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해방일지>, 관계의 타성을 지독하게 해부한 드라마
https://www.vogue.co.kr/2022/05/27/277590/
…
우리는 불필요한 말은 너무 많이, 필요한 말은 너무 적게 하고 산다. 무의미한 말은 너무 많고 진심은 너무 적다는 편이 옳을 수도 있겠다. 그 현실에 적응하는 게 사회생활이기도 하다. 그런데 박해영의 주인공들은 고집스럽게 이 타성을 거부한다. 진심 없는 대화, 시간을 소비하기 위한 사교, 나를 이해할 마음이 없는 타인에게 이해받고자 나 자신의 일말을 내비치는 미련을 집어던진다. 그건 그들도 어쩔 수 없는 천성에서 비롯된 것이라 본인들은 힘들어하지만 끝내 자신을 이해해주는 누군가를 찾아낸다. 그것이 박해영 드라마가 그려내는 판타지다.
…
따져보면 ‘쉼’이야말로 TV 드라마의 주요한 기능이다. 극적인 멜로, 미스터리, 우스꽝스러운 해프닝, 현실에 있을 법하지 않은 판타지가 모두 거기에 봉사한다. 그런데 우리가 원하는 건 대체 무엇으로부터의 ‘쉼’인가. 다시 말해 우리는 현실에서 무엇으로부터 ‘해방’되기를 원하는가. 박해영 작가의 드라마에는 그 ‘무엇’에 대한 성찰이 담겨 있다. 그리고 그 ‘무엇’을 우회하는 대신 드라마의 중심에 두고 이야기를 풀어간다.
https://www.vogue.co.kr/2022/05/27/277590/
…
우리는 불필요한 말은 너무 많이, 필요한 말은 너무 적게 하고 산다. 무의미한 말은 너무 많고 진심은 너무 적다는 편이 옳을 수도 있겠다. 그 현실에 적응하는 게 사회생활이기도 하다. 그런데 박해영의 주인공들은 고집스럽게 이 타성을 거부한다. 진심 없는 대화, 시간을 소비하기 위한 사교, 나를 이해할 마음이 없는 타인에게 이해받고자 나 자신의 일말을 내비치는 미련을 집어던진다. 그건 그들도 어쩔 수 없는 천성에서 비롯된 것이라 본인들은 힘들어하지만 끝내 자신을 이해해주는 누군가를 찾아낸다. 그것이 박해영 드라마가 그려내는 판타지다.
…
따져보면 ‘쉼’이야말로 TV 드라마의 주요한 기능이다. 극적인 멜로, 미스터리, 우스꽝스러운 해프닝, 현실에 있을 법하지 않은 판타지가 모두 거기에 봉사한다. 그런데 우리가 원하는 건 대체 무엇으로부터의 ‘쉼’인가. 다시 말해 우리는 현실에서 무엇으로부터 ‘해방’되기를 원하는가. 박해영 작가의 드라마에는 그 ‘무엇’에 대한 성찰이 담겨 있다. 그리고 그 ‘무엇’을 우회하는 대신 드라마의 중심에 두고 이야기를 풀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