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TV 드라마도 자막으로 보는 시대 될까…'수사반장' 시도 호평
5,489 49
2024.05.06 17:01
5,489 49
BFoJZi

(서울=연합뉴스) 황재하 기자 = 주로 외국 콘텐츠를 소비하는 데 사용되던 한글 자막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대중화와 콘텐츠 소비 습관 변화로 차츰 국내 콘텐츠에도 보편화되고 있다.

한글 자막은 대사 전달력을 높인다는 장점이 크지만, 극에 대한 몰입을 방해할 수도 있어 방송사들이 자막 삽입에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

최근에는 MBC가 지상파 드라마 사상 처음으로 본방송에 자막을 붙여 눈길을 끈다. 지난달 시작한 드라마 '수사반장 1958'에서다.

이 드라마에 한글 자막을 넣기로 한 것은 이는 고정 시청자 상당수가 고령층 내지 중장년층이라는 것을 고려한 결정이다. 

'수사반장 1958'은 1970∼1980년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수사반장'의 프리퀄(시간상 앞선 이야기를 다룬 속편)이라 방송 전부터 장·노년층의 관심이 컸다. 

MBC 관계자는 "원조 '수사반장'을 기억하는 시청자들이 더 편하게 드라마를 시청하실 수 있도록 자막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예능 프로그램은 이미 1990년대부터 화면에 생동감을 주고 재미를 더하기 위해 자막을 썼지만, 영화나 드라마에서 자막이 흔하게 쓰이기 시작한 것은 2010년대 들어 OTT가 대중화되면서다.

넷플릭스는 2011년 미국 청각장애인협회로부터 '청각장애인용 자막을 붙이지 않는 것은 차별'이라는 소송을 당한 뒤 미국 콘텐츠에 영어 자막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같은 서비스 방침을 2016년 진출한 한국 시장에도 적용해 한국어 콘텐츠에 한글 자막을 제공한다.

특히 OTT는 휴대전화나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로 지하철, 버스, 카페 등의 대중시설에서 혼잡한 분위기 속에 시청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몰입도가 낮은 시청 환경에서 자막은 이해를 돕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넷플릭스가 한국에 진출한 지 7년이 지난 2023년을 기준으로 시청자 세 명 중 한 명 이상이 한국어 콘텐츠를 볼 때도 자막을 선호하게 됐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표한 '2023년 OTT 이용행태 조사'에 따르면 유료 구독형 OTT 이용자 2천78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5.8%는 국내 콘텐츠를 볼 때 한글 자막을 쓰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수요를 반영해 티빙, 웨이브 등 토종 OTT 업체들도 국내 콘텐츠에 한국어 자막을 제공한다.


이후 자막은 OTT를 넘어서 영화관과 TV로 영역을 넓혔다. 먼저 새로운 시도를 한 콘텐츠는 영화였다.

2022년 7월 개봉해 500만 관객을 끌어모은 영화 '한산: 용의 출현'은 후반부 전투 장면에서 왜군의 대사뿐 아니라 이순신 장군(박해일 분)을 비롯한 조선 수군의 대사에도 자막이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이 영화를 연출한 김한민 감독은 당시 "전쟁의 밀도감을 높이기 위한 결단"이라고 설명했다. 전투 장면의 효과음과 배경음악을 최대한 살리면서 대사도 잘 전달하기 위해 자막의 도움을 빌렸다는 취지다.

지상파 방송사가 드라마에 자막을 붙인 것은 지난해 SBS가 처음이었다. 작년 2월 처음으로 '법쩐'과 '트롤리' 재방송에 자막을 도입했고, 이후 다른 드라마 재방송에도 자막을 제공하고 있다.

이후 MBC도 작년 11월부터 드라마 '연인'의 재방송에 자막을 붙이며 흐름에 발을 맞췄다. 당시 MBC는 "드라마 특성상 고어나 방언이 많아 시청자 편의성을 위해 (재방송에) 자막 서비스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물론 자막에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배우의 감정 묘사에 제대로 몰입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고, 자꾸 자막에 시선이 가서 정작 중요한 배우나 특수효과 등에 주목하지 못하게 된다는 지적도 있다.

콘진원이 조사한 OTT 이용행태 조사에서도 국내 콘텐츠를 볼 때 한글 자막을 선호하지 않는다는 대답이 전체의 32%를 차지했다. 이는 선호한다는 답변과 불과 3.8%포인트 차이다.

자막 삽입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OTT와 달리 TV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만큼 방송사들은 도입 여부를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

SBS는 재방송에 자막을 삽입한 지 1년 넘게 지났으나 아직 본방송에는 자막을 넣지 않았다. 

'수사반장 1958' 본방송에 자막을 제공한 MBC 역시 앞으로 다른 드라마로 확대할지에 대해서는 "시청자 반응을 지켜본 뒤 자막 서비스 확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001/0014669691

목록 스크랩 (0)
댓글 49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한율 X 더쿠💛] 8시간 만에 -45% 반쪽모공! 한율 <반쪽모공세럼> 체험 이벤트 ! 646 06.06 54,736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240,232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4,970,999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425,227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2,643,131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47 21.08.23 3,814,616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22 20.09.29 2,697,584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378 20.05.17 3,378,818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63 20.04.30 3,942,788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스퀘어 저격판 사용 무통보 차단 주의) 1236 18.08.31 8,352,294
모든 공지 확인하기()
297979 기사/뉴스 '21년 지났는데?' 소시에다드 단장 깜짝 발언, "쿠보는 이천수와 달라…마케팅용 아니다" 10 18:41 410
297978 기사/뉴스 “사귀던 사이”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여성에 칼부림…50대 체포 10 18:25 843
297977 기사/뉴스 비계가 80%…알리 익스프레스서 구매한 ‘삼겹살’ 대참사 27 18:21 1,911
297976 기사/뉴스 91세 억만장자의 두 얼굴 ‘충격’…‘40여년간 성폭행’ 혐의 18:20 1,143
297975 기사/뉴스 “지숙아 고생 많았어” 이두희, 횡령·사기 무혐의 심경 [전문] 7 18:09 3,486
297974 기사/뉴스 가족 시트콤인 줄 알았던 ‘연애남매’ 막판에 호러물 됐다[TV보고서] 10 18:06 1,311
297973 기사/뉴스 [속보]김건희 여사 명품백 사건 종결…"제재규정 없어" 319 17:58 10,876
297972 기사/뉴스 위기가구 신고자 포상금 지원사업 2 17:57 1,015
297971 기사/뉴스 빌리프랩, 민희진 대표 상대 민사소송 제기…“아일릿에 단 한마디 사과·반성 없어” 283 17:53 16,224
297970 기사/뉴스 법원은 왜 ‘민희진 손’ 들어줬나···“아일릿 표절·뉴진스 차별 등 근거있어” 28 17:52 1,649
297969 기사/뉴스 운전 문화에 녹아있는 성 차별...'언니'와 함께 극복해요 4 17:46 1,612
297968 기사/뉴스 핫게간 카데바 클래스 기사 9 17:41 2,428
297967 기사/뉴스 가족 시트콤인 줄 알았던 ‘연애남매’ 막판에 호러물 됐다[TV보고서] 199 17:34 23,655
297966 기사/뉴스 영화 ‘원더랜드’에 사활 건 투자배급사 ‘에이스메이커’ 22 17:24 2,206
297965 기사/뉴스 영화『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오릉성』 공개 59일간 흥행 수입 146억엔 돌파 17:13 458
297964 기사/뉴스 ‘동해 원유’ 검증단 교수가 액트지오 대표 논문 공동저자…검증 객관성 문제 없나 5 17:12 634
297963 기사/뉴스 차가원 회장 "나와 백현·MC몽, 가족 이상으로 가까운 사이" 340 16:59 33,800
297962 기사/뉴스 日, ‘2040 에너지 계획’ 통해 원전 확대 가능성 5 16:58 434
297961 기사/뉴스 결승선 10m 앞 세리머니 하다…날아간 동메달 18 16:55 2,768
297960 기사/뉴스 일본 우쓰노미야대학, 대중교통 탑승 로봇 배송 실증 실험 실시 7 16:54 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