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큰 혼란은 정부가 지난 14일부터 한달 동안 병·의원에서 실시하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결과를 ‘최종 양성’으로 인정하기로 하면서 발생했다. 이런 검사 체계에 따르면 동네 병·의원은 신속항원검사를 통해 확진된 환자의 명단을 보건소에 신고하고, 보건소는 이를 바탕으로 환자들에게 코로나19 확진 통보와 재택치료 안내 문자 등을 보낸다. 하지만 ‘병·의원→보건소→확진자’로 이어지는 과정이 매끄럽게 이뤄지지 않으면서 통보 지연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박명하 서울시의사회 회장은 “보건소에서 피시아르 검사를 통해서 확진됐을 때는 검사업체로부터 명단을 받아 일괄적으로 확진자들에게 안내 문자를 보냈다”며 “지금은 각 병·의원에서 확진되면 보건소가 일괄적으로 문자를 보낼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 개별적으로 문자를 보내는데, 환자들 입장에서는 원활하게 안내를 못받을 수도 있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병원들이 확진자를 입력해야 하는 행정업무가 있다 보니, (바로바로 전달이 안된다) 절차 간소화가 필요하다고 건의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도 처방도 기대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현재 팍스로비드는 코로나19환자를 진료한 각 의료기관이 처방하고 지정된 전담약국이 조제·전달할 수 있다. 전담약국은 전국에 688곳이다. 이에 따라 지난 1월14일부터 이달 10일까지 처방된 팍스로이드는 4만111명분으로, 이 약이 도입될 당시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는 기대를 받은 것에 비하면 저조한 수준이다.
정부는 현재 팍스로비드 물량이 11만개 정도 남아 여유있다는 입장이지만, 일부 지역은 약국에 재고가 없는 곳도 있다. 정부 물량은 충분한데 약국엔 약이 없어 환자에게 전달이 안되는 상황이다. 앞서 지난 15일 방역당국은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재고 모니터링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시도 물량 재분배를 통해 편차를 해소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먹는치료제 처방이 저조한데 대해 의료진의 적극적 처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교수(예방의학)는 “일선 의료기관에서 자신감 있게 처방할 수 있는 경험과 시간이 필요한 상태”라며 “처방을 원하는 고위험군이 있는데 못 받는 경우들도 있다. 임상 진료 현장에 자세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어떨 때 처방할 수 있느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팍스로비드 처방 시 행정적 절차도 간소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박 회장은 “처방 뒤 사후 보고하는 행정 부담이 있다. 또 주변 약국이 확보하고 있는 팍스로비드가 부족해서 다른 전담약국에서 배송받아야 하는 문제도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최근 병실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코로나19 확진자의 기저질환 치료를 격리(음압)병상이 아닌 일반병상에서 우선적으로 진료하도록 방침을 변경했다. 하지만 이 또한 다른 환자들의 수용성 등을 이유로 적용에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의 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는 “확진자를 일반병동에서 치료하려 해도 다른 환자들의 동의를 얻기 쉽지 않다. 준격리실처럼 별도 공간을 따로 만들어야 할 거 같은데, 아직 준격리실이 만들어 지지 않고 있다”면서 “병원 규모에 따라서 일반병상 치료 지침 적용에 차이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health/1035099.html
병원 다녀온 사람으로서...
돌아가는 눈으로 다 꼬라지가 보여서 반박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