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개인연금 비상]② “보험은 소용 없다”… 연금저축펀드·IRP로 몰리는 노후자금
4,288 1
2024.05.21 11:54
4,288 1

2021년 연금저축 가입자 90% 펀드 선택
연금보험 인기 뚝…가입자 17% 하락
“저조한 수익률에 펀드만 선택해야 하는 상황”

 

개인연금 시장에서 연금저축펀드와 개인형 퇴직연금(IRP) 등 펀드 투자로 노후자금을 불리는 상품이 인기다. 연금저축보험에 가입한 고객조차 펀드로 계좌를 이전하고 있다. 연금보험의 수익률이 바닥을 치고 있어서다. 국민의 노후 대비를 위한 선택지가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는 펀드 하나밖에 남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금융감독원·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연금저축(보험·펀드·신탁) 누적 적립금 160조원 중 70%는 보험이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추세를 보면 펀드가 대세다. 2021년 연금저축 신규계약 175만건 중 펀드가 163만4000건으로 전체의 93%를 차지했다. 연금저축 가입자 10명 중 9명은 보험이 아닌 펀드를 선택했다는 뜻이다. 생명보험사의 연금저축 적립금 점유율은 2015년 50.9%에서 2022년 45.9%로 쪼그라들었다.

 

연금저축(160조원)보다 더 많은 규모로 운영되는 보험사의 연금보험(208조원) 인기도 떨어졌다.

 

-생략-

 

연금저축보험과 연금보험은 고객이 낸 보험료에 보험사가 이자를 붙여주는 상품이다. 원금을 보존할 수 있어 가장 안전하지만, 이자율이 채권보다 낮은 데다 최근에는 은행 예·적금 금리에도 미치지 못해 수익률이 높지 않다.

 

반면 연금저축펀드와 IRP는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등 각종 펀드에 투자해 연금액을 불려 나가는 상품이다.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어도 최종적으론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는 믿음이 전제돼 있다. 실제 계약당 연금수령액은 2021년 기준 보험이 243만원, 펀드가 723만원으로 3배 차이가 난다.

 

그래픽=손민균

개인연금 시장에서 보험사의 최고 무기는 종신형 연금보험이다. 종신형 연금보험은 일정 기간 보험료를 내면 사망할 때까지 연금이 지급되는 상품으로, 생명보험사만 판매할 수 있다. 오래 살수록 받을 수 있는 총연금액이 늘어나는 구조다. 보험사는 의학 기술이 발전해 원하지 않아도 90세 이상까지 생존하는 ‘장수 리스크’에 대비할 수 있다고 홍보한다.

 

그렇다면 지금의 30대가 종신형 연금보험에 가입하면 얼마나 이득을 볼 수 있을까. 한 대형 생명보험사가 35세 남성에게 추천한 상품을 보면, 매월 50만원을 10년 동안 내고 65세 때부터 매년 529만원의 연금을 사망할 때까지 받는 조건이다. 낸 보험료(원금) 6000만원을 회수하려면 77세까지 연금을 받아야 하고, 이후부터가 수익 구간이다.

 

그런데 지난해 12월 통계청이 발표한 생명표에 따르면 35세 남성의 기대수명은 80.7세다. 기대수명까지 생존하면 2400만원의 이자수익을 거두는 셈이다. 6000만원을 20년 동안 보험사에 거치해 16년 동안 매년 150만원의 이자를 받는 수준으로, 수익률은 약 1.7%다. 85세까지 생존하면 수익률은 3.1%, 90세까지 생존하면 4.15%다. 기대수명 이상으로 생존해야만 물가상승률을 뛰어넘는 수익을 보는 것이다.

 

일각에선 보험 상품의 저조한 수익률 탓에 펀드에만 노후자금이 몰린다고 분석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연금저축펀드 등은 원금 보장이 되지 않기 때문에 손실을 가입자가 부담하게 된다”라며 “보험이 워낙 좋지 않다는 인식이 있어 펀드를 선택하는 사람이 늘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개인연금을 준비하는 국민 입장에선 보험이라는 선택지가 사라진 것과 마찬가지다”라며 “대안을 찾아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993740

목록 스크랩 (0)
댓글 1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이자녹스 X 더쿠💙] 여름 꿀템🔥❄️ 얼려쓰는 비타민 수딩젤! 이자녹스 <비타맥스 아이싱 수딩젤> 체험 이벤트 336 06.17 17,378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353,204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5,121,217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585,931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2,814,225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47 21.08.23 3,872,350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23 20.09.29 2,758,504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380 20.05.17 3,436,069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63 20.04.30 4,011,806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스퀘어 저격판 사용 무통보 차단 주의) 1236 18.08.31 8,435,261
모든 공지 확인하기()
298944 기사/뉴스 “변우석 열풍 안 끝나네” 재개봉 ‘소울메이트’ 보러 1만5천명 몰렸다 11 12:14 333
298943 기사/뉴스 중처법·52시간 '수술'한다는 추경호…中企 "반갑긴 한데…" 8 12:11 284
298942 기사/뉴스 [단독] 손석희 MBC 시사교양 프로로 방송 복귀 34 12:04 2,683
298941 기사/뉴스 ‘성폭행 무고’ 걸그룹 출신 BJ, 집행유예 석방…法 “어린 나이 감안” 17 12:01 1,405
298940 기사/뉴스 [속보] 합참 “DMZ서 지뢰 폭발… 北 사상자 수십명” 40 11:55 4,249
298939 기사/뉴스 초봉 5억 주는 美 빅테크로... AI 고급 인재 40%가 한국 떠난다 19 11:50 992
298938 기사/뉴스 [속보] 서울고법 "최태원 판결문 오류, 재산 분할 비율 영향 없어 39 11:44 3,922
298937 기사/뉴스 현대차 장중 29만원 터치 사상 최고…기아도 27년만에 최고가 13 11:43 765
298936 기사/뉴스 이찬원 “찬스 덕분에 연장방송”…박지선 “시즌 10까지 함께” (한끗차이) 4 11:41 802
298935 기사/뉴스 ‘졸업’ 정려원, 2주 연속 출연자 화제성 1위 [공식] 11:37 275
298934 기사/뉴스 손흥민 파트너로 '일본 메시' 노리는 토트넘의 야심, 韓日 좌우 날개 구상한다 17 11:32 1,488
298933 기사/뉴스 방탄소년단 정국 'GOLDEN', 아이튠즈 총 98개국 앨범 차트 1위 달성 18 11:18 476
298932 기사/뉴스 '5세대 新 다크호스' 웨이커, 7월 16일 컴백 확정 [공식] 2 11:10 549
298931 기사/뉴스 김재중, 20년째 리즈…정규앨범 콘셉트 포토 공개 3 11:10 691
298930 기사/뉴스 ‘아이랜드2’, 더욱 잔혹한 생존 게임…1:1 ‘메인 포지션 테스트’ 돌입 1 11:09 506
298929 기사/뉴스 하이키, 데뷔 첫 교복…‘뜨거워지자’ MV 티저 공개 1 11:08 774
298928 기사/뉴스 집단 휴진 예고에 병원 발걸음 끊은 환자들… “직무유기도 살인” 10 11:03 1,700
298927 기사/뉴스 '막걸리 소송' 최종 승소한 영탁 "팬들께 감사" 10 11:00 1,220
298926 기사/뉴스 美 대표 기술주 ETF, 엔비디아 비중 확 늘리고 애플 축소할 듯 3 10:58 901
298925 기사/뉴스 ‘드림콘서트 재팬’ 1차 라인업 공개... 뉴진스·투어스·NCTWISH 등 확정 8 10:42 1,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