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코로나정보 】 `엔데믹` 검토하는 美…"우리도 거리두기 해제 논의해야"
1,271 26
2022.02.08 15:31
1,271 26
K방역' 중단에 소상공인 "거리두가 철폐하라"
정부, 오미크론 내주까지 보며 거리두기 조정 검토
전문가 "美 피크 찍고 해제…韓거리두기 완화는 가능"

[이데일리 양희동 박경훈 기자] 정부가 3T(추적·검사·치료)로 요약되는 K방역을 사실상 중단하고 재택치료도 고위험군에 초점을 맞추는 등 느슨한 방역체계로 전환한 가운데, 자영업자·소상공인 등을 중심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선택과 집중이 핵심인 오미크론 변이 방역 전략상 강력한 거리두기 조치가 현실과 맞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미국과 유럽 등에서 코로나19를 계절독감과 같은 ‘엔데믹’(풍토병화) 수준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거리두기 해제 논의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오미크론의 유행 상황을 다음주까지 지켜보며 중증화율과 치명률, 의료대응역량 등을 고려해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소상공인 “거리두기 철폐하라”…정부 “오미크론 유행 상황 보며 판단”

정부는 오미크론 대응 체계에 맞춰 9일부터 자영업자가 방역수칙을 한번만 위반해도 10일간 상점 운영을 중단시키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폐지한다.

질병관리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이 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앞으로는 자영업자가 방역수칙을 최초 위반하면 ‘경고’를 받고, 2회 이상 위반해야 운영중단 조치가 내려진다. 또 과태료도 △1회 150만원→50만원 △2회 300만원→100만원 △3회 이상 300만→200만원 등으로 완화됐다.

이번 조치는 오미크론 대확산으로 하루 확진자가 3만명을 넘고, 이달 말 13만~17만명까지 급증이 예상되는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모든 확진자를 추적해 격리하는 기존 방식이 한계에 이른 만큼, 자영업자에 대한 처벌이 과도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이로인해 오는 20일까지 2주간 연장한 거리두기도 이후 해제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근 소상공인연합회는 논평을 통해 “지난해 12월 일상 회복 중단 이후 전국적으로 실시된 고강도의 영업제한에도 불구하고 변이종 확산으로 확진자수는 급증하고 있어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 방침은 그 의미가 사라진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의 방역 태세를 참조해 의미 없는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 방침을 철폐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 미국에선 뉴저지 등 일부 주에서 학교 및 보육시설의 마스크 의무화 조치를 다음달 7일 종료하기로 했고, 노르웨이와 덴마크 등 북유럽 국가들은 인원 제한 등 방역 조치를 해제하고 있다.

정부는 일단 오미크론 확진자의 정점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거리두기 해제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중증화율과 치명률, 의료여력 등의 안정화가 유지되면 완화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정례백브리핑에서 “오미크론의 정점이 중요한 이유는 그 규모가 거대하면 중증환자와 사망자 절대 수가 커지기 때문”이라며 “거리두기는 유행 상황을 다음주까지 보면서 중증화율, 치명률, 의료여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조정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美 정점 지나 방역 해제 움직임…전문가 “증가세 지속돼 해제보다 완화”

전문가들은 일단 미국·유럽 등은 오미크론 대확산이 정점을 지나 감소세로 접어들었지만, 우리나라는 증가세에 있어 최소한의 거리두기는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세계보건기구(WH0)에 따르면 올 1월 마지막주(1월 24일~30일) 미국의 신규 확진자는 378만 5082명으로 전주 대비 24.0% 줄며 최근 2주 발생이 감소했다. 그러나 사망자는 1만 6671명으로 전주 대비 14.9% 늘어 지난해 2월 이후 최다치를 기록했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지난해 12월, 미국과 유럽 등은 올 1월에 정점을 지나고 내려가고 있어 방역을 푸는 것”이라며 “우리나라는 이제 올라가고 있어 상황을 봐야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사적모임 인원이나 영업시간 제한 등 거리두기 조치는 상황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사적모임 제한은 6명이 아니라 한 공간에서 몇 명까지로 제한두는게 합리적이고, 환기 잘되면 완화가 필요하다”며 “영업시간은 유흥업소 등 고위험에 한해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오미크론의 낮은 중증화율(0.4%), 치명률(0.15%) 등을 감안해 거리두기 완화가 가능하다는 의견도 있다.

김윤 서울대 의료관리학과 교수는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낮게 유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거리두기를 완화해도 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양희동(eastsun@edaily.co.kr)

어차피 재택치료하면서 자가격리 제대로 되는지 확인도 안되는 판국에 자영업자들한테만 영업제한 거는 거 차별임
목록 스크랩 (0)
댓글 26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쿠우쿠우 블루레일X더쿠❤️] 🍣초밥 더쿠들을 위한 프리미엄 회전 초밥 식사권 증정 이벤트🍣 1561 06.27 48,712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646,616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5,499,431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870,432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금단어 사용 시 무통보 차단 주의] 16.05.21 23,125,052
공지 【 코로나정보 】 오미크론 웨이브로 바뀐 코로나검사 / 자가격리 / 재택치료 정보 (update 22.03.12) 67 22.02.06 62,425
공지 【 코로나정보 】 정부긴급재난지원금 신청관련 정보 모음 30 20.05.13 123,063
모든 공지 확인하기()
5617 【 코로나정보 】 앞으로의 시나리오 27 23.04.19 7,686
5616 【 코로나정보 】 [속보] 한 총리 "26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전면 해제…실내는 당분간 유지" 36 22.09.23 3,768
5615 【 코로나정보 】 거리두기 없이 '코로나 저지'…과학방역 통했나 30 22.08.27 3,629
5614 【 코로나정보 】 대통령실 "文정부 희생 강요 방역, 尹정부 지속가능한 방역" 26 22.07.14 3,515
5613 【 코로나정보 】 코로나 감염병 2급으로 하향…'일상 회복' 본격화 28 22.04.24 3,934
5612 【 코로나정보 】 월요일부터 영화관·지하철서도 취식…시내·마을버스는 금지(종합2보) 26 22.04.22 1,927
5611 【 코로나정보 】 내주 월요일부터 영화관 · 대중교통서도 음식물 섭취 가능 38 22.04.22 1,969
5610 【 코로나정보 】 [속보] 코로나19 1급 감염병서 제외…5월 하순부터 확진자 격리 안 한다 44 22.04.15 6,356
5609 【 코로나정보 】 알레르기 있으면 코로나 걸릴 가능성 낮다 40 22.04.07 4,892
5608 【 코로나정보 】 확진자 재택치료 기간 7일→5일? 정부 "조정 검토중" 27 22.04.04 2,540
5607 【 코로나정보 】 펌] 경이로운 한국 27 22.04.03 4,236
5606 【 코로나정보 】 [속보] "2주간 유행 안정시 실내마스크 외 모든 거리두기 해제 검토" 46 22.04.01 4,705
5605 【 코로나정보 】 끝인 줄 알았는데 또?…"더 강한 변이 온다" 국내외 과학자들 경고 29 22.03.28 4,017
5604 【 코로나정보 】 “오미크론이후 새 변이, 6개월 이내 나타날 것” 30 22.03.28 3,267
5603 【 코로나정보 】 [속보]안철수 "코로나 잠잠해질 때까지 일회용컵 규제 유예해야" 25 22.03.28 3,022
5602 【 코로나정보 】 K-방역의 붕괴 "하루 사망자 최대 1200명 예상..이런데도 독감 수준?" 26 22.03.28 2,529
5601 【 코로나정보 】 유은혜 부총리, 코로나19 확진…다음달 2일까지 격리·치료 34 22.03.27 2,330
5600 【 코로나정보 】 오미크론 (자가치료 시) 증상별로 먹어야하는 약 알아두기 27 22.03.23 5,974
5599 【 코로나정보 】 아산병원 내과 진료조교수가 추천하는 코로나 재택치료 방법 53 22.03.21 9,297
5598 【 코로나정보 】 존스홉킨스 대학이 공개한 코로나19 나라별 사망율.jpg 27 22.03.19 4,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