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항공 등 정부 주요시설 BCP 보니
정부가 해외에서 사회 필수시설 인력난으로 혼란을 빚었던 오미클론 대규모 확산시 위기대응 전략을 세우고 가동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 여파로 화재·구조·구급 대응인력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행정 인력이 대체 투입되는 게 골자다. 소방항공 등 특수분야엔 퇴직 공무원이 투입되며, 국가 핵심기반시설인 공항의 경우 일부 시설이 폐쇄되면 별도의 비상 근무지가 운용된다.
17일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소방관서별 업무지속계획(BCP·Business Continuity Plan) 수립·시행’ 자료에 따르면 우선 전국 226개 소방서 내 화재 진압, 인명구조, 구급을 최우선적으로 유지해야 할 핵심업무로 지정했다. 24시간 현장인력이 투입돼야 하는 일들이다.
오미크론은 순식간에 부서원 전체를 감염시킬 수 있을 만큼 전파력이 센 게 특징이다. 내달 중순 하루 간격으로 집계하는 신규 확진자가 27만 명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데 사회필수인력의 연쇄 감염도 우려된다. 전문가들은 사회필수시설 내 집단감염이 10%를 넘기면 ‘업무 마비’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현장인력 3교대→2교대 재편
소방청은 오미크론 확산에 따라 현장 대응 인력에 ‘손실’이 생기면 현행 3교대 근무체계를 2교대로 재편성한다. 필요에 따라 현장업무 자격과 경험을 갖춘 행정인력을 화재·구조·구급 등 현장 인력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소방항공 등 특수분야는 퇴직 공무원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이번 BCP에 포함됐다. 다만 소방당국은 지역별 상황과 근무환경 등을 감안해 BCP를 적용할 계획이다.
소방청 관계자는 “화재·구급상황 발생시 초기 대응이 상당히 중요하다”며 “직장 내 감염병이 확산된다고 해도 현장 인력을 통째 비울 수 없는 만큼 일괄적인 매뉴얼을 만들기보다 각 관서장 판단 아래 출동 인력을 전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항공, 4가지 시나리오로 대응
항공 부문도 오미크론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 BCP에 따르면 4단계의 감염발생 시나리오를 마련했다. ▶접촉자 미발생 ▶(접촉자) 발생 ▶확진자 발생 ▶추가 확진자 발생이다. 이에 따른 교대 근무지의 세부 대응활동을 뒀다.
공항 보안관계상 상당부분이 대외비지만, 인력 운용의 큰 틀은 확인됐다. 오미크론 확진자 수에 따라 일근자 우선 투입, 현행 4조 3교대에서 3조 2교대 재배치, 격일 근무로 변경하게 된다. 한 조당 인력도 최대 50%까지 줄일 수 있다.
최악 상황의 경우 14개 지방공항 중 상대적으로 인력운영에 여유 있는 공항에서 타공항으로 파견을 가게 된다. 예를 들어 제주도 항행시설에서 집단 감염이 발생해 업무가 마비되면, 김포 항행시설에서 파견 지원을 한다.
공항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교대 근무지 3곳엔 자가진단키트를 활용한 선제검사도 진행된다. 다음달부터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에 코로나19 검사 센터도 추가 운영될 예정이다. 앞서 한국보다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된 미국 등에선 사회 필수시설에 대한 인력난 등으로 혼란이 이어지곤 했었다.
최재욱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방역지침이 급격히 완화됐기에 더욱 긴장을 늦춰선 안된다”며 “통신, 발전 등 사회필수시설에서는 공공·민간 가릴 것 없이 오미크론에 맞는 새로운 대응 전략을 반드시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방역지침 자주 바뀌어 혼란” 목소리도
한편 현장에서는 질병관리청의 방역지침이 자주 바뀌다 보니 일관된 BCP 전략을 세우는 게 어렵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부 한 관계자는 “오미크론 확진세가 심각한 건 맞지만 격리 기준을 계속 완화하고 있어서 나중엔 ‘감기’처럼 대응할 수도 있는 것 아니냐”며 “과도기적 상황에 일괄적인 매뉴얼을 만든다는 게 쉽지 않은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수민 기자 lee.sumin1@joongang.co.kr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174523
정부가 해외에서 사회 필수시설 인력난으로 혼란을 빚었던 오미클론 대규모 확산시 위기대응 전략을 세우고 가동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 여파로 화재·구조·구급 대응인력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행정 인력이 대체 투입되는 게 골자다. 소방항공 등 특수분야엔 퇴직 공무원이 투입되며, 국가 핵심기반시설인 공항의 경우 일부 시설이 폐쇄되면 별도의 비상 근무지가 운용된다.
17일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소방관서별 업무지속계획(BCP·Business Continuity Plan) 수립·시행’ 자료에 따르면 우선 전국 226개 소방서 내 화재 진압, 인명구조, 구급을 최우선적으로 유지해야 할 핵심업무로 지정했다. 24시간 현장인력이 투입돼야 하는 일들이다.
오미크론은 순식간에 부서원 전체를 감염시킬 수 있을 만큼 전파력이 센 게 특징이다. 내달 중순 하루 간격으로 집계하는 신규 확진자가 27만 명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데 사회필수인력의 연쇄 감염도 우려된다. 전문가들은 사회필수시설 내 집단감염이 10%를 넘기면 ‘업무 마비’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현장인력 3교대→2교대 재편
소방청은 오미크론 확산에 따라 현장 대응 인력에 ‘손실’이 생기면 현행 3교대 근무체계를 2교대로 재편성한다. 필요에 따라 현장업무 자격과 경험을 갖춘 행정인력을 화재·구조·구급 등 현장 인력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소방항공 등 특수분야는 퇴직 공무원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이번 BCP에 포함됐다. 다만 소방당국은 지역별 상황과 근무환경 등을 감안해 BCP를 적용할 계획이다.
소방청 관계자는 “화재·구급상황 발생시 초기 대응이 상당히 중요하다”며 “직장 내 감염병이 확산된다고 해도 현장 인력을 통째 비울 수 없는 만큼 일괄적인 매뉴얼을 만들기보다 각 관서장 판단 아래 출동 인력을 전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항공, 4가지 시나리오로 대응
항공 부문도 오미크론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 BCP에 따르면 4단계의 감염발생 시나리오를 마련했다. ▶접촉자 미발생 ▶(접촉자) 발생 ▶확진자 발생 ▶추가 확진자 발생이다. 이에 따른 교대 근무지의 세부 대응활동을 뒀다.
공항 보안관계상 상당부분이 대외비지만, 인력 운용의 큰 틀은 확인됐다. 오미크론 확진자 수에 따라 일근자 우선 투입, 현행 4조 3교대에서 3조 2교대 재배치, 격일 근무로 변경하게 된다. 한 조당 인력도 최대 50%까지 줄일 수 있다.
최악 상황의 경우 14개 지방공항 중 상대적으로 인력운영에 여유 있는 공항에서 타공항으로 파견을 가게 된다. 예를 들어 제주도 항행시설에서 집단 감염이 발생해 업무가 마비되면, 김포 항행시설에서 파견 지원을 한다.
공항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교대 근무지 3곳엔 자가진단키트를 활용한 선제검사도 진행된다. 다음달부터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에 코로나19 검사 센터도 추가 운영될 예정이다. 앞서 한국보다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된 미국 등에선 사회 필수시설에 대한 인력난 등으로 혼란이 이어지곤 했었다.
최재욱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방역지침이 급격히 완화됐기에 더욱 긴장을 늦춰선 안된다”며 “통신, 발전 등 사회필수시설에서는 공공·민간 가릴 것 없이 오미크론에 맞는 새로운 대응 전략을 반드시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방역지침 자주 바뀌어 혼란” 목소리도
한편 현장에서는 질병관리청의 방역지침이 자주 바뀌다 보니 일관된 BCP 전략을 세우는 게 어렵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부 한 관계자는 “오미크론 확진세가 심각한 건 맞지만 격리 기준을 계속 완화하고 있어서 나중엔 ‘감기’처럼 대응할 수도 있는 것 아니냐”며 “과도기적 상황에 일괄적인 매뉴얼을 만든다는 게 쉽지 않은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수민 기자 lee.sumin1@joongang.co.kr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174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