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방침 정해… 7일부터 시행할 듯”
"이제 전석 매진도 됩니다." 문체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에서는 연극·뮤지컬 공연장이 더 이상 '한 자리 띄어앉기'를 하지 않아도 되도록 방침을 정한 것으로 1일 알려졌다. 이에 따라 '캣츠' 등 대극장 뮤지컬은 물론 대학로 중소극장 공연들도 어느 정도 숨통이 트이게 될 전망이다. /에스앤코
정부의 새 거리두기 지침 시행에 따라, 앞으로 거리두기 1단계에서는 연극·뮤지컬 등의 공연장이 ‘좌석 띄어앉기’ 없이 운영된다. 예전처럼 ‘전석 매진’ 공연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1일 정부 발표에 따라 문체부는 이 같은 방침을 정하고, 이번 주 초 각 극장과 협회에 공문을 내려보낸 뒤 오는 7일부터 시행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좌석 띄어앉기’로 극심한 어려움에 빠진 공연 산업계의 숨통이 조금은 트일 전망이다.
1일 공연과 극장 관계자들에 따르면, 문체부는 내부적으로 ▲1단계(수도권 확진자 100명 미만, 타권역 30명 미만)는 좌석 띄어앉기를 하지 않고 ▲1.5단계(수도권 100명 이상, 타권역 30명 이상)에도 가족·연인 등의 동반 착석을 허용하되 타인 사이에만 한 좌석을 띄어 앉게 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현재 형태의 엄격한 ‘한 칸 띄어앉기’는 2단계(대략 전국 300명 이상 또는 수도권 200명 이상 등)에서만 시행한다는 것이다.
공연에 따라 다르지만, 많은 경우 공연 전체 예산은 대개 객석 점유율 약 70%를 손익분기점으로 놓고 설계된다. 객석을 무조건 한 좌석씩 띄어앉기로 운영할 경우 객석 점유율은 50%를 훨씬 밑돈다. 어떤 공연이든 무대에 올릴수록 손해가 된다.
그렇다고 예정된 공연을 무작정 취소·중단할 수도 없다. 한 공연마다 많게는 수백명의 배우와 스태프가 매달려 공동 작업을 하고, 길게는 2~3년 전부터 극장 대관과 배우 스케줄을 정해놓는다. 이미 계획된 공연을 취소한다면 그로 인한 피해가 너무 광범위하고 크다. 이 때문에 엄격한 띄어앉기 좌석제가 시행되는 동안, 많은 공연이 ‘해도 손해 안 해도 손해’인 상태로 무대에 올려졌다. 문체부는 그동안 대표성 있는 공연계 관계자들과 주기적인 대화를 갖고 현장 목소리를 들으려 노력해왔다.
뮤지컬 업계 한 관계자는 “공연장은 자리에 앉아 대화없이 마스크를 쓰고 한 방향만 바라보는 특성이 있다. 덕분에 실제로 확진자가 공연장에 다녀간 일도 생겼지만 극장을 통한 확산은 일어나지 않았다"며 "공연 업계가 자발적으로 정부 방역 조치에 적극 협조해 온 점, ‘K방역’의 상징처럼 해외 언론의 찬사를 받아온 점 등도 두루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태훈 기자 libra@chosun.com]
"이제 전석 매진도 됩니다." 문체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에서는 연극·뮤지컬 공연장이 더 이상 '한 자리 띄어앉기'를 하지 않아도 되도록 방침을 정한 것으로 1일 알려졌다. 이에 따라 '캣츠' 등 대극장 뮤지컬은 물론 대학로 중소극장 공연들도 어느 정도 숨통이 트이게 될 전망이다. /에스앤코
정부의 새 거리두기 지침 시행에 따라, 앞으로 거리두기 1단계에서는 연극·뮤지컬 등의 공연장이 ‘좌석 띄어앉기’ 없이 운영된다. 예전처럼 ‘전석 매진’ 공연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1일 정부 발표에 따라 문체부는 이 같은 방침을 정하고, 이번 주 초 각 극장과 협회에 공문을 내려보낸 뒤 오는 7일부터 시행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좌석 띄어앉기’로 극심한 어려움에 빠진 공연 산업계의 숨통이 조금은 트일 전망이다.
1일 공연과 극장 관계자들에 따르면, 문체부는 내부적으로 ▲1단계(수도권 확진자 100명 미만, 타권역 30명 미만)는 좌석 띄어앉기를 하지 않고 ▲1.5단계(수도권 100명 이상, 타권역 30명 이상)에도 가족·연인 등의 동반 착석을 허용하되 타인 사이에만 한 좌석을 띄어 앉게 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현재 형태의 엄격한 ‘한 칸 띄어앉기’는 2단계(대략 전국 300명 이상 또는 수도권 200명 이상 등)에서만 시행한다는 것이다.
공연에 따라 다르지만, 많은 경우 공연 전체 예산은 대개 객석 점유율 약 70%를 손익분기점으로 놓고 설계된다. 객석을 무조건 한 좌석씩 띄어앉기로 운영할 경우 객석 점유율은 50%를 훨씬 밑돈다. 어떤 공연이든 무대에 올릴수록 손해가 된다.
그렇다고 예정된 공연을 무작정 취소·중단할 수도 없다. 한 공연마다 많게는 수백명의 배우와 스태프가 매달려 공동 작업을 하고, 길게는 2~3년 전부터 극장 대관과 배우 스케줄을 정해놓는다. 이미 계획된 공연을 취소한다면 그로 인한 피해가 너무 광범위하고 크다. 이 때문에 엄격한 띄어앉기 좌석제가 시행되는 동안, 많은 공연이 ‘해도 손해 안 해도 손해’인 상태로 무대에 올려졌다. 문체부는 그동안 대표성 있는 공연계 관계자들과 주기적인 대화를 갖고 현장 목소리를 들으려 노력해왔다.
뮤지컬 업계 한 관계자는 “공연장은 자리에 앉아 대화없이 마스크를 쓰고 한 방향만 바라보는 특성이 있다. 덕분에 실제로 확진자가 공연장에 다녀간 일도 생겼지만 극장을 통한 확산은 일어나지 않았다"며 "공연 업계가 자발적으로 정부 방역 조치에 적극 협조해 온 점, ‘K방역’의 상징처럼 해외 언론의 찬사를 받아온 점 등도 두루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태훈 기자 libra@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