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최인영 박규리 기자 = 방역당국은 코로나19 확진 이력이 있는 사람에게도 3차접종을 권고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권근용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 예방접종관리팀장은 이날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백브리핑에서 "확진 이력이 있어도 3차접종을 권고할 필요성이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권 팀장은 "현재는 이전에 확진 이력이 있다면 2차접종까지는 권고를 하고, 3차접종 등 추가접종은 원하면 맞을 수 있도록 허용은 하지만 권고는 안 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2차접종 후 확진됐다가 완치된 사람은 3차접종을 받지 않아도 된다. 미접종한 상태에서 확진됐다면 완치 후 2차 접종까지 완료해야 접종완료자로 분류된다.
그러나 오미크론 변이 유행으로 국민의 30%가 감염력을 갖게 되면서 방역당국은 지침 조정을 고려하게 됐다. 이날 0시 기준 누적 확진자는 1천477만8천405명으로 2022년 추계 인구 5천162만8천117명의 28.6%를 차지한다.
여기에 올가을이나 겨울 또 다른 유행이 일어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방역당국은 재유행에 대비한 추가접종 계획 수립 검토에 착수했다.
권 팀장은 "전문가 자문을 통해 정리하고 말씀드리겠다"며 감염력이 있는 사람에 대한 추가접종 권고를 신중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방역당국은 4차접종 대상을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등 고위험시설 입원·입소·종사자에서 고령층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이스라엘에서는 60세 이상 대상 4차접종의 오미크론 변이 감염예방 효과가 4∼8주에 불과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권 팀장은 "고령층 4차접종은 감염예방 효과보다는 중증화·사망 예방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고령층에게 3차접종까지의 중증화 예방이 어느 정도로 유의미한지, 4차접종으로 얼마나 (효과를) 올릴 수 있을지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방역당국은 3차접종까지 완료했을 때 중증 진행 위험이 미접종자 대비 97% 감소한다고 설명한다.
고재영 질병관리청 대변인은 "포스트 오미크론 시기에서도 개인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은 '기승전 예방접종'"이라고 강조했다.
고 대변인은 "우리나라 접종률(이날 0시 기준 2차접종 86.7%·3차접종 64.0%)은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지만, 면역저하자의 4차접종률, 고위험군의 3차접종률이 더 높아지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고 대변인은 이번 주 들어 5일간의 일평균 확진자가 22만7천여 명으로, 정점 주간이던 3월 3주차 40만여 명보다 40%가량 감소했다면서 "정점 이후 증가 상황이 꺾여 3주째 억제되는 경향이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위중증·사망자 수도 정점을 지나 완만한 감소세로 전환됐지만, 고 대변인은 "경계를 늦출 수 없는 상황"이라며 "확진자 규모와 고령층 비율을 잘 모니터링하면서 관리하고, 접종을 통해 위중증·사망으로 진행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abbie@yna.co.kr
(끝)
https://news.nate.com/view/20220407n18100?mid=n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