽은 컴비네이션 점프로 구성을 하지. 그러니까 +REP가 있으면 우리는 이 선수가 어느 한 쪽에 컴비네이션을 시도하고자 했으나 실패했음을 알 수 있어.


ⓑ +COMBO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기호야. +COMBO는 쇼트 프로그램의 수행과제 때문에 생겨난 기호야. 쇼트 프로그램은 정해진 점프 요소 과제를 수행해야 해. 점프 세 개 중 한 개는 컴비네이션 점프, 한 개는 단독 트리플(혹은 쿼드러플), 한 개는 단독 악셀(더블 혹은 트리플)을 뛰어야 하거든. 그런데 선수들이 실수를 해서 쇼트 프로그램에서 컴비네이션 점프를 시도했지만 후속 점프가 인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후속 점프가 싱글 점프이거나, 더블 점프가 다운그레이드 처리될 경우 후속 점프로 인정되지 않음). 이럴 때 "컴비네이션 점프를 뛰었습니다만 뒷점프가 인정되지 않았습니다"라는 의미로 +COMBO를 표시해. (컴비네이션을 붙이는 데 아주 실패한 것과 구분을 두기 위해 존재함)


ⓒ +SEQ는 프리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기호야. +REP에서, 똑같은 점프를 단독으로 두 번 수행할 수 없다고 했지? 그래서 선수들이 컴비네이션 점프를 구성하다가 보면, 매커니즘상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않는 점프를 컴비네이션으로 구성하고자 할 때가 있어. 블레이드 계열 점프를 두 번 구성하거나, 블레이드 점프+토룹을 제외한 토 계열 점프를 뛸 때 그렇게 되지. 이 때 이 점프를 성사시키기 위한 방법이 두 가지 있는데, 첫번째는 우리가 잘 아는 싱글룹(올해부터 오일러 점프로 명명)을 넣는 것이고, 다른 하나가 바로 이 +SEQ를 구성하는 거야.
+SEQ는 쉽게 말하자면 점프와 점프사이에 작은 점프가 있다는 건데, 이거는 말로 설명을 못하니까 짤로 보자.


https://gfycat.com/ObeseNiftyConch
살코는 랜딩을 뒤로 하지만, 악셀을 뛰기 위해서는 정면을 봐야 하잖아? 그래서 가운데에 발을 바꾸면서 살짝 뛰어오르는 게 보이지? 저것을 +SEQ라고 부름. +SEQ는 점프와 점프 사이에 위치하지만, 표기할 때는 그냥 컴비네이션이름 뒤에 붙여.

+SEQ를 구성할 경우 컴비네이션 점프 기초점의 80%만 받게 돼. 들이는 힘 대비 받게 되는 점수는 줄어들게 되니까, 뛸 수 있는 점프의 종류가 어지간히 한정적이 아니고서는 이런 손해보는 구성은 잘 안하려고 해서 +SEQ는 탑싱 프로토콜에서는 드문 편이야. 혹 플랜B를 수행하게 될 경우 종종 보일 수는 있겠다.


ⓓ *는 영어로는 invalid elements, 즉 무효 요소라는 뜻이야. 쇼트 프로그램에서 규정요소를 수행하지 못하거나, 프리프로그램에서 자약룰에 걸려서 점프가 무효 처리 될 경우 *을 표시하고, 이 점프는 0점을 받게 돼. 스핀에서도 구성을 어겨 무효처리가 될 때 * 표시를 함 (ex. 연아의 09년 세계선수권 프리 마지막 컴비네이션 스핀).

https://img.theqoo.net/yJqFD
1번 요소인 싱글 럿츠가 * 처리 되었지? 쇼트 프로그램에서는 단독 트리플 혹은 컴비네이션 점프, 더악(혹은 트악)을 구성해야 하는데 싱글 럿츠는 이 세 과제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기 때문에 무효 처리 되었어.



쇼트 프로그램이 어려운 이유는 첫 점프를 팝할 경우 두번째 점프에서 무조건 컴비네이션/단독 트리플을 성공시켜야 하는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야. 보통 선수들은 보다 배점이 큰 컴비네이션을 무조건 성공시키려고 하고, 이 과정에서 트리플+트리플 구성을 트리플+더블로 낮추기도 하고, 자신이 없으면 컴비네이션을 버리기도 하고, 최악의 경우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두번째 점프마저 실패해 프리컷의 길로 가기도 하지...ㅠㅠ


+REP, +SEQ, +COMBO, *의 벽을 넘으면 거의 다 온거야! 이 뒤는 어렵지 않음.
V: V는 스핀 요소 부족을 나타내는 기호야! Info에는 기록되지 않고 마치 요소 이름인 척 하고 스핀 옆에 딱 붙어 있어.
예시를 보자.

https://img.theqoo.net/cqIXf


⑥Info: 수행요소에 대한 부가 설명이야. 점프에 대한 특이사항이 있을 경우, 수행요소 옆에도 표기되고, 이 란에도 표기돼. Info의 기호들은 각각 다음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

< : 언더로테이션. 각 점프의 규정 회전수에서 1/4~1/2 바퀴가 모자란 경우. 만약 트리플 럿츠일 경우 더블럿츠+0.5바퀴를 돌았다면 언더로테이션을 받게 됨. 언더로테이션을 받은 점프는 규정 기초점의 70%에 해당하는 기초점을 받아.

<< : 다운그레이드. 각 점프의 규정 회전수에서 1/2 바퀴 이상이 모자란 경우. 트리플 럿츠일 경우 더블럿츠+1/4바퀴를 돌았다면(즉 3/4바퀴가 모자란 경우) 다운그레이드를 받게 됨. 다운그레이드를 받은 점프는 시도한 점프보다 한 단계 낮은 점프의 기초점을 받아. 즉, 트리플 럿츠를 시도해서 다운그레이드를 받으면 더블럿츠에 해당하는 기초점을 받게 되지.

! : 어텐션. 엣지를 구분해서 뛰어야 하는 점프(럿츠, 플립)의 도약시 엣지가 불분명함을 표시하는 기호. 어텐션을 받으면 엣지 실수의 정도에 따라 기술수행점(GOE)에서 -1점~-2점의 점수를 받게 돼.

e: 롱엣지. 엣지를 구분해서 뛰어야 하는 점프 (럿츠, 플립)의 도약시 엣지가 잘못되었을 때 표시하는 기호. 롱엣지를 받으면 엣지 실수의 정도에 따라 기술수행점(GOE)에서 -2점~-3점의 점수를 받게 돼.


⑦Base Value: 각 기술요소들의 기초점. 보통 규정된 기초점이 표기되고, 컴비네이션 점프의 경우 두 점프의 기본점을 더해서 표시하지만, 위에서 말한 갖가지 요소 (+SEQ, 언더로테이션, 다운그레이드 등)를 이유로 기초점이 감점되기도 하고, 1분 이후 타임 보너스 때문에 기초점이 배가되기도 해.


⑧ 타임 보너스: 프로그램의 후반부에 점프요소를 수행하면 타임 보너스를 부여해. 쇼트프로그램은 시작 후 1분, 프리 프로그램은 시작 후 2분 이후부터 적용되고, 올해부터 규정이 바뀌어서 쇼트에서는 점프 1개, 프리에서는 4개에만 적용되는 규정이야. 프로토콜에 소문자 x로 표기하고, 타임 보너스가 적용되면 점프 기초점이 1.1배가 돼.


⑨GOE (Grade of Execution): 기술수행점. 각 요소를 얼마나 잘 수행했는지를 저지들이 판단해서 주는 가산점이야. 저지들은 각 요소에 (올해부터) -5점부터 +5점까지 점수를 부여할 수 있어. 이 중 최고점과 최저점을 한 명식 뺀 뒤 총합을 구하고, 이것을 (총 저지 수-2)로 나눈 것이 GOE가 돼.

예를 들어 심판이 9명 있다고 가정했을 때, 한 요소에 대해서 각 저지들이 (+1, +1, +1, +2, +2, +2, +3, +3, +3)을 줬다고 가정하면 여기서 최저점 1 한 개와 최고점 3 한 개를 제외한 뒤 점수를 합산하고 (14점), 이를 7명으로 나눈 +2점이 GOE가 돼.


⑩Scores of Panel : 각 수행요소의 기본점과 GOE를 합산한 점수. 즉, 어떤 수행요소의 최종점수가 돼. 수행 퀄리티에 따라 기본점수보다 낮을 수도 있고, 높은 수도 있지. 이것을 쭉 더한 게 최종적으로 ②TES(기술점 총점)이 돼.


헥헥.. 거의 다 와간다....


⑪Program Component Score (PCS) : 프로그램 구성 점수. 흔히 이걸 "예술점"이라고 알고 있는데, 예술점이랑은 개념이 약간 달라. 프로그램의 난이도와 선수의 스케이팅 난도를 평가하는 점수, 그리고 예술성을 평가하는 점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야. 즉, 선수가 예술성이 뛰어나다고 해도 스케이팅 스킬이나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난이도가 낮다면 PCS가 잘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는 뜻이지.

PCS는 총 다섯 가지 요소 - 스케이팅 스킬, 트랜지션, 퍼포먼스, 구성, 음악해석 (및 타이밍)-로 구성되어 있고, 각 요소마다 0점~10점까지 점수를 부여해. 계산 방법은 GOE 계산방법과 동일.


⑫Factor : PCS는 10점 만점 요소인데다가, 쇼트 프리가 똑같이 50점 만점이기 때문에, 쇼트와 프리에서 PCS의 비중을 조절하기 위해 팩터를 둬. (팩터=배수라는 의미).

각 종목 별 팩터는 다음과 같아.

남자 싱글
쇼트=1.0배, 프리 2.0배
여자 싱글 & 페어
쇼트=0.8배, 프리 1.6배
아이스댄스
PCS의 각 요소 별로 팩터가 다르고, 그 해의 패턴 타입에 따라 상이함.
(2017-18 시즌의 경우, 요소별로 차이 두지 않고 쇼트=0.8배, 프리=1.2배)


⑪의 PCS 총점에 각 종목별 팩터를 곱하면 ③ Total Program Component Score (줄여서 PCS)를 도출할 수 있어.
---------------------------------------------------------------------------------
여기까지가 프로토콜을 읽는 방법이야!

이제 각 종목별로 ⑤Executed Elements에 표시된 요소 이름을 읽어볼거야.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각 종목별로 수행요소들이 무엇무엇이 있는지 알아야겠지?


(밑줄 친 요소들은 레벨 요소)
*남자 싱글/여자 싱글 : 점프, 스텝시퀀스, 스핀, 코레오 시퀀스(코레오는 레벨1로 통일)

*페어 : 사이드 바이 사이드 점프, 쓰로우 점프, 사이드 바이 사이드 스핀, 페어 컴비네이션 스핀, 트위스트 리프트, 리프트, 데스 스파이럴, 스텝시퀀스, 코레오 시퀀스(코레오는 레벨1로 통일)

*아이스 댄스: 싱크로나이즈드 트위즐, 컴비네이션 스핀, 리프트, 스텝(낫터칭, 패턴, 파셜), 코레오 요소(코레오는 레벨1로 통일)


각 요소들이 무엇을 말하는지는 지식방의 다른 글들을 참고하기를 바랄게!
일단 프로토콜을 놓고 차근차근 설명할게.
https://img.theqoo.net/SrWtp


1. 우선 점프가 가장 알기 쉬워. 점프는 무조건 숫자로 시작하거든. 이때 점프 앞에 오는 숫자는 회전수를 말해.
1-싱글, 2-더블, 3-트리플, 4-쿼드러플, 5-퀸튜플이라고 읽어.
숫자 뒤의 알파벳은 점프의 이름을 말해. 각각 Lz-럿츠, F-플립, A-악셀, Lo-룹, S-살코, T-토룹으로 읽어.
점프와 점프 사이에 + 기호가 있으면 컴비네이션 점프를 뛰었다는 뜻이야.


2. Sq는 시퀀스(Sequence), 즉 일련의 동작들이라는 뜻이야. 예전에는 스파이럴 시퀀스와 스텝시퀀스가 있었지만 스파이럴 시퀀스는 사라졌고, 지금은 스텝시퀀스와 코레오 시퀀스가 있어.

1)스텝 시퀀스는 StSq로 표시하고, 스텝 요소의 구성 난이도와 수행 정도에 따라 1~4의 레벨을 주고, 그 레벨이 알파벳 옆에 표시돼. 다빈이의 경우 요소 5번이 스텝시퀀스고 레벨 3을 받았다는 걸 알 수 있지.

2) 코레오 시퀀스는 지정된 요소들을 조합해 독창적인 안무를 만들어내는 요소야. ChSq로 표시하고, 레벨은 1로 통일되어 있어.

3. 스핀은 Sp로 표시해. 싱글에서는 스핀의 표기가 가장 복잡한데, 스핀 종류가 3가지이고 여기에 발바꿈과 플라잉 도입 요소가 조합가능하기 때문이야.


일단 Sp라고 적힌 부분의 바로 앞의 한 글자(혹은 두 글자)가 이 스핀의 포지션을 설명해 줄거야. L=레이백, S=싯, C=카멜, Co=컴비네이션 (두 가지 이상의 포지션이 섞여있음)을 나타내. 그 앞부분에 나오는 F와 C는 각각 플라잉 도입과 체인지풋(발바꿈)을 나타내.

그 다음 각 스핀의 수행 정도에 따라 1~4의 레벨이 부여되고, 이것이 알파벳 뒤에 붙어서 표기돼.

간혹 스핀에서 C가 두 번 나와서 헷갈리는 경우가 있어. 가령 CCSp4라고 써있거나 CCoSp4라고 적힌 경우 이게 뭔가 헷갈릴 수 있지(내가 그럼. 아직도 그럼). 이 때는 당황하지 말고 Sp 앞의 알파벳이 무조건 포지션이라는 것만 기억하면 돼. CCSp에서 Sp 앞의 C는 포지션이니까 카멜이 되고, 그 앞의 C는 체인지풋이라는 뜻이지. CCoSp에서는 Sp 바로 앞의 Co가 포지션이니까 컴비네이션, 그 앞의 C는 체인지풋임을 알 수 있어.




다음 페어 프로토콜을 볼게. 프로토콜의 복잡함은 페어가 가장 심해. (아댄은 어렵고 페어는 알파벳이 많음)

페어는 쇼트와 프리에 등장하는 요소가 다르니까 일단 프로토콜 두 개를 보자.

https://img.theqoo.net/Uvkdq
https://img.theqoo.net/vFcqr


페어에서는 숫자로 시작한다고 해서 다 점프가 아니야. 숫자로 시작하는 요소에 점프, 리프트 두 가지가 있음.

1. 점프: 페어에서는 두 선수가 나란히 서서 뛰는 사이드-바이-사이드 점프와, 남자선수가 여자선수를 던져서 여자선수 혼자 착지하는 쓰로우 점프가 있어. 사이드-바이-사이드 점프는 싱글선수와 똑같이 표기하고, 쓰로우 점프는 싱글선수와 똑같은 점프 표기 뒤에 Th(쓰로우)가 표기돼. 점프 종류도 싱글과 동일해.


2. 리프트: 남자선수가 여자선수를 머리 위로 들어 지탱하는 형태의 리프트야. 리프트는 Li로 쓰고, 숫자+Li+숫자의 형태로 표기되어 있어. 앞의 숫자는 리프트의 그룹을 나타내. 각 그룹의 리프트를 정리한 글이 지식방에 있으니까 그걸 참조하기를 바라. 뒤의 숫자는 레벨이야.

Li 앞에 R이나 A가 붙은 요소들이 있지? 이건 그룹 5 리프트에 속한 리프트가 두 가지라, 이 두가지를 구분하기 위한 기호야. R은 리버스, A는 악셀라쏘 리프트로 읽어. 자세한 설명은 https://en.wikipedia.org/wiki/Pair_skating#Lifts 를 참조하기를 바라.


3. 트위스트 리프트: 트위스트 리프트는 남선수가 여선수를 공중으로 던져서 회전시킨 뒤, 남선수가 받아서 여선수를 랜딩시키는 동작이야. Tw로 표기하고, 숫자+Tw+숫자의 형태로 기록돼. 이 때 앞쪽의 숫자는 트위스트 회전수 (공중에서 몇 바퀴를 돌았는지)를 말하고, 뒤의 숫자는 레벨을 뜻해.



4. 데스 스파이럴: 데스 스파이럴은 한 선수가 회전의 축이 되고, 다른 선수가 축이 되는 선수에 매달려 원을 그리는 동작이야. 인간 컴퍼스(...)라고 생각하면 편해. Ds로 표기하고, 도입하는 방법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해.
Bo-백워드 아웃사이드, Bi-백워드 인사이드, Fo-포워드 아웃사이드, Fi-포워드 인사이드
이쯤 되면 다들 눈치챘겠지만 Ds 뒤의 숫자는 레벨이야.



5. 스핀: 페어에서 스핀은 남자선수와 여자선수가 나란히 서서 타이밍을 맞춰 도는 사이드-바이-사이드 스핀과 두 사람이 몸을 맞대고 도는 페어스핀의 두 종류가 있어. 사이드-바이-사이드 스핀은 싱글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기하고, 페어 스핀은 스핀 요소 맨 앞에 P를 표기해. 종류와 읽는 방법은 싱글과 동일해.
쇼트에서는 페어스핀만 수행하고, 프리에서는 페어스핀 한 번, 사-바-사 스핀 한 번을 수행.


6. 시퀀스: 쇼트에서는 스텝 시퀀스를 수행하고, 프리에서는 코레오 시퀀스를 수행해. 읽는 방법은 싱글과 동일.
올해부터 규정이 달라졌던 것 같은데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알려줘!





아이스 댄스.... 올 것이 왔네... 아댄 프로토콜은 아직 나도 미숙한 부분이 많아서 틀린 부분 있을 수도 있어. 부디 꼭 알려주기를 바라!

일단 프로토콜을 놓고 보자.

https://img.theqoo.net/KZbgp
https://img.theqoo.net/jggdg
스텝: 아이스댄스에서는 스텝이 거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에, 스텝 요소가 엄청나게 많고 종류도 많아. 스텝은 St로 표시한다고 위에서도 말했지? 그런데 아이스댄스에서는 그 스텝을 어떤 모양으로 밟았는지를 St 앞에 붙여서 설명해.

Mi- 미드라인 (빙판의 좌(우)측 끝에서 우(좌)측 끝으로 가로질러 가되, 가운데의 중앙선을 따라 움직임)
Di- 다이아고널 (빙판의 좌(우)측 끝에서 우(좌)측 끝으로 가로질러 가되, 대각선을 그리며 움직임)
Ci- 서큘러 (빙판의 상(하)방 끝에서 하(상)방 끝으로 가로질러 가되, 원 혹은 타원을 그리며 움직임)
Sr (서펀타인 약자가 이게 맞던가? 요즘 잘 못봐서)- 서펀타인 (빙판의 좌(우)측 끝에서 우(좌)측 끝으로 가로질러 가되, 적어도 두 개의 커브를 그리며 3자 혹은 S자를 그리며 움직임)


또, 쇼트 댄스에서는 스텝 요소가 3가지 등장하는데, 패턴댄스, 파셜 스텝, 낫터칭 스텝이야.

a)패턴댄스는 매년 지정된 패턴을 밟는 스텝을 말해. 패턴의 이름이 표시되고, 각 패턴에서 중요한 키포인트가 음악의 박자와 맞는지를 세 번 체크해서 맞을 경우 Y, 맞지 않을 경우 N으로 표시해.
2017-18 시즌의 경우, 패턴 댄스는 룸바였고, RH로 표시했어. 위쪽 프로토콜의 첫 요소가 파로 패턴댄스야.
RH 뒤의 숫자는 레벨을 뜻하고 kp가 키포인트를 뜻해. 시부네는 두 번이나 어긋나서 NYN를 받았어 (ㅠㅠ)

b) 파셜스텝은 지정 패턴 이외에 구성된 선택 요소를 뜻해. 스텝을 뜻하는 St 앞에 P를 붙여서 표기.


c) 낫터칭 스텝은 홀드 없이 두 사람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채 서로 몸이 닿지 않고 싱크로나이즈드 된 스텝을 밟아나가는 요소야. 스텝을 뜻하는 St 앞에 낫터칭의 Nt를 붙이고, 그 사이에 스텝의 모양인 Mi/Di/Ci/Sr(?)을 넣어 표기해.


트위즐: 싱크로나이즈드 트위즐은 STw로 표기하고 레벨과 함께 표시해.

리프트: 리프트는 Li로 표시하고, 페어와 달리 그룹이 없고, 대신 남자 선수가 그리는 궤적에 따라 리프트를 구분해.


Sta: 스테이셔너리. (제자리에서 여자선수를 들어올림. 축의 이동이 없다는 뜻으로 스핀하듯 제자리에서 도는 것은 스테이셔너리로 본다)

Ro: 로테이셔널 (축이 이동하는 회전을 하면서 리프트를 수행)

Cu: 커브 (남자선수가 C모양으로 커브를 그리며 리프트를 수행)

Sl: 스트레이트 라인 (직선을 그리며 이동하며 리프트 수행)

Ch: 코레오 리프트. 이건 위의 리프트와는 구분되는 요소고, 리프트가 아니라 코레오 요소임.

스핀: 아이스 댄스 스핀은 남선수와 여선수가 몸을 맞댄 채 회전하는 컴비네이션 스핀으로만 구성되어 있음. 표기는 Sp, 기타는 싱글과 같음.



(피깝 펌)
목록 스크랩 (24)
댓글 14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디어스킨 X 더쿠💛] 모!처럼 달!라진 일주일을 선사하는 <디어스킨 리얼모달> 체험 이벤트 173 06.21 56,696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488,067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5,295,238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742,594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금단어 사용 시 무통보 차단 주의] 16.05.21 22,985,449
모든 공지 확인하기()
335 스퀘어 24-25 그랑프리 배정 떴다 8 06.10 1,238
334 스퀘어 우노 쇼마 은퇴 발표 9 05.09 1,566
333 스퀘어 수이한의 플라멩코 3부작 2 03.13 990
332 스퀘어 현재진행형 팀코리아 메세지북 링크 모음 1 23.12.13 1,278
331 스퀘어 예림이 숏 프리 선곡 떴어 4 23.08.10 2,491
330 스퀘어 그랑프리 배정 떴어 12 23.06.28 3,155
329 스퀘어 임은수,변세종 선수 나오는 지쇼 예매 떴어 (7/28~8/06) 1 23.05.24 3,032
328 스퀘어 '캡틴' 차준환이 뽑은 '팀 코리아' 응원상은 누구?...역사 쓴 피겨 대표팀, 유쾌한 귀국 현장 / 스포츠머그 1 23.04.17 2,815
327 스퀘어 '팀 코리아'의 종합선물세트 갈라쇼...피겨 대표팀 4인 4색 피날레 (ft.'뿅아리' 생일) / 스포츠머그 1 23.04.17 2,659
326 스퀘어 얼마전 TV에 나온 이토 미도리의 인터뷰 내용들.txt (ex.라떼는 점프성공하고도 기쁨을 표현하면 안되었다 !!) 5 23.04.15 4,310
325 스퀘어 키스앤크라이존이 저렇게 시끄러울 수 있어요? 피겨 팀 트로피 첫 출전에 신이 나 버린 우리 선수들 / 스포츠머그 3 23.04.14 3,288
324 스퀘어 팀트 중간순위 팀코리아 3위❤️🇰🇷❤️ 4 23.04.13 3,027
323 스퀘어 세계선수권 중계 일정 5 23.03.21 3,647
322 스퀘어 연아 이야기가 나와서 올려보는 연아 안무배우는영상들 7 23.02.14 4,080
321 스퀘어 대한민국 챔피언십 출전 선수 정리 3 23.01.20 3,640
320 스퀘어 유니버시아드 남싱 결과 3 23.01.16 3,519
319 스퀘어 유니버시아드 여싱 결과 6 23.01.16 3,662
318 스퀘어 세바시 - 이시형 강연 | 금빛 질주가 아니어도 괜찮은 이유 1 23.01.12 3,046
317 스퀘어 2023 종합선수권 kbs 공식영상들(포디움권 다 올라옴) 6 23.01.11 3,158
316 스퀘어 제77회 피겨스케이팅 종합선수권대회 KBS 중계 영상 23.01.10 2,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