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스퀘어 [씨네21] '하이재킹' 김성한 감독 인터뷰 & 비하인드
222 1
2024.06.27 18:49
222 1

qhBcNA



2024년의 초여름은 장르물이 강세다. 묵직한 항공 재난물을 그린 <하이재킹>과 오컬트 코미디를 명중한 <핸섬가이즈>가 포문을 먼저 연다. 각 작품의 개성과 겨냥점을 파악하기 위해 극장으로 향하는 두 감독을 만났다. <하이재킹> 김성한 감독, <핸섬가이즈> 남동협 감독의 이야기를 전한다. 영화가 완성되기까지의 비하인드 스토리도 함께 담았다.


조종사 태인(하정우)이 운행 중인 비행기를 납북하려는 용대(여진구)와 맞선다. 태인은 자신보다 남의 목숨을 중요시하는 의인에 가까운 인물이다. 용대는 가족이 북한 사람이란 사실 때문에 남한에서 온갖 고초를 겪으며 살아온 청년이다. 1971년 대한항공 F27기 납북 미수 사건을 재구성하기 위해 김성한 감독은 20세기에 있었던 일련의 하이재킹 사건, 전후 남북 관계와 수복지구민의 삶을 조사하며 철저한 고증의 예의를 갖췄다. 비행기에 탄 수십명의 직원과 승객, 심지어 납치범조차도 감독의 따스한 시선 아래에서 다분히 인간적인 인물들로 재창조됐다. 김성한 감독은 <꽃피는 봄이 오면>(2004)으로 영화 현장에 들어선 지 20년 만에 첫 장편을 연출한다. 오랜 경력만큼 풍부한 레퍼런스와 프로덕션의 충실한 완성도는 <하이재킹>의 또 다른 장점이다.



- 실화와 달리 용대의 전사를 구체적으로 각색한 점이 눈에 띈다. 이념의 시대에 희생된 개인의 삶이란 점에서 80~90년대의 <짝코> <최후의 증인> <남부군> 같은 작품이 떠오르기도 한다.
= 질문에서 언급한 영화들을 참고하며 만들었다. <하이재킹>의 실제 사건이 일어난 지 50년도 더 지났지만 변하지 않은 것이 더 많다. 대한민국은 여전히 남과 북으로 나뉘어져 있다. 예전보다 이념이 중요하지 않은 시대라곤 하나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비극도 많다. 관객들이 다시 이러한 사실을 봐주셨으면 좋겠다는 마음이다.



- 실제 범인의 삶은 용대의 전사에 어느 정도로 반영됐나.
= 김상태는 중학교를 수석으로 입학했으나 2학년 때 중퇴했다. 벽돌 공장에 취직했다가 그만둔 뒤엔 집에서 벽돌을 만들어 팔았다. 정황상 공장에서 해고당했다고 생각한다. 폭력 사건으로 교도소를 다녀왔고 60살이 넘은 노모와 살았다. 한국전쟁이 시작된 1950년 고성에서 태어났다. 원래 고성은 북한 땅이었는데 전쟁 뒤에 남한 땅이 됐다. 여기까지가 김상태에 대한 사실이다. 그외엔 <한국전쟁>이란 책에 나온 수복지구민들의 삶을 많이 참고했다. 그들이 남한에서 어떤 대우를 받았는지 처절하게 잘 기록돼 있다. 앞서 말한 <짝코>나 <최후의 증인>처럼 이념 자체를 얘기하는 영화는 아니다. 용대 개인의 삶에 집중했고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에서 큰 영향을 받기도 했다.



- 어떤 영향을 받았나.
= 용대는 어디에도 속할 수 없는 이방인이다. <이방인>의 재판 장면을 보면 사람들은 주인공의 살인에 관해 이야기하기보다 어머니가 사망했음에도 그가 울지 않았다는 것만 강조한다. 그 사람이 보여준 외면적 행동에 대해서만 말하는 것이다. 용대를 좋지 않게 바라보는 시선이 있다면 아마 비슷한 맥락이지 않을까. 영화 후반부에 용대가 빛을 쬐는 장면도 <이방인>의 마지막에서 영감을 받았다.



- 빛을 쬐며 좌석에 몸을 뉘는 장면에선 용대의 표정이 아주 편해 보인다.
= 맞다. 태인도 비슷한 장면이 있다. 그 둘에게 가장 편한 순간을 만들어주고 싶었다. 연출을 하다 보면 모든 캐릭터를 사랑할 수밖에 없다. 용대에게 편견이나 부정적인 시선이 있을 순 있다. 태인도 마찬가지다. 관객들이 어떻게 해석하느냐의 문제다. 그러나 이 영화가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만은 절대 잊지 않으려 했다. 당시 사건을 겪은 분들에게 이 영화가 누가 되지 않길 바랐다.



ybvDRm



- 1969년 태인은 납북 중인 여객기를 공격하지 않은 전투기 조종사였는데 71년엔 하이재킹 상황의 당사자가 된다. 어떤 의도로 짠 이야기 구조인가.

= 69년 KAL기 납치사건을 접목했다. 아예 무관한 별개의 실화를 엮는 방식이었는데 시나리오 단계 때는 찬반이 갈렸다. 하지만 나는 두 사건이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다. 69년 사건으로 인해 돌아오지 못한 11명의 국민이 있고, 이것 역시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여겼다. 이분들의 이야기도 함께 기억하고 싶었다.



- 영화의 대사를 빌리면 태인은 “알량한 휴머니즘”을 고수하는 인간이다. 타인을 위한 그의 희생에 어떤 이유가 있다고 생각했나.
= 작업하면서 가장 먼저 든 의문이었다. 왜 그분은 몸으로 수류탄을 막는 선택을 했을까. 과연 난 그럴 수 있을까. 그래서 71년 사건에 관해 구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찾아봤다. 공통되게 “그 자리에 내가 있었고 내가 움직여야 할 것 같았다”라는 말을 남겼다는 기록이 있었다. ‘내가 의인이 돼야 한다’는 생각을 항상 품고 사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불이 난 버스의 기사를 구한 시민의 이야기가 뉴스에 나오고, 지하철에서 피를 흘리며 쓰러진 시민을 부축하는 사람을 본 적도 있다. 절박한 상황엔 누구나 의인이 될 수 있는 것처럼 태인도 그랬을 것이다.



- 영화는 태인이 민항기를 쏘지 않은 이유를 명쾌하게 밝히지 않는다.
= 태인조차 자신의 마음을 몰랐던 것 같다. 자기 행동의 정확한 이유를 찾는 건 어려운 일이다. “다 결과론인 거지”라는 기장 규식(성동일)의 말처럼 현실은 늘 알 수 없는 결과론의 연속이다. 어떤 선택이든 또 다른 질문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이 영화도 그렇게 만들고 싶었다.



- 항공기 납치사건의 긴장감도 놓치지 않았다. 숏 사이즈를 역동적으로 바꾸며 분위기를 긴박하게 이끌거나, 현장감을 살린 기내 시퀀스의 촬영 방식이 눈에 띈다.
= <알제리 전투>나 <블러디 선데이> 같은 영화를 참고했다. 촬영감독님과 기내 장면을 찍을 때 관객이 비행기 안에 있는 느낌으로 작업하면 좋겠다는 논의를 거치고 핸드헬드를 주로 사용했다. 실제 비행기 안에서 찍을 수 없는 앵글은 과감하게 포기했다. 촬영에 들어가서는 엄청나게 후회했다. (웃음) 승객만 해도 60명이 넘으니까 촬영, 조명 장비를 제대로 넣기도 힘들었고, 좁은 문 하나로 100여명의 배우와 제작진이 들락날락해야 했다. 그럼에도 처음의 원칙을 잘 지켜서 모두 뿌듯해했다. 참여해준 모든 분들에게 너무나 감사할 뿐이다.



meajFO



“거대한 여객기가 마치 전투기처럼 360도 공중회전(이멜만턴)을 보여주는 장면은 현직 조종사도 실현하기 어려운 액션이었기에 각본 단계에서부터 너무 과장된 액션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손수 유튜브를 탐험하며 이멜만턴의 성공 사례를 찾아냈고 이대로 찍자고 결정했다.” 김성한 감독이 보여준 스마트폰 속 영상에선 커다란 미군 수송기가 쌍발 프로펠러를 돌리며 창공을 360도 돌고 있었다. “회전 중인 비행기 내부를 표현하기 위해 비행기 세트를 기계에 통째로 넣어 뒤집었고 출연자들은 그대로 천장에 매달린 채 연기했다. 떨어지는 사물 대부분도 미술팀이 하나하나 설치해야 했다. 영화 <그레이트 왈도 페퍼>의 비슷한 비행 장면을 참고했다.”



tOzTBa



“영화 초반 용대가 수류탄을 터뜨리자 모든 사람과 사물이 움직임을 멈추고 불길만이 빠르게 기내를 휩쓰는 장면은 완전히 수동으로 촬영됐다. 비행기 세트의 천장을 전부 뜯어내서 특수카메라를 설치하거나, 1초에 3천 프레임을 찍는 초고속카메라를 사용하는 일은 자본과 기술 면에서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래서 선택한 게 모든 배우가 일제히 행동을 멈춘 뒤 카메라만 재빠르게 움직이고 구호에 맞춰 사람들이 다시 움직이는 아날로그 촬영(수동 프리즈 프레임)이었다. 이 컷만 하루 종일 찍었다. 배우들이 너무 고생했다.”



cUtgec



“포커스가 나간 후경에서조차 모든 배우가 알아서 적절한 액션을 취해주었다. 각본에 ‘승객들이 놀란다’ 정도로만 적혀 있더라도 60여명의 배우들이 각자 적절한 의상, 분장, 소품을 제작진과 논의해 준비해주었다. 그리고 미리 부여된 직업, 나이 등 설정을 참고해 적절한 액션을 개발하기도 했다. 편집 과정에선 한 장면을 몇번씩 돌려보게 되는데, 단 한명도 역할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지 않더라. 배우들에게 너무 감사하다.”



ZwcSFV



“71년 속초공항의 내부를 기록한 사진 자료가 거의 없었고 ‘설 연휴를 앞두고 며칠 동안 폭설이 내려 차도가 끊겼다’라는 내용의 기사만 찾을 수 있었다. 설악산을 다녀온 대학생들, 속초에서 해산물을 잔뜩 가져온 사람들, 관광상품을 파는 사람들 등 200여명이 좁은 공항에 모여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공항을 여느 시장처럼 어수선하게 표현했고 공항 외부엔 고증을 거쳐 비포장 활주로를 구현했다.”



https://naver.me/GOPBieSh

https://naver.me/IMy0BGEG

목록 스크랩 (0)
댓글 1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에뛰드x더쿠💄] 화제의 그 컬러 쿨핑온탑!💞 글로우로 등장! #글로우픽싱틴트 New 3컬러 체험 이벤트!!! 592 06.28 29,448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639,088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5,484,282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863,176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금단어 사용 시 무통보 차단 주의] 16.05.21 23,114,324
공지 알림/결과 💥💥💥💥💥요즘 싸잡기성글 너무 많아짐💥💥💥💥💥 17 06.06 167,730
공지 알림/결과 📺 2024 방영 예정 드라마📱 90 02.08 863,582
공지 알림/결과 📢📢📢그니까 자꾸 정병정병 하면서 복기하지 말고 존나 앓는글 써대야함📢📢📢 14 01.31 853,099
공지 잡담 (핫게나 슼 대상으로) 저런기사 왜끌고오냐 저런글 왜올리냐 댓글 정병천국이다 댓글 썅내난다 12 23.10.14 1,168,227
공지 알림/결과 한국 드라마 시청 가능 플랫폼 현황 (1971~2014년 / 2023.03.25 update) 15 22.12.07 2,096,073
공지 알림/결과 ゚・* 【:.。. ⭐️ (੭ ᐕ)੭*⁾⁾ 뎡 배 카 테 진 입 문 🎟 ⭐️ .。.:】 *・゚ 153 22.03.12 3,118,600
공지 알림/결과 블루레이&디비디 Q&A 총정리 (21.04.26.) 2 21.04.26 2,326,096
공지 스퀘어 차기작 2개 이상인 배우들 정리 (4/4 ver.) 159 21.01.19 2,494,639
공지 알림/결과 OTT 플랫폼 한드 목록 (웨이브, 왓챠, 넷플릭스, 티빙) -2022.05.09 237 20.10.01 2,524,266
공지 알림/결과 만능 남여주 나이별 정리 245 19.02.22 2,559,233
공지 알림/결과 ★☆ 작품내 여성캐릭터 도구화/수동적/소모적/여캐민폐 타령 및 관련 언급 금지, 언급시 차단 주의 ☆★ 103 17.08.24 2,488,714
공지 알림/결과 한국 드영배방(국내 드라마 / 영화/ 배우 및 연예계 토크방 : 드영배) 62 15.04.06 2,756,499
모든 공지 확인하기()
13154244 잡담 선업튀 솔선으로 시작하는 하루 08:19 8
13154243 잡담 졸업 우승희 왜 팽당함? 08:18 8
13154242 잡담 소짓말 도솔모닝🦊🐰🍤💕 08:17 9
13154241 잡담 삼달리 용달모닝🌊🐬 08:17 8
13154240 잡담 응칠은 한 화가 생각보다 짧네?? 08:17 19
13154239 잡담 악인전기 악인모닝😈👓⚾️💼👊 1 08:17 7
13154238 잡담 김미숙 배우 좀 더더더더더더 많이 나오면 좋겠다... 08:16 35
13154237 잡담 커넥션 어제 전개 같은 거도 드덕판에서 얘기하는 입전개고 설명충 등판이야? 2 08:16 46
13154236 잡담 원더풀월드 원더풀모닝🌏☔️ 3 08:11 46
13154235 잡담 서진이네 멤버도 좋고 연출도 좋고 그치만 무엇보다 노래를 잘 씀ㅋㅋ 08:11 59
13154234 잡담 사내맞선 하태모닝❤️‍🔥❤️‍🔥 3 08:09 33
13154233 잡담 연지구 연모닝🐹🦕🖤 08:07 66
13154232 잡담 낮밤그 미진이 1폰 2번호씀? 08:07 70
13154231 스퀘어 졸업 [최종화 선공개] 정려원vs서정연, 한 치의 물러섬 없는 말싸움 현장ㄷㄷ 2 08:06 101
13154230 잡담 드연인 연인모닝❤️‍🩹 2 08:02 59
13154229 잡담 너시속 녹산즈모닝🌳💚🌳💚 4 07:46 116
13154228 잡담 미녀순정 뽀또모닝🫧❤️💛🫧 1 07:45 107
13154227 잡담 커넥션 정윤호 학습신조 외치는 장면 너무 소름이다 07:44 197
13154226 잡담 열녀박씨 열녀모닝🦊🌺🐰 4 07:41 102
13154225 잡담 악의마음 악모닝😈🖤📒🍫 3 07:40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