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잡담 아마) "재능 있어도 타자 안 시켜요" 거포 유망주도 투수하는 고교야구, 나무배트 도입 20년이 바꿔놨다 [긴급진단①]
364 1
2024.02.16 09:08
364 1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108&aid=0003215098

나무 배트의 반발력이 낮아 장타를 뽑아낼 확률이 줄어들면서 타자 유망주들은 콘택트에 집중했다. 반대로 마운드에서는 어느 정도 디셉션(숨김 동작)과 제구력이 뒷받침되면 타자를 맞춰 잡을 수 있어 평균 시속 130㎞대 에이스나 사이드암 피처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게 됐다.

 

더 큰 문제는 유망주들의 '투수 쏠림화'다. 최근 아마야구에는 투고타저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과거 톱급 투수 유망주의 기준이었던 시속 150㎞의 빠른 공은 1라운드 지명을 위한 필수 조건이 됐다. 지난해만 해도 10여 명의 선수들이 150㎞를 던졌고, '2024 KBO 신인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전체 1번부터 9번까지 모조리 투수가 지명받았다.

 

반면 타자 쪽에서는 거포 유형은 고사하고 전체 1번급 유망주도 보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중학교 때까지 장타를 곧잘 날리던 톱급 타자 유망주들이 고등학교 진학 시 투수로 진로를 확정하면서 생긴 현상이다. 아예 시작부터 투수만 시키려는 학부모들도 적지 않다. 이에 KBO 구단 고위관계자 A는 "요즘 아이들이 조금이라도 재능이 있다 싶으면 학부모들이 타자가 아닌 투수를 시키려 한다. 타자는 안 시킨다"고 아쉬워하며 "타자가 투수보다 비교적 신경 쓸 것이 많다. 아무리 타격을 잘하더라도 수비를 못하면 지명 순위가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마야구의 투·타 불균형은 KBO리그와 한국 야구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나무 배트 도입 세대들이 프로에 첫 진입한 2007년 이후 KBO리그 토종 홈런왕은 이대호(42·은퇴), 최형우(41·KIA 타이거즈), 박병호(38·KT 위즈), 최정(37·SSG 랜더스), 김재환(36·두산 베어스) 등 대부분 알루미늄 배트를 조금이라도 경험해 본 선수들이었다. 타고투저가 심했던 2017~2020년 무렵에도 김하성(29·샌디에이고 파드리스), 강백호(25·KT) 외에는 20홈런 이상 치는 1990년대생 타자를 보기 힘들었다.

 

거포의 실종은 투수들의 국제 경쟁력 약화로도 이어진다. 2013년부터 시작된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세 대회 연속 1라운드 탈락이 대표적인 사례다. 한국의 실패를 두고 지난해 3월 일본 매체 풀카운트는 "한국이 고교야구에서 나무 배트를 사용한 이후 거포는 사라지고 이기기 위한 잔기술만 늘었다. 이는 투수들에게도 악영향을 미쳐 좋은 투수도 나오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그 때문에 나무 배트에서 다시 알루미늄 배트로 다시 돌아가자는 목소리도 차츰 커지고 있다. 정확히는 미국처럼 비목재 배트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비목재 배트는 합금(알로이), 탄소섬유(컴포짓), 하이브리드 등 나무가 아닌 재료로 만든 것이다. 여러 나무를 섞어 단가를 낮춘 혼합목재 배트도 대안으로 떠오른다. 미국의 경우 기존 야구계에서 우려하는 나무 배트로 전환 시 적응 문제, 안전 문제 등을 2011년 비목재 배트가 목재 배트와 유사한 성능을 내도록 강제하는 BBCOR(Batted Ball Coefficient Of Restitution) 규제를 도입하면서 상당수 해결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알루미늄 배트'라는 부정적 이미지에 묶여 제대로 논의조차 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KBSA)가 이달 28일 오후 2시 서울 더 케이 호텔에서 개최할 '18세 이하 대회 사용 배트 관련 공청회'는 이 부분에 대해 논의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이 공청회에는 선수, 현장 지도자, 학부모, 공인 업체 및 관계자 등이 참가하는 가운데 목재, 비목재 배트의 정확한 정의와 도입 시 장단점 등에 대해 논의할 토론의 장이 될 전망이다.

목록 스크랩 (0)
댓글 1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이자녹스 X 더쿠💙] 여름 꿀템🔥❄️ 얼려쓰는 비타민 수딩젤! 이자녹스 <비타맥스 아이싱 수딩젤> 체험 이벤트 389 06.17 31,510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375,623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5,146,424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619,706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2,834,410
공지 알림/결과 📢 2024 야구방 인구조사 결과 61 03.30 100,684
공지 알림/결과 ▶▶▶ 야구방 팀카테 말머리는 독방 개념이 아님. 말머리 이용 유의사항 13 16.02.29 193,919
모든 공지 확인하기()
15166 스퀘어 아마) 청룡기 대진표 06.18 78
15165 잡담 아마) 올해 청대 일정 06.17 63
15164 잡담 아마) 25드랲 유력 후보 150km/h 클럽 15인 5 06.10 157
15163 스퀘어 아마) “박정훈 대약진, 김영우‧박준순 주목” … 삼성‧롯데‧KIA 1R 고민되네 [전상일의 아마야구+] 06.08 183
15162 잡담 아마) 고딩얼라들 미국 안간다 해서 넘 좋다 06.07 172
15161 잡담 아마) 고교-대학 올스타전 라인업 06.06 83
15160 스퀘어 아마) 현 아마추어 최고의 선수 48인을 소개합니다 | 제 2회 한화이글스배 고교vs대학 올스타전 1 06.04 263
15159 잡담 아마) 알럽베 정우주 vs 정현우 1 06.02 106
15158 잡담 아마) 전상일 기자 의견으로 김태형 현재 전체 3번까지 평 올라가나봐 2 06.02 362
15157 잡담 아마) 한 번이라도 150 터치한 고3 투수들 15명 3 06.01 152
15156 잡담 아마) 황사기 결승전 덕수고 정현우 150 / 김태형 151 1 05.29 61
15155 잡담 아마) 정현우 떡대 좋더라ㅋㅋㅋㅋㅋㅋ 05.29 31
15154 잡담 아마) 정우주 정현우 투톱인 건 변함 없어보이고 2 05.29 180
15153 onair 아마) 정현우 현폼으로 전체1번 될 것 같음 5 05.29 180
15152 onair 아마) 덕수얼라들 점수 내는 흐름이 되게 스무스하다 1 05.27 37
15151 onair 아마) 1사만루에서 병살 ₍๐•̅ ᴥ •̅๐₎ꔪ 05.27 32
15150 onair 아마) 이율예 이율예 왜 하는지 알겠당 05.26 67
15149 onair 아마) 얼라들 등짝에 이름 좀 박아주소 05.26 52
15148 잡담 아마) 덕수 김태형 중계 151 05.25 41
15147 onair 아마) ㅁㅊ 포수얼라 괜찮나 05.25 32